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발전소 사용 목재펠릿, 95% 수입산”

이성만 의원, RPS등록 설비 사용...연료용 목재펠릿 300만톤 중 국내산 16만톤 불과
2015년 13만톤에서 2019년 28만톤으로 수입 증가
국내산 사용 늘고 있지만 절대적 비중 낮아
이성만 의원 “미이용산림 등 국내바이오매스 적극 활용해야”

국내 발전사업에 쓰이는 목재펠릿의 95%가 수입산인 것으로 나타나 미이용산림 등 국내 바이오매스 사용 확대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성만 의원(더불어민주당‧부평갑)이 한국에너지공단으로부터 받은 ‘RPS 등록설비 바이오매스 연료 사용내역’에 따르면, 지난해 목재펠릿 사용량 304만2,894톤 중 수입산이 287만8,384톤으로 94.6%를 차지하고 국내산은 16만4,510톤밖에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RPS는 50만kW 이상 발전사업자가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일정비율 이상 전력을 공급해야 하는 의무를 갖는 제도로서 신재생에너지원에는 바이오매스와 태양광, 풍력 등이 있다. RPS 등록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는 직접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거나 다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로부터 신재생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했다는 REC 인증서를 구매해야 한다.

 

발전사업자들은 RPS를 맞추기 위해 주로 바이오매스 연료를 석탄과 혼합하여 태우는 혼소발전을 해왔다. 한국에너지공단의 ‘에너지원별 REC 발급량’을 보면, 2019년도 바이오매스 REC 발급량은 947만 REC로 신재생에너지 REC 총발급량 3,197만 REC의 29.6%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바이오매스 수입량도 계속 증가 추세이다. 목재펠릿 수입량은 ▲2015년 134만톤에서 ▲2016년 151만톤 ▲2017년 213만톤 ▲2018년 286만톤 ▲2019년 288만톤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산 목재펠릿은 ▲2017년 5만톤 ▲2018년 9만톤 ▲2019년 16만톤으로 사용량이 늘고 있으나 수입산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톱밥을 뭉친 형태의 목재펠릿 외에 산림부산물 등을 일정 크기로 자른 목재칩 이용량을 포함하더라도 ▲2017년 17만톤 ▲2018년 22만톤 ▲2019년 29만톤으로 국산은 전체 목질계(목재펠릿, 목재칩) 사용량의 9.1% 밖에 되질 않는다.

 

이성만 의원은 “수입 목재펠릿 사용은 무분별한 해외 산림 파괴를 가속화하고 국내 바이오매스 이용 유인을 꺾어 관련 산업 발달을 막는 악순환을 만든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의원은 “국내 미이용 산림 자원 활용을 촉진하는 한편, 유기성 바이오매스 역시 자원순환의 관점에서 장려하여 수입 바이오매스 사용량을 줄여야 한다”고 밝혔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우자조금, ‘한우농가 디지털정보 활용과 생산성 향상’ 국제 심포지엄 성료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한우협회장)는 한우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인공지능(AI) 시대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해 지난 5일(수)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한우농가 디지털정보 활용 및 생산성 향상’ 국제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최근 AI 시대 도래로 모든 산업이 대응 전략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으나, 한우산업은 상대적으로 뒤처진 상황이다. 이에 한우자조금은 산재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익 목적의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한우디지털정보센터(HDIC) 구축과 AI 기반 정보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번 심포지엄을 마련했다. ‘송아지 육성률 향상 및 생산성 기반, 지속 가능한 축산의 시작’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한우농가, 학계, 유관기관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현장 사례와 질의응답 중심으로 진행됐다. △한우디지털정보시스템 소개 및 서비스 방안(하재정, 한우자조금 책임연구위원)을 시작으로 △번식농가의 필수 기본기 4원칙(고봉석, 거기한우 대표) △송아지 맞춤형 인공포유 및 질병의 예방과 치료(강기웅, 우사랑동물병원장) △일본 화우 송아지의 최신 사양관리 기술 및 현장사례(노상건, 일본 도호쿠대학교 교수) 등 다양한 주제 발표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