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생육 후기 관리가 건강한 콩 수확·종자 확보 좌우

주요 병 증상 미리 알아둬야… 필요 시 돌려짓기로 토양 관리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콩을 안정적으로 수확하고 이듬해 건강한 종자를 확보하려면 생육 후기에 주의해야 할 주요 병의 특성과 관리 방법을 소개했다. 생육 중기와 후기에 잦은 비와 바람은 각종 병을 일으킨다. 특히, 물이 잘 빠지지 않는 땅에서는 검은뿌리썩음병·흰비단병 등, 물이 잘 빠지는 땅은 시들음병이 생길 수 있다.

 

검은뿌리썩음병은 서늘하고 습할 때 많이 나타나며, 잔뿌리가 검게 변하고 땅과 닿는 부분은 오렌지색 자낭각이 형성된다. 흰비단병은 기온이 높고 습한 환경에서 잎과 줄기가 마르고, 땅에 닿은 부위에 흰곰팡이와 좁쌀 모양의 흰색 또는 갈색 균핵이 생긴다. 시들음병은 식물체가 전체가 말라 죽게 되며, 줄기를 세로로 자르면 수분이 지나가는 통로가 갈색이나 검은색으로 변해 있다.

 

현재 위의 세 가지 병에 대한 등록된 약이 없어 약제 방제가 어렵다. 따라서 물 빠짐 관리를 철저히 하고 이듬해 다른 작물로 돌려짓기를 하며 관리하는 것도 방법이다. 생육 후기에 비가 자주 내리면 탄저병, 미이라병, 자주무늬병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탄저병은 줄기, 꼬투리, 잎자루 등에 증상이 나타나며, 갈색의 어둡고 불규칙한 반점이 생겨 검은색 점으로 덮인 것처럼 보인다. 꼬투리가 감염되면 곰팡이가 꼬투리 안을 메우거나 종자가 쪼그라들어 비정상적인 모양이 된다.

 

미이라병 또한 줄기, 꼬투리, 잎자루, 종자에서 증상을 보인다. 병에 걸린 꼬투리는 크기가 작아지고 납작해지며, 종자가 감염되면 오그라들거나 길게 늘어난다. 금이 가고 종종 희끗희끗하게 보이거나 썩기도 한다. 자주무늬병은 종자가 분홍 또는 자주색으로 변하며 수량이 줄어드는 것보다는 품질을 떨어뜨리는 데 영향을 미친다.

 

감염된 종자는 이듬해 파종 시 반드시 소독을 한다. 약은 수확 21일 전까지 잎에 뿌릴 수 있으며, 수확할 때 건강한 꼬투리와 종자를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약제와 관련된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사로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생산기술개발과 윤영남 농업연구사는 “고품질 콩을 안정적으로 수확하고 다음해 건강한 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마지막까지 병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각 병의 특징을 숙지해 병 발생 시 이에 맞는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당부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임차농' 보호 서둘러야!... ‘유령농부’가 웬말이냐?
실제 농사를 짓고 있음에도 농업인으로 등록하지 못한 채 제도 밖으로 밀려난 ‘유령농부’들이 있다. 바로 임차농들이다. 최근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지 못해 경영체 등록을 하지 못하는 임차농 사례가 확산되면서 7월 10일 국회 본청 앞에서 ‘임차농 보호를 위한 유령농부 국회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은 제22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이원택 의원을 비롯해 문대림, 임미애, 임호선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김선교 의원(국민의힘)이 공동 주최하고, 9개 생산자·소비자단체(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두레생협연합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먹거리연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한살림생산자연합회, 한살림소비자생활협동조합연합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무더위 속에서도 임차농 보호를 촉구하는 소비자와 생산자 50여 명이 참석해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 현장에는 유기농 인증이 취소된 단호박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주최 측은 농부의 땀과 정성이 담긴 이 유기 재배 단호박이 바로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유령농부’의 현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친환경농업 2배 확대’를 약속한 만큼 생산 기반인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임차농' 보호 서둘러야!... ‘유령농부’가 웬말이냐?
실제 농사를 짓고 있음에도 농업인으로 등록하지 못한 채 제도 밖으로 밀려난 ‘유령농부’들이 있다. 바로 임차농들이다. 최근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지 못해 경영체 등록을 하지 못하는 임차농 사례가 확산되면서 7월 10일 국회 본청 앞에서 ‘임차농 보호를 위한 유령농부 국회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은 제22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이원택 의원을 비롯해 문대림, 임미애, 임호선 의원(더불어민주당)과 김선교 의원(국민의힘)이 공동 주최하고, 9개 생산자·소비자단체(농정전환실천네트워크, 두레생협연합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먹거리연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한살림생산자연합회, 한살림소비자생활협동조합연합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주관했다. 무더위 속에서도 임차농 보호를 촉구하는 소비자와 생산자 50여 명이 참석해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 현장에는 유기농 인증이 취소된 단호박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주최 측은 농부의 땀과 정성이 담긴 이 유기 재배 단호박이 바로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인 ‘유령농부’의 현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친환경농업 2배 확대’를 약속한 만큼 생산 기반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