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청포도 '샤인머스켓' 신품종 대박...소비자들 입소문 커져

경북농기원 '샤인머스켓' 무병원종 생산성공... 농가보급 확산 빨라질 듯
바이러스 감염없는 무병묘 정식으로 고품질 과실 생산과 수량 증가 기대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최근 농가와 소비자들로부터 인기가 높은 껍질째 먹는 청포도 '샤인머스켓' 품종의 무병원종을 생산하는데 성공하여 경북지역 포도재배 농가에 반가운 희소식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포도는 바이러스 병에 감염될 경우 생육이 억제되고 포도알의 크기와 송이가 작아져 20~30%의 생산량 감소를 초래하여 소득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래서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바이러스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무병묘목의 생산 검정과 유통시스템 정착에 국가적인 노력을 다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북은 포도재배면적(7,660ha, 전국대비 61%)이 우리나라 1위로 김천, 상주, 영천 등이 주산지로 알려져 있고 과수묘목의 대부분이 경산지역의 묘목생산업체가 생산과 유통을 주도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껍질째 먹는 청포도 “샤인머스켓” 품종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농가에서는 바이러스 무병묘목의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  

경북도 농업기술원은 이러한 상황에 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하여 올해 4월에 한국과수농협연합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무병원종의 확보와 보존, 증식 등의 상호협력으로 원활한 무병묘 공급을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이에, 경북도 농업기술원에서는 2017년에 무병원종을 생산하기 위해 구축한 시설(열처리실, 순화실, 육묘온실 등)을 이용하여 포도 “샤인머스켓”의 조직배양묘 생산에 성공하였고, 생산한 조직배양묘의 바이러스 검정을 통해 바이러스 무병묘 원종을 확보하여 한국과수농협연합회 중앙과수묘목관리센터에 분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에 확보한 바이러스 무병원종은 경북도 농업기술원과 중앙과수묘목관리센터에서 상호 협력하여 2~3년간 “샤인머스켓” 품종의 과실품질, 생산성 등 특성검정을 실시하고 포도 재배농가에 공급할 계획이다.    

 

농업기술원 곽영호 원장은 “이번 “샤인머스켓” 무병원종 생산을 계기로 포도 재배농가에서는 바이러스에 걱정 없는 고품질의 과실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것을 기대한다.”면서 “앞으로도 바이러스 무병원종 생산에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