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발전소 사용 목재펠릿, 95% 수입산”

이성만 의원, RPS등록 설비 사용...연료용 목재펠릿 300만톤 중 국내산 16만톤 불과
2015년 13만톤에서 2019년 28만톤으로 수입 증가
국내산 사용 늘고 있지만 절대적 비중 낮아
이성만 의원 “미이용산림 등 국내바이오매스 적극 활용해야”

국내 발전사업에 쓰이는 목재펠릿의 95%가 수입산인 것으로 나타나 미이용산림 등 국내 바이오매스 사용 확대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성만 의원(더불어민주당‧부평갑)이 한국에너지공단으로부터 받은 ‘RPS 등록설비 바이오매스 연료 사용내역’에 따르면, 지난해 목재펠릿 사용량 304만2,894톤 중 수입산이 287만8,384톤으로 94.6%를 차지하고 국내산은 16만4,510톤밖에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RPS는 50만kW 이상 발전사업자가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일정비율 이상 전력을 공급해야 하는 의무를 갖는 제도로서 신재생에너지원에는 바이오매스와 태양광, 풍력 등이 있다. RPS 등록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는 직접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거나 다른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로부터 신재생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했다는 REC 인증서를 구매해야 한다.

 

발전사업자들은 RPS를 맞추기 위해 주로 바이오매스 연료를 석탄과 혼합하여 태우는 혼소발전을 해왔다. 한국에너지공단의 ‘에너지원별 REC 발급량’을 보면, 2019년도 바이오매스 REC 발급량은 947만 REC로 신재생에너지 REC 총발급량 3,197만 REC의 29.6%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바이오매스 수입량도 계속 증가 추세이다. 목재펠릿 수입량은 ▲2015년 134만톤에서 ▲2016년 151만톤 ▲2017년 213만톤 ▲2018년 286만톤 ▲2019년 288만톤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산 목재펠릿은 ▲2017년 5만톤 ▲2018년 9만톤 ▲2019년 16만톤으로 사용량이 늘고 있으나 수입산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톱밥을 뭉친 형태의 목재펠릿 외에 산림부산물 등을 일정 크기로 자른 목재칩 이용량을 포함하더라도 ▲2017년 17만톤 ▲2018년 22만톤 ▲2019년 29만톤으로 국산은 전체 목질계(목재펠릿, 목재칩) 사용량의 9.1% 밖에 되질 않는다.

 

이성만 의원은 “수입 목재펠릿 사용은 무분별한 해외 산림 파괴를 가속화하고 국내 바이오매스 이용 유인을 꺾어 관련 산업 발달을 막는 악순환을 만든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의원은 “국내 미이용 산림 자원 활용을 촉진하는 한편, 유기성 바이오매스 역시 자원순환의 관점에서 장려하여 수입 바이오매스 사용량을 줄여야 한다”고 밝혔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aT, ‘맛ㆍ향ㆍ색의 완벽조합’ 신품종 K-포도에 탄성 쏟아져!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17일 미국 뉴욕 맨해튼 소재 버진호텔에서 ‘프리미엄 신품종 K-포도 런칭쇼’를 개최하고, 한국산 고품질 신선포도의 북미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이번 행사는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지역에 한국산 신품종 포도의 수출확대와 시장다변화를 위해 마련된 자리로, 미국 내 주요 수입바이어, 대형 유통업계와 식품업계 관계자, 인플루언서 등 8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장에서는 주 수출품목인 샤인머스캣을 비롯해 최근 개발된 글로리스타, 코코볼, 홍주씨들리스, 슈팅스타 등 한국의 프리미엄 신품종 포도가 미국 시장에 첫선을 보였다. 참석자들은 다양한 색과 맛은 물론 깊은 풍미를 지닌 K-포도와 이를 활용한 고급 에피타이저 2종과 디저트 3종이 등장하자 탄성을 자아내며 연신 호평을 쏟아냈다. 이날 행사에 초대된 수입바이어 ESU 팜의 다니엘 리 이사는 “미국 소비자들은 씨가 없고, 아삭한 식감의 껍질째 먹는 스낵형 포도를 선호한다”라며 “오늘 소개된 신품종 포도는 맛과 향, 식감 등이 매우 우수해 현지에서 충분히 통할만한 시장성과 경쟁력을 갖췄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현재 미국 내 생식용 포도시장에는 캘리포니아산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