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촌 치유관광’ 몸과 마음 회복에 긍정적 효과

농촌진흥청, 농촌 치유관광 프로그램 현장 적용 결과 발표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에서 개발한 ‘농촌 치유관광 프로그램’이 근로자들의 몸과 마음에 활력을 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농촌 치유관광은 농촌에서 치유적 요소를 가진 자원을 활용하여 스트레스 해소와 심신의 회복, 건강증진 등을 추구하는 형태의 관광을 의미한다.

 

농촌 치유관광 프로그램을 10월 22일 전남 순천 고산치유마을과 10월 29∼30일 강원 춘천 치유누리삼마을에 적용한 결과, 회복경험인식이 향상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순천 고산치유마을에서는 고객 상담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긍정적 감정 증진, 자존감 회복을 도와주는 ‘응원해요, 그대가 최고!’라는 프로그램을 적용했다.

 

그 결과, 참여자들의 삶의 만족도(3.63→4.28/5점 척도), 주의회복(3.42→4.46/5점 척도), 주관적 활력도(3.60→4.30/5점 척도), 회복경험인식(2.73→4.48/5점 척도)이 높아졌다.

 

춘천 누리삼마을에서는 민원담당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긴장 완화와 일상 회복으로 활력을 증진하는 ‘참 고마운 그대’라는 프로그램을 적용했으며 그 결과 참여자들의 삶의 만족도(2.95→4.00/5점 척도), 주의회복(2.93→4.27/5점 척도), 무력감(2.58→2.09/5점 척도), 주관적 활력도(3.40→4.00/5점 척도), 회복경험인식(2.97→4.34/5점 척도)이 높아졌다.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자신의 소중함을 깨닫고, 모처럼 여유를 느낀 시간이었다.”라며, “아름다운 풍경 속에서 몸과 마음이 치유되니 행복지수가 높아졌다.”라고 만족스런 반응을 보였다.

 

순천시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현장적용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에 근로자에서부터 시작해 앞으로는 직업군별, 연령별, 생애주기별 전 시민층으로 확대하여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치유관광이 농촌마을 활성화는 물론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라고 말했다.

 

춘천시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이 프로그램은 근로자의 일상 회복과 건강증진을 위한 치유관광 모델로서 활용도가 높아 보인다. 앞으로 보급을 적극 확대하겠다.”라고 했다. 농촌진흥청은 참여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유관광 프로그램 완성도를 높여 현장에 보급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농촌환경자원과 김미희 과장은 “코로나 시대 이후에는 자연 속에서 쉼을 찾는 사람이 더욱 늘 것이다.”며, “앞으로도 농촌 치유관광 확대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 개발과 효과분석, 소득화 모델 개발로 농가 소득, 농촌 활력 증진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