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축단협 성명 "국내산 계란 폐기하고 외국 계란 수입하는 정신 나간 정부"

농민단체들 “AI살처분으로 아픔을 겪는 가금농가의 가슴에 대못을 박는가?”

 

지난해 11월 고병원성 AI 첫 발생 이후 1월 19일 현재까지 무분별하게 살처분한 가금 숫자는 무려 1천8백83만수에 달하는 막대한 피해를 발생한 가운데 정부가 물가를 잡는다는 미명하에 외국산 계란 수입을 추진하고 있어 충격을 주고 있다.

 

대한양계협회는 19일 성명을 통해 무책임하고 무차별적인 살처분 정책으로 국내산 계란은 폐기하고, 외국 계란을 수입하는 대책이야 말로 정부의 방역정책의 실패를 농가 탓으로 돌리는 파렴치한 행위라 지적했다. 

전국 축산농가들의 뜻을 모아 축산관련단체협의회 역시 AI로 고통받는 가금농가들의 가슴에 대못을 박는 정부의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그 동안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정부의 AI 발생농장 3km 내 무차별적인 예방적 살처분 정책이 비과학적이고 축산업 생태계를 파괴하는 행위이자 코로나19로 가뜩이나 어려움에 처한 소비자에겐 닭고기, 계란값 폭등으로 가정 경제에 타격을 미치는 무책임한 행위임을 경고하고, 즉각 중단되어야 한다고 촉구해 왔다.

 

AI로 만신창이가 된 가금농가의 농심은 아랑곳 하지 않고, 소비자 물가 안정이라는 허울 좋은 모양새를 내기 위해 수입계란으로 국내 시장을 대체하겠다는 이러한 정부의 행정편의적 발상은 엄동설한에 닭과 오리를 땅에 묻고 설움을 삼키는 가금농가를 우롱하는 것이며, 국내 가금산업을 붕괴시키는 만행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치에도 맞지 않는 외국산 계란 수입 방침을 즉각 철회하고 지금 당장 무조건적인 3km 반경 살처분 정책을 폐기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AI로 무너져가는 가금산업을 지키기 위해 조속히 생산기반을 회복할 수 있는 현명한 방역정책을 세울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전국 축산농가는 무너져 가는 가금산업을 지키고자 할 수 있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소비자단체와 함께 '등급계란' 바로알기 캠페인
축산물품질평가원 대전충남지원(지원장 선창완)은 지난 25일 소비자단체 (대전세종 소비자공익네트워크)와 협력하여 ‘등급계란 인식 제고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세종시 ‘세종로컬푸드 싱싱장터 아름점’에서 이뤄졌으며, 로컬푸드 생산자 협의체와 함께 진행됐다. 현장에서 소비자에게 계란 등급판정 및 이력관리 제도의 취지와 필요성을 설명하고, 계란 껍데기에 표기된 숫자의 의미와 확인 방법(산란일자, 생산자 고유번호, 사육환경)및 신선한 계란 고르는 방법 등을 소개하여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진행하였다. 또한 소비자가 등급판정 과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제도의 이해도를 높였다. 행사에 참석한 시민들은 “계란 껍데기에 다양한 정보가 들어 있다는 사실이 새로웠다”며 “계란 선택 시 등급 표시와 이력번호를 더 꼼꼼히 살펴 봄으로써 제도를 올바르게 활용하는 소비자 역할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선창완 대전충남지원 지원장은 “축산물 품질평가 및 이력관리 제도 등은 소비자 알권리 충족과 더불어 유통의 투명성을 통해 국내 축산물의 안심소비를 위한 것이다.” 라며 “앞으로도 소비자와 현장 소통을 통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축산물 소비 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