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국내 '유기질비료' 활용... 무기질비료 최대 28% 절감

- 작물별 유기자재 사용량·종류…‘비료사용처방서’ 활용 권고
- 비료사용처방서는 토양을 채취해 농기센터에 의뢰하면 무료발급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무기질비료 사용량을 줄이고, 국내 생산 유기질비료를 활용하기 위해 유기자재 사용량을 알려주는 ‘비료사용처방서’ 활용을 권고했다.

비료사용처방서는 pH, 유기물 함량, 인산 등 토양 양분 상태를 검정한 후 한 작기 동안 공급해야 하는 비료의 양과 종류를 알려준다.
비료사용처방서는 작물 재배 전 퇴비와 비료 사용 전에 토양을 여러 지점에서 채취해 가까운 농업기술센터에 의뢰하면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다.

이미 발급받은 적이 있다면. 흙토람의 비료사용처방-토양검정정보 메뉴에서 최근 5년 내 토양 화학성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흙토람에서는 작물별로 밑거름에 필요한 유기자재인 유기질비료와 가축분뇨 퇴‧액비 사용량을 알려준다.
유기질비료는 총 19작물을 대상으로 처방하며, 시중 판매되는 3개 비종인 혼합유박, 혼합유기질, 유기 복합비료 사용량을 제공한다.
  
19작물은 벼, 배추, 마늘, 고추, 수박, 오이, 토마토, 가지, 배추, 양배추, 셀러리, 호박, 참외, 풋고추, 상추, 시금치, 쑥갓, 대파, 잎들깨 품목이다.

퇴비는 토양 유기물 공급을 위한 사용량과 밑거름 양분 공급을 위한 사용량을 제공하며, 우분 퇴비, 돈분 퇴비, 계분 퇴비, 혼합 가축분 퇴비 중 사용하고자 하는 퇴비 종류를 선택해 사용량을 확인한다.
액비는 성분함량에 따라 밑거름에 해당하는 양을 처방하며, 부족한 성분은 무기질비료로 보충한다. 액비처방서는 액비의 성분함량을 분석해 발급하므로 농업기술센터에 의뢰해야 한다.

유기자재는 토양에서 분해 과정을 거쳐 무기태 양분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작물 생육 후반까지 양분을 공급하는 장점이 있다.
단, 친환경농산물 인증 농가에서는 인증을 받은 유기자재를 이용해야 한다.

19작물을 재배할 때 유기자재를 이용하면 무기질비료 사용량을 최대 28% 줄일 수 있다. 배추 재배지에서 밑거름으로 무기질비료 대신 가축분 퇴비를 이용할 경우, 10아르당 요소비료 약 12kg을 줄일 수 있다.

 


농촌진흥청 토양비료과 고병구 과장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양질의 유기자원을 충분히 활용하면 무기질비료 사용량과 양분 수지를 줄이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라고 말했다.

담양에서 지역 생산 가축분뇨 퇴액비를 이용해 이탈리안라이그라스를 재배하는 주정중 농업인은 “작물과 토양에 필요한 만큼 무기질비료 대신 퇴액비를 주면 비료 구매 비용도 줄이고, 토양 양분도 균형 있게 관리할 수 있어 만족한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