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열대거세미나방' 유충 발견즉시 신고, 방제 당부

- 전국 농촌진흥기관 비래해충 성충 발생 조사 강화

지난 17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삼달리와 제주시 한림읍  수원리에서 관리 해충인 열대거세미나방 성충이 각각 1마리씩 발견됐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열대거세미나방의 대규모 발생에 대비해 빠른 방제를 위한 대응체계를 정비하고, 관련기관 및 각 지역 농촌진흥기관과 협력해 비래해충 성충 포획장치(곤충 성페로몬 트랩)를 활용한 조사를 강화하고 있다.
  
아직까지 열대거세미나방 유충에 의한 옥수수 피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과 협력해 제주 전 지역 옥수수 재배지에 대한 정밀 예찰(5.18.~6.15.)을 실시하고 있다.

 


아울러 전국 농업기술원과 농업기술센터의 해충 예찰․방제 담당자가 육안이나 성페로몬 트랩으로 유인 조사하고 있으며, 실시간 발생 상황을 공유해 제주 이외 지역의 열대거세미나방의 발생 동향을 파악하고 있다.

올해 열대거세미나방은 2021년보다 약 3주, 2020년보다 약 2주 늦게 처음 발견됐다. 중국 남부지방의 기온이 예년보다 낮아 해충의 초기 발육이 더뎌지면서 우리나라로 날아오는 시기 또한 늦어진 것으로 보인다.
중국 농업부 전국농업기술추광복무중심(NATESC)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중국 광동성, 광서성, 복건성 등 남부지방의 열대거세미나방 성충 밀도가 매우 높아졌다.
 
특히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절강성에서 열대거세미나방 성충이 출현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열대거세미나방의 국내 유입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열대거세미나방 피해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 124개국에서 나타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농가와 농촌진흥기관의 적극적인 협조로 대규모 피해는 없었다.

 


농촌진흥청은 열대거세미나방을 초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옥수수․보리․수수 등 벼과(科)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서 자가 예찰을 강화해 달라고 당부했다.
어린 유충기에 제때 방제하면 피해율은 1퍼센트 정도에 그치지만, 방제  시기를 놓치면 10~50퍼센트까지 피해율이 증가할 수 있다.

열대거세미나방 유충이 갉아먹은 흔적을 발견한 즉시 병해충 신고 대표전화(1833-8572)나 가까운 농업기술센터로 신고하고,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에 등록된 약제를 확인한 뒤 방제해야 한다.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노형일 과장은 “열대거세미나방으로 의심되는 해충을 발견할 경우 즉시 신고하고 신속하게 방제해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농가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한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