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먹핑족 위한 한우 캠핑요리" 추천

-“한우로 비주얼 살리고! 감성 더하고!”

야외 활동을 즐기기 좋은 초여름 날씨가 이어지며 캠핑족이 많아지는 가운데,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캠핑을 즐기는 이른바 ’먹핑‘ 유행도 이어지며 캠핑 레시피에 관심이 쏠린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동활)가 먹핑족을 위해 캠핑하며 쉽게 즐기기 좋은 한우 요리를 소개한다.

 


캠핑 요리의 꽃으로 고기가 빠질 수 없다. 최근에는 무쇠 그리들에 버터를 듬뿍 발라 통으로 굽는 ’한우 통스테이크‘가 인기다.

 

오목한 무쇠 그리들 안쪽에 기름이 모여 고기는 물론 마늘, 양파, 토마토 등 가니쉬에도 버터가 속속들이 배어들어 풍부한 버터와 함께 한우의 풍미를 최대로 느낄 수 있다. 등심, 안심 어느 부위를 선택해도 잘 어울리며, 굽는 시간만 잘 조절하면 입맛에 맞게 구워낼 수 있으니 도전해 보자.

 


이국적인 스타일의 바비큐로 캠핑 분위기와 찰떡인 ’한우 슈하스코‘도 좋은 선택이다.

 

슈하스코는 다양한 부위의 고기들을 양파, 감자 등 채소와 함께 꼬치에 끼워 먹는 브라질 전통 요리로, 다양한 주종과도 맛있게 즐길 수 있고 SNS에 올리기 좋은 비주얼까지 자랑한다.

 

쫀득쫀득한 식감과 진한 육향의 한우 설깃머리살 또는 취향에 맞는 어떤 한우고기를 활용해도 좋다. 


최근 열혈 캠퍼들 사이에서 빗속에서 캠핑을 즐기는 ’우중 캠핑‘도 유행하고 있다. 곧 장마철이 시작되면, 쏟아지는 빗소리를 음악 삼아 고즈넉한 분위기 속에서 한우와 함께 평화로운 힐링의 시간을 만끽해보자. 

 


비 오는 날에는 기름진 전이 빠질 수 없다. ’한우 육전‘은 어떤 부위로도 쉽게 만들 수 있어 비가 올 때도 제격인 음식이다. 얇게 썰어진 홍두깨살, 우둔살, 보섭살 등 원하는 부위를 선택해 소금과 후추로 간한 뒤 부침가루, 계란물을 순서대로 묻히고 기름에서 충분히 지지듯 구워주면 완성이다.

 


비가 오면서 다소 쌀쌀해진 기온에 따뜻한 국물 요리가 생각난다면, 시판 한우 사골 육수를 활용해 손쉽게 한우 사태 수육을 만들어보자.

 

한우 사태 수육은 담백하고 부드러워 아이들과 함께하는 캠핑에서도 먹기 좋은 메뉴다. 사태는 핏물을 빼고 뭉근한 불에 삶아서 준비한다. 좋아하는 채소와 부추를 듬뿍 넣고 삶아 둔 사태를 그 위에 올려 한우 사골 육수 간편식을 넣고 10분간 끓여 내면 쫀득한 매력의 수육이 완성된다. 


한우 명예홍보대사 엄유희 교수(서울시 동부기술교육원 관광조리과)는 “특히 사태 부위 중에서 아롱사태가 쫄깃한 맛과 풍부한 육즙으로 수육용으로 활용하기 좋다”라며, “꼭 사태 부위가 아니더라도 목심, 앞다리, 양지, 우둔, 설도 등 살코기가 많은 부위를 활용하면 국물의 맛을 높여주며 저지방 고단백 식단으로 즐기기도 좋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우자조금은 다가오는 여름을 맞아 오는 28일까지 여름맞이 온라인 한우장터를 개최하여 전국 총 14개 브랜드의 한우를 대형마트 정상가 대비 최대 60% 할인 판매한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촌진흥청, 스마트팜 '청년 창업농'...정착지원 점검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새 정부 국정과제와 연계한 중점 추진 과제의 실행력을 강화하기 위해 10월 15일 전남 영암에 있는 무화과 스마트팜 청년 창업 농가를 방문, 운영 현황을 살피고 안정 지원책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날 방문한 청년 창업 농가는 지난해 스마트팜을 구축한 후 무화과를 재배해 백화점, 온라인 등에서 판매하고 있다. 이 청장은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팜에서 무화과가 재배되는 현황을 둘러보고 농장 운영 상황에 대해 자세히 들었다. 이 자리에서 농가 대표는 청년 창업농, 귀농인이 농촌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여러 방안이 꾸준히 제시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청장은 이에 공감하며, 스마트팜 도입 초기 시설 투자 비용을 줄이는 방법과 생육 관리 데이터 분석‧활용 교육 지원책 등 다양한 지원 방안에 대해 의견을 피력했다. 이와 함께 이 청장은 “최근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스마트팜 융합 모형을 적용하면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해 설치비 부담을 줄이고, 개별 스마트팜 기술을 골라 적용하거나 묶음으로 설치할 수 있다.”라고 소개했다. 이 기술이 보급되면 스마트팜 환경 관리 지능화, 농작업 자동화, 에너지 최적화를 구축해 작물 생산성과 농가 소득 증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