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발전소 사용 목재펠릿, 95% 수입산”

이성만 의원, RPS등록 설비 사용...연료용 목재펠릿 300만톤 중 국내산 16만톤 불과
2015년 13만톤에서 2019년 28만톤으로 수입 증가
국내산 사용 늘고 있지만 절대적 비중 낮아
이성만 의원 “미이용산림 등 국내바이오매스 적극 활용해야”

국내 발전사업에 쓰이는 목재펠릿의 95%가 수입산인 것으로 나타나 미이용산림 등 국내 바이오매스 사용 확대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성만 의원(더불어민주당‧부평갑)이 한국에너지공단으로부터 받은 ‘RPS 등록설비 바이오매스 연료 사용내역’에 따르면, 지난해 목재펠릿 사용량 304만2,894톤 중 수입산이 287만8,384톤으로 94.6%를 차지하고 국내산은 16만4,510톤밖에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RPS는 50만kW 이상 발전사업자가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일정비율 이상 전력을 공급해야 하는 의무를 갖는 제도로서 신재생에너지원에는 바이오매스와 태양광, 풍력 등이 있다. RPS 등록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는 직접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거나 다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로부터 신재생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했다는 REC 인증서를 구매해야 한다.

 

발전사업자들은 RPS를 맞추기 위해 주로 바이오매스 연료를 석탄과 혼합하여 태우는 혼소발전을 해왔다. 한국에너지공단의 ‘에너지원별 REC 발급량’을 보면, 2019년도 바이오매스 REC 발급량은 947만 REC로 신재생에너지 REC 총발급량 3,197만 REC의 29.6%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바이오매스 수입량도 계속 증가 추세이다. 목재펠릿 수입량은 ▲2015년 134만톤에서 ▲2016년 151만톤 ▲2017년 213만톤 ▲2018년 286만톤 ▲2019년 288만톤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산 목재펠릿은 ▲2017년 5만톤 ▲2018년 9만톤 ▲2019년 16만톤으로 사용량이 늘고 있으나 수입산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톱밥을 뭉친 형태의 목재펠릿 외에 산림부산물 등을 일정 크기로 자른 목재칩 이용량을 포함하더라도 ▲2017년 17만톤 ▲2018년 22만톤 ▲2019년 29만톤으로 국산은 전체 목질계(목재펠릿, 목재칩) 사용량의 9.1% 밖에 되질 않는다.

 

이성만 의원은 “수입 목재펠릿 사용은 무분별한 해외 산림 파괴를 가속화하고 국내 바이오매스 이용 유인을 꺾어 관련 산업 발달을 막는 악순환을 만든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의원은 “국내 미이용 산림 자원 활용을 촉진하는 한편, 유기성 바이오매스 역시 자원순환의 관점에서 장려하여 수입 바이오매스 사용량을 줄여야 한다”고 밝혔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방역본부, ‘AI챔피언 1호 배출’ 공공부문 AI 선도를 위한 기반 마련!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본부장 김태환)는 행정안전부가 주관한 AI 활용역량 인증 평가에서 ‘위생방역본부 소속 AI챔피언 1호’를 배출했다고 밝혔다. ‘AI챔피언’은 행정안전부가 2030년까지 공공분야 AI전문가 2만명 양성을 목표로 추진중인 제도로, AI를 활용해 정책 및 행정 서비스를 설계·실행할 수 있는 실무형 전문 인재를 인증하는 제도다. 올해 시범운영된 AI챔피언 역량 인증자는 전국 공무원 및 공공기관 직원 중 단 195명이며, 이중 농·축산업 분야는 4명이다. 위생방역본부는 현재 가축방역, 축산물위생검사, 민원·행정처리 고도화 등 대국민 서비스 강화를 위해 사업 전반에 걸쳐 AI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번 AI챔피언 1호 배출은 위생방역본부의 AI 전문인력 양성 노력이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성과로 평가된다. 위생방역본부 김태환 본부장은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는 방역·예찰·검역 등 국가 필수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AI 기술은 더이상 선택이 아닌 행정 서비스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역량이다.”라면서, “앞으로도 현장 중심, 데이터 기반, 실효성 있는 AI 행정을 구현하기 위해 직원 교육과 제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겠다.”라고 밝혔다. 나남길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팜스코, ‘2025 경남 양돈 전략세미나’ 성료
㈜팜스코(대표이사 김남욱)는 지난 10월 30일 진주 제이스퀘어호텔에서 ‘2025 팜스코 양돈 전략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경남 지역의 양돈 농가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팜스코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지속 가능한 양돈산업의 미래 전략을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로 진행됐다 첫 순서로 장원구 양돈팀장은 ‘양돈시황과 전략’을 주제로 2025년 돈가 형성 요인을 국내 공급·수입·소비 측면에서 분석하며 현황을 정리했다. 그는 “공급 부족으로 인한 고돈가 기조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라며, “이러한 시황 속에서 모돈 갱신에 대한 투자와 후보돈·대군농장을 중심으로 한 순종모돈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6년 다산성 모돈의 연산성과 순종모돈 관리 강화를 위해 팜스코의 등지방 측정 캠페인을 소개하고, 솔루션 시리즈의 마지막 퍼즐인 ‘솔루션M’의 특장점과 접목 필요성을 강조했다. 홍승범 지역부장은 ‘팜스코와 함께하는 탄소중립’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그는 탄소중립 정책의 흐름과 저탄소축산물 인증 제도를 설명하며, 단순한 인증 참여를 넘어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위한 질소저감 사료의 역할을 강조했다. 또한 팜스코의 ‘질소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