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코로나19‧기후변화 대응할 ‘농업 신기술’ 필요하다

KREI, ‘2020 지속가능 농업개발위한 글로벌 ODA 포럼’ 개최

 

코로나19와 기후대응 변화 등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겪고 있는 문제를 풀기 위해 농업에 새로운 기술을 접목해 나가야 한다는 의견이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이 같은 의견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가 주최하고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이 주관한 2020 지속가능농업개발을 위한 글로벌 ODA 포럼’에서 나왔다.

 

포럼에서는 코로나19에 대응한 국제사회의 농업개발협력 전략을 공유하면서 식량안보, 스마트농업, 가축방역, 농업 가치사슬에 대한 국제기구 및 여러 국가의 전략과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의 프랭크 리즈버만(Frank Rijsberman) 사무총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농식품 가치사슬의 붕괴와 코로나19에 따른 새롭고 혁신적인 농업 생산과 농식품 유통·보급 체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리즈버만 사무총장은 “미래 농업 및 농식품 부문은 기후변화와 전 세계 인구의 영양학적 문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환경과 기후, 보건을 포괄적으로 고려한 농식품 체계의 발 빠른 변화,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농업부문 기후변화의 혁신적 대응, 농업부문의 신재생 에너지 활용을 통해 코로나19 펜데믹과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1분과에서는 코로나19와 관련한 식량안보 전략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세계식량프로그램(UN WFP) 한국사무소의 임형준 소장은 WFP가 식량배급을 위해 다목적 현금, 이카드(e-card) 등 다양한 방식을 고안해왔으며 국경에서 자가격리하고 있는 이민자들을 위한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 밝혔다.

 

국제미작연구소 플로리 캐롤린(Florey Carolyn) 기술책임자는 농업부문 개발은 농가의 생산성과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특히 디지털 농업을 통해 전 세계 농식품 가치사슬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 강조했다.

 

세계은행 마두르 가우탐(Madhur Gautam) 수석경제학자는 코로나 팬데믹이 수백만 인구의 소득과 영양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이러한 팬데믹에 대한 단기적이고 중장기적인 전략 수립을 통해 상황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필리핀 농업부 페르난도 플로어스(Fernando D. Flores) 사업개발국장은 포스트코로나에 대응한 필리핀 농업부의 전략을 공유하면서 필리핀의 식량 생산 전략, 농업기술 개발, 식품 보급 전략 등을 공유했다.

 

2분과에서는 코로나19와 관련한 스마트농업 현황에 대해 다양한 발표와 논의가 이루어졌다. 국제농업개발기금 시몬 살라(Simone Sala) ICT 전문위원은 농업 생산성 증대를 통해 농촌 지역의 사회·경제적 환경 개선을 촉진하는 ICT 활용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

 

유엔해비타트 더글라스 라간(Douglas Ragan) 프로그램 전문가는 농업부문 협력 프로젝트에 대한 논의와 환경 개선, 지역 경제 및 공동체, 글로벌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제시했다. 베트남 정부 농업·농촌개발부 응우옌 도 앙 뚜언(Nguyen Do Anh Tuan) 국제협력국장은 베트남과 한국 정부의 베트남 농업개발 관련 ICT 적용 사례를 소개하며 향후 협력 과제에 대해 발표했다.

 

마지막 발표자인 라오스 농림부 포미 인티착(Phommy Inthichack) 국제협력 부국장은 라오스 경제에 있어 농업의 중요성과 개발목표, 그리고 코로나19에 대응한 라오스 농림부의 ICT 및 스마트팜 전략을 공유했다.

 

1분과 토론에서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윤지현 교수는 “WFP가 식량안보 관점에서 사업을 잘 운영하고 있으나, 사업의 효율성 제고 방안과 영양전문가 영입을 통한 농업 ODA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2세션 토론에서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전우석 과장은 “많은 국가에서 소작농들이 제한된 정보 접근성으로 인해 영농활동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면서, ‘한국 정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스마트마을과 같은 프로젝트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러한 정보 접근성 확대는 코로나 사태로 인한 식품의 취약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기후변화, 전염병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고 밝혔다.

 

 

분과에서 국제축산연구소 훙 응우옌-비엣(Hung Nguyen-Viet) 동물건강사업책임자는 ILRI가 동물보건 지원 방안으로 인간, 동물, 환경의 세 가지 중점 요소를 고려한 원헬스(One Health) 접근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인수공통 감염, 항생제 내성 등의 당면과제를 해결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몽골 정부의 자야 바트히시그(Zaya Batkhishig) 대외관계담당관은 축산업은 몽골 노동력의 25%를 담당하고 있는 주요 산업으로 정부 차원에서 원헬스 전략과 세계동물보건기구의 지침을 적용하는 등 정책과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고 밝혔다.

 

4분과에서 글로벌녹색성장기구 로맹 브리에(Romain Brillie) 전문가는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 생산성 감소, 식량안보 불안정성 증대 등의 문제가 지속되고 있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정부의 재정적·기술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엔개발계획 유스케 타이시(Yusuke Taishi) 기술자문위원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에는 820만명의 영양결핍상태 인구가 증가했으며, UNDP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여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미얀마 농축산관개부 쪼쉐린(Kyaw Swe Lin) 국제협력국장은 공적개발원조는 포스트코로나 경제개발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며 미얀마 정부는 농업부분에 대한 적극적 투자를 통해 식량안보와 더불어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 밝혔다.

 

KREI 국제농업개발협력센터 허장 센터장은 “이번 포럼에서는 전 세계에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는 식량안보와 가축질병의 대응, 이의 해결 방안으로서의 스마트 농업과 근본적 해결 방안이 필요한 농업가치사슬 개선이라는 무거운 주제로 논의가 이루어졌다”고 언급하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국제기구와 주요 협력대상국,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원조 효과성과 개발 효과성을 높이는 노력을 함께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우자조금, ‘한우농가 디지털정보 활용과 생산성 향상’ 국제 심포지엄 성료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한우협회장)는 한우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인공지능(AI) 시대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해 지난 5일(수)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한우농가 디지털정보 활용 및 생산성 향상’ 국제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최근 AI 시대 도래로 모든 산업이 대응 전략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으나, 한우산업은 상대적으로 뒤처진 상황이다. 이에 한우자조금은 산재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익 목적의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한우디지털정보센터(HDIC) 구축과 AI 기반 정보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번 심포지엄을 마련했다. ‘송아지 육성률 향상 및 생산성 기반, 지속 가능한 축산의 시작’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한우농가, 학계, 유관기관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현장 사례와 질의응답 중심으로 진행됐다. △한우디지털정보시스템 소개 및 서비스 방안(하재정, 한우자조금 책임연구위원)을 시작으로 △번식농가의 필수 기본기 4원칙(고봉석, 거기한우 대표) △송아지 맞춤형 인공포유 및 질병의 예방과 치료(강기웅, 우사랑동물병원장) △일본 화우 송아지의 최신 사양관리 기술 및 현장사례(노상건, 일본 도호쿠대학교 교수) 등 다양한 주제 발표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