지난해 농업생산액은 7.8% 증가한 54조 420억원으로 농가소득이 4.3% 증가한 4,697만원 추정되고 있다.
당초 1.5% 소득증가 전망을 뛰어넘는 농업생산액과 농가소득을 달성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홍상)은 이같은 내용으로 19일과 20일 양일간 비대면 온라인 '2022농업전망대회'에서 신년 좌담회와 주요 예상이슈, 각 부류와 품목별 분석을 통한 농업전망 발표를 했다.
이같은 소득증가를 KREI 농업관측센터는 농업 전반(특히, 축산)의 생산액 증가로 GDP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보이며, 채소·과실 가격 상승으로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2.7%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 한육우·돼지·계란 가격 상승으로 축잠업 생산액은 15.3% 증가한 것으로 KREI 농업관측센터는 분석됐다.
특히 공익직불 및 수급 조절 정책, 농축산물 전반적인 가격 상승 등으로 농가소득이 개선됐다.
농업소득은 농업총수입 증가로 전년 대비 9.9% 증가한 1,299만 원이다.
농외소득은 농업임금 상승 등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하고, 이전소득은 공익직불 시행 등 보조금의 수령액 증가로 전년 대비 2.3% 증가됐다.
2022년 농업생산액은 3.2% 감소한 52조 2,930억 원 전망이다.
주요 품목의 생산성 회복과 가격 하락으로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0.6% 감소가 전망된다.
한우와 돼지의 도축물량 증가와 가금류의 생산량 회복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축잠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6.6% 감소가 전망되고 있다.
이에따라 2022년 농가소득은 축산물 가격 조정으로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축산물 생산 증가로 전년의 높은 가격 유지가 어려워 농가소득 0.6% 감소하고, 농업소득은 축산물 가격 하락으로 전년 대비 6.9% 감소가 예측되고 있다.
농외소득은 농업임금 상승과 자본수입 확대로 3.4% 증가하고, 이전소득은 코로나19 관련 재난지원금 축소 등으로 전년 대비 0.3% 감소할 것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전망하고 있다. 나하은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