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전국 305개 저수지 준설…주민들은 지속적인 준설 원해

한국농어촌공사, 강화 대산저수지 준설 현장…휴일도 잊은 채 공사 진행

이참에 물그릇 키워 다음 가뭄 대비해야죠

강화 대산저수지 준설 현장휴일도 잊은 채 공사 진행

전국 305개 저수지 준설주민들은 지속적인 준설 원해

 

강화군 송해면 숭뢰리에 위치한 대산저수지. 저수규모 127만톤으로 여의도 면적만한 인근 1500가구에 농업용수를 대는 송해면의 젖줄이다.

평소 같으면 농부나 낚시채를 든 강태공들이 보여야 할 이곳에 최근 들어 불도저와 포크레인, 덤프트럭 같은 중장비가 즐비하다. 축구장 40개만하다는 저수지는 이미 바닥을 드러낸지 오래. 불도저와 포크레인은 이 저수지 아닌 저수지 바닥의 흙을 쉴새없이 파 덤프트럭에 쏟아붓고 있다.

이 저수지에서 저희가 퍼내야 할 흙은 16000m³입니다. 포크레인 한 삽의 흙이 대략 1m³이니 16000번을 퍼담아야 목표치대로 준설하게 되는 셈입니다.”

준설을 책임진 한국농어촌공사 강화지사 이동재 현장감독의 설명이다. 이동재 감독은 준설은 물이 완전히 빠져야만 할 수 있다이번 기회에 대산저수지의 물그릇을 키워 다음 가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이번 준설공사 의미를 밝혔다.

 

대산저수지는 지난 1980년 준공 이래 인근 농가에 안정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해왔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물이 줄더니 올 5월 말 급기야 바닥까지 드러냈다.

그간 10년에 한 번꼴로 물이 빠진 적은 있지만 올해처럼 완전히 바닥을 드러내기는 처음이라 마을주민들의 걱정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강화군 송해면 숭뢰리에 자리한 대산저수지와 인근 농토. 겨우 모내기는 했지만 한여름 성장을 위해서는 물이 시급한 실정이다.

 

숭뢰리 박시현 이장은 모내기철은 다가오는데 물은 부족하고, 저수지 안 깊숙한 곳까지 들어가 고인 물을 10일 이상 퍼냈다며 그간의 고생담을 이야기했다. 이어 준설은 원한다고 할 수 있는 일이 아닌데 가뭄 때문에 준설을 하게 됐으니 그나마 불행 중 다행이라고 애써 웃는 모습을 보였다.

20대에 가까운 중장비가 동시에 움직이니 공사 현장은 매우 시끄럽다. 그래도 주민들은 틈나는대로 공사현장에 찾아가 직원들을 격려하고 있다. 숭뢰리 토박이로 논농사 4500평을 짓는 전찬혁 할아버지(70)가 그렇다.

전 할아버지는 대산저수지가 있어 그동안 물 걱정 안하고 농사를 지었다겨우 모내기는 했는데 앞으로가 걱정이 돼 며칠전까지 해도 한숨만 나왔다고 답답했던 심정을 털어놨다.

이어 이제 준설하는 모습을 보니, 내가 기운이 다 난다. 저수량이 커진 만큼 이제 웬만한 가뭄도 버틸 수 있지 않겠냐며 흐믓한 표정을 지었다.

 

마을 토박이로 농부이기도 한 전찬혁 할아버지가 농어촌공사 및 공사업체 직원에게 준설에 대한 고마움과 함께 좀 더 시원하게 파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이런 주민들의 마음을 헤아리기라도 한 듯 공사직원들도 더위에 구슬땀을 연신 닦아가며 준설에 매진하고 있다.

공사업체인 인송건설 임승준 소장은 하루 8시간 공사지만 오전 7시부터 나와 2시간을 더 일한다. 준설 초기에는 저녁 9시까지 하기도 했다직원들 모두 열흘 가까이 집에 못 간 채 휴일없이 일하고 있지만 마을 어르신들의 응원에 힘든 줄을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이왕 시작한 김에 주민들의 바람대로 더 시원하게 팠으면 하면 심정이다고 더 많은 준설에 대한 의욕을 내비쳤다.

이와 관련해 조춘행 한국농어촌공사 강화지사 부장은 이곳 뿐 아니라 강화 6곳 준설 현장에 가면 주민들로부터 이 참에 더 많이 준설해달라는 말을 듣는다예산 상 어쩔 수 없지만 농민들의 애타는 마음을 알기에 그럴 때마다 마음이 찡하다고 말했다.

이어 저수지가 잘 관리되도록 가뭄 때마다 체계적으로 준설할 수 있도록 매해 지속적인 (준설)지원이 필요한 것 같다고 현장의 목소리를 대변했다. 이번 대산저수지 공사 준설량은 16000m³. 포크레인으로 16000번을 퍼내야 한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는 올 가뭄기간 81억원을 들여 전국적으로 305개 저수지를 준설하고 있다. 이를 통해 80의 퇴적 토사를 제거하는 등 전국의 저수지 물그릇을 키워 다음 가뭄에 대비할 계획이다.

박근혜 대통령도 지난달 21일 강화지역 저수지를 둘러보며 저수지가 말라 있을 때 준설하면 적은 비용으로 물그릇을 키울 수 있다며 장마전까지 시군 저수지 준설 지원 확대를 지시한 바 있다.

 

준설은 이번 주 거의 끝나고 이제 남은 것은 비가 오는 것. 다행히도 기상청에 따르면 7~8일 전국적으로 장마가 시작된다.

이번 비가 물그릇이 한층 커진 저수지에 한껏 저장돼 한여름 더위를 이겨낼 수 있기를 농민들은 기대하고 있다. 기동취재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신유통토론회...'지방소멸시대, 지역농협의 역할'
농촌살리기현장네트워크 사회적협동조합(이사장 이동필)과 농식품신유통연구원(이사장 원철희, 원장 김동환)은 최근 aT센터에서 ‘지방소멸시대 지역농협의 역할과 과제’를 주제로 제106차 신유통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지방소멸시대를 맞이하여 농촌 인구 감소 현상이 지역농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개최하였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023년 2월 기준 소멸위험 시군구는 118곳으로, 전체 228개 시군구의 52%를 차지한다. 고령사회 진입과 청년인구 유출은 지방소멸의 중요한 원인이며, 한국의 소멸위험지역이 인구 50만의 대도시와 대도시 원도심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뿐만 아니라 지역농협을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심층적인 논의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기조발제에서 이동필 농촌살리기현장네트워크 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은 농촌소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농협이 지역사회 발전에 중요한 행위자로 보다 적극적으로 기능할 필요가 있으며, 협동조합의 정체성에 기반하여 지역과 조합원 수요에 부합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했다. 김태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시니어이코노미스트는 ‘일본 지역농협의 대응사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