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생육 후기 관리가 건강한 콩 수확·종자 확보 좌우

주요 병 증상 미리 알아둬야… 필요 시 돌려짓기로 토양 관리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콩을 안정적으로 수확하고 이듬해 건강한 종자를 확보하려면 생육 후기에 주의해야 할 주요 병의 특성과 관리 방법을 소개했다. 생육 중기와 후기에 잦은 비와 바람은 각종 병을 일으킨다. 특히, 물이 잘 빠지지 않는 땅에서는 검은뿌리썩음병·흰비단병 등, 물이 잘 빠지는 땅은 시들음병이 생길 수 있다.

 

검은뿌리썩음병은 서늘하고 습할 때 많이 나타나며, 잔뿌리가 검게 변하고 땅과 닿는 부분은 오렌지색 자낭각이 형성된다. 흰비단병은 기온이 높고 습한 환경에서 잎과 줄기가 마르고, 땅에 닿은 부위에 흰곰팡이와 좁쌀 모양의 흰색 또는 갈색 균핵이 생긴다. 시들음병은 식물체가 전체가 말라 죽게 되며, 줄기를 세로로 자르면 수분이 지나가는 통로가 갈색이나 검은색으로 변해 있다.

 

현재 위의 세 가지 병에 대한 등록된 약이 없어 약제 방제가 어렵다. 따라서 물 빠짐 관리를 철저히 하고 이듬해 다른 작물로 돌려짓기를 하며 관리하는 것도 방법이다. 생육 후기에 비가 자주 내리면 탄저병, 미이라병, 자주무늬병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탄저병은 줄기, 꼬투리, 잎자루 등에 증상이 나타나며, 갈색의 어둡고 불규칙한 반점이 생겨 검은색 점으로 덮인 것처럼 보인다. 꼬투리가 감염되면 곰팡이가 꼬투리 안을 메우거나 종자가 쪼그라들어 비정상적인 모양이 된다.

 

미이라병 또한 줄기, 꼬투리, 잎자루, 종자에서 증상을 보인다. 병에 걸린 꼬투리는 크기가 작아지고 납작해지며, 종자가 감염되면 오그라들거나 길게 늘어난다. 금이 가고 종종 희끗희끗하게 보이거나 썩기도 한다. 자주무늬병은 종자가 분홍 또는 자주색으로 변하며 수량이 줄어드는 것보다는 품질을 떨어뜨리는 데 영향을 미친다.

 

감염된 종자는 이듬해 파종 시 반드시 소독을 한다. 약은 수확 21일 전까지 잎에 뿌릴 수 있으며, 수확할 때 건강한 꼬투리와 종자를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약제와 관련된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사로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생산기술개발과 윤영남 농업연구사는 “고품질 콩을 안정적으로 수확하고 다음해 건강한 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마지막까지 병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각 병의 특징을 숙지해 병 발생 시 이에 맞는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당부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