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식품연구원, 스마트 특성화 기반구축사업단 공동 워크숍

전북도 바이오 관련기관&기업의 역량강화 연계협력 방안 모색

한국식품연구원(원장 백형희)은 농생명 바이오소재 산업화 기술촉진 지원사업단과 효소 상용화 기능성 소재 기반구축 사업단이 공동으로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지역 혁신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관련 기관 및 기업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양사업단이 공동으로 마련하였다.

 

 

‘스마트 특성화 기반구축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역산업거점기관지원 사업이다. 지역에 이미 구축된 혁신자원 및 역량을 바탕으로 기존산업 고도화, 다각화를 추진하는 등 지역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기획된 지역성장 촉진 정책 중 하나로 선정됐다.

 

사업은 ‘농생명 바이오소재 산업화 기술촉진 지원사업’ 이름으로 2022년부터 3년간 86억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전북지역의 농생명 바이오 산업 관련 기업등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장비활용지원 및 인력양성사업 등을 추진 중이다.

 

공동워크숍을 통하여 바이오소재의 제품화 및 기능성 평가기술, 소재의 특허권 확보 전략 등 관련 산업의 경쟁력 발전을 위한 방안 마련과 기업에 대한 기술상담을 통하여 세부적인 기업지원 방안도 마련하였으며, 전북지역 관련 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여 발표하였다.

 

사업 총괄책임자인 식품연 홍상필 책임연구원은 “전북 바이오 분야 관련 기관 및 기업의 역량강화를 통한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워크숍을 개최하였다.”고 하였으며, “앞으로 지역 바이오 기업과 함께 상생하고 양 사업단이 전북 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성장동력을 만들어가는 중추적 역할을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정원,‘ 2026년 청년귀농 장기교육 신규기관’ 8개소 선정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은 2026년 청년귀농 장기교육 신규 운영기관으로 8개 기관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청년귀농 장기교육은 영농 경험이 부족한 청년층(만 40세 미만)의 안정적인 농업․농촌 정착과 역량 강화 지원을 위한 실습 중심의 장기체류형 교육과정이다. 신규 운영기관은 한 달여간의 공모 접수, 서류 및 발표 심사 후 8개 기관이 최종 선정됐다. 금년 장기교육 운영기관은 조기 선정되었으며 기존 5개 기관을 포함해 총 13기관에서 내년 1월부터 교육이 시작될 예정이다. 이는 예비 청년귀농인에게 농업창업에 필요한 현장경험과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해 청년 귀농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또한, 청년귀농 장기교육 운영기관의 안정적인 교육 운영·지원을 위해 교육 운영지정 기간이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연장 확대된다. 이는 금번 선정된 ’26년 신규 교육기관부터 적용된다. 교육운영 성과평가 우수기관(최근 2년간 성과평가 평균 A등급 이상)은 지정기간이 자동연장되며, 교육운영기관 내부 전문가의 교육강사 비율을 기존 50%에서 80%로 확대해 기관의 교육전문성 활용을 제고한다. 교육과정 구성도 개선하였다. 기존에는 귀농귀촌 필수 공통과목(귀농귀촌의 이해 및 지원정책,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