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살리기현장네트워크 사회적협동조합(이사장 이동필)과 농식품신유통연구원(이사장 원철희, 원장 김동환)은 최근 aT센터에서 ‘지방소멸시대 지역농협의 역할과 과제’를 주제로 제106차 신유통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지방소멸시대를 맞이하여 농촌 인구 감소 현상이 지역농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개최하였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023년 2월 기준 소멸위험 시군구는 118곳으로, 전체 228개 시군구의 52%를 차지한다. 고령사회 진입과 청년인구 유출은 지방소멸의 중요한 원인이며, 한국의 소멸위험지역이 인구 50만의 대도시와 대도시 원도심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뿐만 아니라 지역농협을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심층적인 논의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기조발제에서 이동필 농촌살리기현장네트워크 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은 농촌소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농협이 지역사회 발전에 중요한 행위자로 보다 적극적으로 기능할 필요가 있으며, 협동조합의 정체성에 기반하여 지역과 조합원 수요에 부합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강조했다.
김태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시니어이코노미스트는 ‘일본 지역농협의 대응사례’에서 일본 지역농협의 자기개혁 추진 방향과 함께, 이를 위한 소득증대(6차 산업화 등), 지역공헌(SDGs 연계 등), 지역 내 이업종간 연대 등 실천 활동을 소개하였다.
박성재 GS&J 시니어이코노미스트는 ‘지방소멸위기와 지역농협 금융사업의 과제’에서 지방소멸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외부 자원에 의존하기보다는 기존의 지역 자원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역사회와 밀접한 지역농협 금융의 강점을 지방소멸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활용해야 함을 제시했다.
이준원 한국FAO 협회장은 ‘청년 조합원 확보 및 고령조합원 배려 방안’에서 농협조합원 중 청년농(40세 미만)이 차지하는 비중이 현재 2% 정도에 불과함을 지적하며, 그 비중을 4%대까지 증가시키기 위해 지역농협 차원에서 스마트팜 등 시설지원 및 기술지도를 통해 농업에 대한 청년의 기대소득 수준을 향상시켜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지역농협이 농지연금을 장려하고 요양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윤주이 단국대학교 초빙교수는 ‘지역농협의 ESG 경영 전략’에서 지역농협의 생존을 위해 ESG 경영 실천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에 해당하며, 탄소중립 선도, 농업·농촌의 포용성 확대, 농협의 지배구조 개선을 진행함으로써 지역농협이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김동환 농식품신유통연구원 원장은 ‘지방소멸 시대 지역농협의 경제사업 발전 전략’에서 지역농협 경제사업이 지역농업 선도형 및 지역사회 개발형으로 나아가야 함을 제시하며, 조합원 유형별 경제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디지털전환을 추진하는 등 각종 경제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강조하였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윤주이 단국대학교 초빙교수의 진행하에 권순협 안동농협 前조합장, 김기태 협동조합연구소 이사장, 김대현 농협경제연구소 연구위원, 김동현 농림축산식품부 농업금융정책과장, 김재호 신북농협 조합장, 서용석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사무총장, 임창덕 농협안성교육원 부원장, 황의식 GS&J 원장 등이 열띤 토론을 펼쳤다.
원철희 농식품신유통연구원 이사장은 개회사에서 가속화되는 농촌지역의 인구감소를 넘어 인구 소멸, 지방 소멸로 표현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 속에서 본 토론회를 통해 지역 농협의 역할을 재발견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연설하였다. 박시경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