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경지 '질소' 과다 투입으로 '농업GDP' 오히려 감소(?)

고려대 식품자원경제학과 양승룡 교수 연구팀 연구 분석결과 발표 눈길

질소 과다 투입으로 농업GDP 오히려 감소

고려대 식품자원경제학과 양승룡 교수 연구팀 연구 분석결과 발표 눈길

 

고려대학교 양승룡 교수와 임송택 박사는 사회적 환경영향을 고려해 경종부문의 질소 투입량을 줄이고 축산부문 질소 발생량을 감축하면 농업부문의 GDP가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경지면적당 질소투입량, 질소수지 1위 국가로서, 정부는 가축분뇨와 과잉양분 문제해결을 위해 양분총량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종부문이 얼마나 화학비료 투입을 감축하고 축분퇴비를 수용할 수 있을지, 축산부문의 적정 사육두수는 어느 정도 규모인지에 대한 정량적 연구를 진행했다.

 

경종부문의 질소 과잉투입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 및 불필요한 비료비 증가가 부가가치 감소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적 환경비용을 고려한 농업 그린GDP 최대화모형 분석 결과, 2013년 기준 경종부문의 실제 질소투입량(43.1만톤)은 양분필요량(21.5만톤)보다 2배 이상 많이 투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종부문 실제 질소투입량이 그린GDP 최대값(25.9만톤) 대비 약 17.3만톤 가량 초과투입되고 있고, 경종부문 GDP값도 2013년도 기준 실제값(20.1조원)이 그린GDP 최대값(22.6조원) 보다 약 2.5조원 가량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린GDP는 경제활동이 천연자원의 소비나 환경파괴를 수반한 경우 그 가치만큼 빼고 산출한 GDP이다.

2013년 기준 경종부문의 질소 투입으로 인한 사회적 환경비용은 약 4.9조원으로 경종부문 GDP의 약 1/4 수준의 큰 비중을 차지한다.

축산부문의 축분질소 발생량도 실제값(32.2만톤)이 그린GDP 최대값(21.1만톤) 보다 52.5%p 가량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환경비용을 고려한 축산부문의 최적 생산규모(사육두수)는 실제값(2013)65.6%p 수준으로 축소돼야 한다. 축산부문 GDP는 그린GDP 최대값(5.78조원)이 실제값(4.95조원)보다 16.7%p(0.83조원) 가량 더 큰 값을 가진다.

사회적 환경비용을 고려해 경종부문 질소비료 투입을 줄이고, 축산 질소 발생량을 감축하면 농업부문 GDP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종부문 질소투입량을 17.3만톤(40.1%p) 줄이고 축산부문 질소발생량을 11.1만톤(34.4%p) 줄임으로써, 경종부문 GDP 12.6%p 증가, 축산부문 GDP 16.7%p 증가하는 것으로 측정됐다.

이를 통해 농업부문 GDP 13.4%p 증가, 사회적 환경비용 93.0%p 감소, 그린GDP 39.8%p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유기질비료 보조금 정책과 화학비료 환경세 정책에 대한 정책방안별 시나리오를 수립하고 결과를 분석했다.

두 정책 모두 화학비료 사용은 줄어들고, 축분퇴비 사용은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축분퇴비 사용이 늘어난다는 것은 축산부문의 사육규모가 커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경종부문 비료정책을 통해 축산부문의 사육규모 조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유기질비료 보조금 정책은 정책이 강화될수록 경종부문, 축산부문 그리고 이를 합한 농업부문 전체의 부가가치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화학비료 환경세 정책은 축산부문의 부가가치는 증가하되, 경종부문과 농업 전체의 부가가치는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유기질비료 보조금 정책과 화학비료 환경세 정책을 적절히 병행함으로써, 경종부문 질소비료 사용량과 질소 과잉 투입으로 인한 사회적 환경비용을 줄이되, 농업부문의 부가가치는 오히려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우자조금, ‘한우농가 디지털정보 활용과 생산성 향상’ 국제 심포지엄 성료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한우협회장)는 한우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인공지능(AI) 시대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해 지난 5일(수)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한우농가 디지털정보 활용 및 생산성 향상’ 국제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최근 AI 시대 도래로 모든 산업이 대응 전략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으나, 한우산업은 상대적으로 뒤처진 상황이다. 이에 한우자조금은 산재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익 목적의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한우디지털정보센터(HDIC) 구축과 AI 기반 정보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번 심포지엄을 마련했다. ‘송아지 육성률 향상 및 생산성 기반, 지속 가능한 축산의 시작’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한우농가, 학계, 유관기관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현장 사례와 질의응답 중심으로 진행됐다. △한우디지털정보시스템 소개 및 서비스 방안(하재정, 한우자조금 책임연구위원)을 시작으로 △번식농가의 필수 기본기 4원칙(고봉석, 거기한우 대표) △송아지 맞춤형 인공포유 및 질병의 예방과 치료(강기웅, 우사랑동물병원장) △일본 화우 송아지의 최신 사양관리 기술 및 현장사례(노상건, 일본 도호쿠대학교 교수) 등 다양한 주제 발표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