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신품종 '망고 복숭아' 옐로드림 선보여

-겉은 천도, 속은 황도 식감 ‘옐로드림’...농촌진흥청 체험단 평가서 당도와 과즙 호평
-조사 결과 바탕으로 전략적 판촉 활동 펼칠 터

겉은 천도이면서 속은 황도 식감을 지녀 ‘망고 복숭아’라는 별명이 붙은 ‘옐로드림’ 신품종 복숭아. 같은 시기 나오는 복숭아보다 신맛이 적고 당도는 2브릭스 정도 더 높아 확대 보급 중인 국산 품종이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달콤한 천도 ‘옐로드림’ 출하 시기를 맞아 진행한 ‘신품종 전문 체험단’ 평가 결과를 소개했다.


이 조사는 지난해 7월 7일부터 17일까지 온라인 직거래 장터를 이용하는 고객 100명에게 ‘옐로드림’을 발송한 뒤, 맛과 겉모양 평가를 직접 듣는 방식으로 실시했다.


체험단은 ‘옐로드림’ 맛을 보고 7점 만점에 당도 5.6점, 산도 3.0점으로 신맛이 강하지 않고 달콤하다고 평가했다. 특히 ‘옐로드림’ 특유의 모양(6.1점)과 노란 바탕에 붉은 무늬가 더해진 색깔(6.0점)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했다. 


나이대별로는 30대는 높은 당도, 20대는 겉모양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전체적으로 신맛이 적다고 평가했다.


구매 의사와 관련해 체험단의 96.9%가 “구매하겠다”라고 답했다. 구매 이유로는 “당도·산도 비율이 좋아서(41.8%)”, “당도(24.5%)가 높아서” 등을 꼽아 맛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술지원과 장선화 과장은 “‘옐로드림’은 당도가 높고 신맛이 적어 소비자 선호도가 높다. 20·30대 젊은 층을 대상으로 맛과 모양을 내세운 전략적 판매 촉진 활동을 펼쳐 소비 활성화에 힘을 보태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옐로드림’을 비롯해 달콤한 천도 품종인 ‘스위트퀸’, ‘이노센스’ 등을 보급 중이다. 수확 시기는 ‘옐로드림’ 7월 초, ‘스위트퀸’, ‘이노센스’는 각각 7월 말, 8월 초이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롯데그룹, 농어촌 재난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감 커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은 2015년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당시 농어촌·농어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및 민간기업과 농어업인·농어촌 주민 간의 상생협력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설치한 기금으로, 2017년부터 민간의 자발적인 참여로 조성되고 있다.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의 우수 출연기업의 대표적 사례로 롯데그룹을 들 수 있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 13개 계열사가 꾸준히 기금 출연에 참여하고 있으며,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출연 상위기업으로 농어촌 지역 재난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롯데그룹은 2018년부터 기금출연을 시작으로 제주 농가 비료 지원, 지역쌀 소비촉진, 해양 안전사고 예방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하였고, 2022년부터 농어촌 지역의 이재민과 재난위기가정을 위한 구호물품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경북·강원 지역 산불피해 이재민 733가구, 집중호우 및 태풍(힌남노)피해 이재민 896가구, 재난위기가정 1,825가구 등 약 3,500여 가구에 2억 원 상당의 구호물품을 전달했다. 특히,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농촌지역의 재난위기가정에는 약 10억 원 규모의 농촌사랑상품권을 지원해 피해 주민의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 회복에 기여했다. 이러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정원,‘ 2026년 청년귀농 장기교육 신규기관’ 8개소 선정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은 2026년 청년귀농 장기교육 신규 운영기관으로 8개 기관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청년귀농 장기교육은 영농 경험이 부족한 청년층(만 40세 미만)의 안정적인 농업․농촌 정착과 역량 강화 지원을 위한 실습 중심의 장기체류형 교육과정이다. 신규 운영기관은 한 달여간의 공모 접수, 서류 및 발표 심사 후 8개 기관이 최종 선정됐다. 금년 장기교육 운영기관은 조기 선정되었으며 기존 5개 기관을 포함해 총 13기관에서 내년 1월부터 교육이 시작될 예정이다. 이는 예비 청년귀농인에게 농업창업에 필요한 현장경험과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해 청년 귀농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또한, 청년귀농 장기교육 운영기관의 안정적인 교육 운영·지원을 위해 교육 운영지정 기간이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연장 확대된다. 이는 금번 선정된 ’26년 신규 교육기관부터 적용된다. 교육운영 성과평가 우수기관(최근 2년간 성과평가 평균 A등급 이상)은 지정기간이 자동연장되며, 교육운영기관 내부 전문가의 교육강사 비율을 기존 50%에서 80%로 확대해 기관의 교육전문성 활용을 제고한다. 교육과정 구성도 개선하였다. 기존에는 귀농귀촌 필수 공통과목(귀농귀촌의 이해 및 지원정책,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