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촌진흥청,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7건 선정

농업과학기술 연구성과 우수성 대외적으로 인정받아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2020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에 농촌진흥청의 연구성과 7건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국립농업과학원 최용수 박사 등 7명이 ‘2020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이번에 선정된 농촌진흥청의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는 생명·해양분야 6건과 인프라분야 1건으로, 생명·해양분야에서 ‘토종벌 멸종 위기 바이러스병 저항성품종 개발 및 사업화’, ‘작물 수분스트레스 진단 및 적정 수분공급을 위한 인공지능 관개시스템 개발’, ‘토종 유산균 활용 순식물성 쌀 발효 신소재 개발 및 산업화’, ‘소비 및 생산 환경 변화에 대응한 사과 신품종 개발∙보급’, ‘기후변화에 대응한 닭의 고온 스트레스 적응 유전자 발굴 및 기작 구명’, ‘가축유전자원 동결보존 시스템 구축’이 선정되었으며, 인프라분야에서 ‘농장단위의 작물별 맞춤형 기상·재해 예측 조기경보 서비스’가 우수성과로 선정되었다.

 

 

토종벌 멸종 위기 바이러스병 저항성품종 개발 및 사업은 토종벌의 에이즈라 불리는 ‘낭충봉아부패병’ 저항성 품종 2종(한라벌, 백두벌)을 개발·보급하여 국내 양봉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함께 멸종 위기 토종벌 복원에 기여하고 있다.

 

작물 수분스트레스 진단 및 적정 수분공급을 위한 인공지능 관개시스템 개발은 인공지능과 객관적 데이터에 기반한 최적 물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관개시스템 기술을 관련 기업체에 기술이전하여 산업화를 준비하고 있다.

 

토종 유산균 활용 순식물성 쌀 발효 신소재 개발 및 산업화는 국내 쌀 소비를 촉진과 새로운 식물성 식품 시장에 대응하여 우리 쌀과 토종 유산균을 활용한 발효 신소재 개발 기술을 농식품 업체에 기술이전하여 쌀 신소재가 함유된 제품을 생산, 판매할 계획이다.

 

소비 및 생산 환경 변화에 대응한 사과 신품종 개발·보급은 급변하는 소비·생산 환경 변화에 대응한 다양한 사과 신품종(루비에스, 컬러플, 썸머프린스 등)을 개발하고 맞춤형 품종 정보서비스 제공을 통한 보급 확대, 공동출하를 통해 사과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하였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닭의 고온 스트레스 적응 유전자 발굴 및 기작 구명은 여름철 폭염에 폐사율이 높은 닭의 고온 저항성 닭 육종을 위해 아프리카의 닭을 활용하여 고온 스트레스 특이반응 유전자 및 발현 기작을 구명하여 원천기술을 확보하였다.

 

가축유전자원 동결보존 시스템 구축은 생식세포의 동결보존기술을 확립하여 국가가축유전자원을 안정적으로 보존하고 후대 연구 재원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되었다.

 

농장단위의 작물별 맞춤형 기상·재해 예측 조기경보 서비스는 상세한 기상정보 예측 알고리즘 개발로 농장단위의 작물별, 맞춤형 재해예측정보 서비스를 제공하여 농작물의 기상 재해 최소화에 기여하였으며 광역실증을 거쳐 앞으로 전국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그동안 농촌진흥청은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선정이 시작된 2006년 이후 꾸준히 성과를 이뤄내 현재까지 99건이 선정됐다.

 

 

앞으로 농촌진흥청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농업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농업기술의 디지털화, 빅데이터 활용기술 등 연구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농업과학기술 개발과 보급에 집중하여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미래가치 창조에 농업의 역할을 확고히 할 수 있는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홍성진 연구정책국장은 “농촌진흥청은 농업R&D를 주도하는 국가기관으로서 목표중심 어젠다 사업 수행을 통해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 연구를 충실히 수행한 결과이다”라며, “또한,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농업 구축, 타 산업과의 융복합 연구 활성화, 지역단위 현장 중심의 R&D 등 농업과학기술의 혁신을 선도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농업연구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