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건고추' 말리는 노하우?... ‘65℃ 6시간 건조’

농촌진흥청, 고품질 건고추 생산 위한 건조 조건 연구결과 발표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고춧가루의 원료가 되는 건고추를 안전하면서 고품질로 생산할 수 있는 건조 조건을 제시했다.

고추는 8월부터 늦가을까지 수확하며, 수확 후 바로 건조시켜 고춧가루의 원료인 건고추로 만든다. 고춧가루의 품질은 건고추가 좌우하기 때문에 고추 건조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농가에서는 비닐하우스 등에서 햇빛으로 말리는 자연건조, 건조기를 이용한 열풍건조 등으로 고추를 말리며, 건고추의 붉은 색을 살리기 위해 50∼55℃를 선호하고 있다.

 

연구 결과, 65℃ 이상에서 건조한 고추는 미생물 오염도가 99% 감소했으며, 70℃로 온도를 높이면 99.99% 이상 감소했으나 건고추의 색이 어두워져 상품성이 떨어졌다.

이에 65℃로 6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55℃로 낮춰 건조하면 미생물 오염도는 99% 감소하고, 색도 어둡지 않은 건고추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류경열 유해생물팀장은 “고춧가루는 매운맛을 사랑하는 한국인의 밥상에 꼭 필요하고 많이 쓰이는 양념 중 하나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안전하면서도 품질 좋은 건고추 생산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해 고추의 병해충 관리 등 재배단계뿐만 아니라 건조 과정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라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