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고령농 노후소득 지원과 승계인력 확보 필요”

농경연 KREI, ‘포용성장을 위한 농업인 경영이양 지원 방안’ 연구 통해 밝혀

고령농의 경영이양 활성화를 위해서는 노후소득 지원과 승계자 확보를 위한 정책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 같은 주장은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이 ‘포용성장을 위한 농업인 경영이양 지원 방안’연구를 통해 밝혔다.

 

경영이양이란 농지를 비롯한 자산과 농업이라는 직업을 자녀 또는 후계자에게 물려주는 것으로 농업의 지속가능성과 성장을 확보할 수 있는 열쇠이다.

연구책임자인 임소영 연구위원은 “지금까지의 경영이양 정책은 한계농가의 퇴출 여부에만 관심을 쏟은 것이 사실”이라고 밝히며, “경영이양을 선택하지 못하는 농가, 승계자를 확보하지 못하는 대다수 영세고령농의 경영이양 지원방안을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농업인의 경영이양 의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세대 간 차이가 나타났다. 65세 이상의 경우 58.3%는 경영이양 의사가 없고 사망 시까지 현재 규모로 농사를 계속 짓겠다고 응답한 반면, 65세 미만 농업인의 경우 영농은퇴계획이 없다는 응답자는 8.8%에 불과했다.

 

이는 은퇴를 바라보는 시각이 세대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영이양을 선택하지 않는 이유는 영농자산을 물려받을 승계자가 없다는 이유가 53.4%로 가장 많이 응답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영농으로 생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경제적 이유가 40.1%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경영이양 미선택자를 대상으로 생계비를 충분히 조달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경영이양 선택을 바꿀 것인지에 대해 질문한 결과, 고령 농업인의 54.5%가 경영이양을 선택한다고 응답해, 경영이양을 위해선 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업인으로서의 정체성 유지에 대한 욕구와 같은 정서적 요인과 건강을 위해 경영이양을 하지 않겠다는 의견 등 비경제적 요인도 47.8%를 차지하고 있어, 이를 포괄하는 지원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경영이양 지원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경영이양을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보고 한계농가를 퇴출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농업인력의 유입 확대와 농업자산의 계승을 통한 농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유연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경영이양 지원에 대한 정책 방향으로는 첫째, 농업인의 은퇴 후 노후소득안전망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소규모 농가의 소득안전망 강화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노후소득 지원 강화를 위해서는 경영이양직불제도의 지급기간 확대 및 직불금 단가 인상이 필요하며, 저소득층 국민연금의 지원도 확대해야 한다.

 

둘째, 승계자 확보를 위한 더욱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며, 영농승계 활성화를 위해 제3자 승계 제도나 승계자와 이양자가 공동 영농을 하는 형태인 마을영농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고령 농업인의 경영이양 이후 경제활동을 완전히 중단하기보다는 지역 경제에 일정 부분에 참여해 생산적 노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경영이양을 지원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만감류 재배도 스마트하게... ‘편의성! 생산성! 향상 기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김대현 부장은 11일 제주시 ‘과수 스마트팜 시범농가’를 방문해 운영 상황을 점검하고 현장 관계관을 격려했다. 과수 스마트팜 기반조성 시범 사업은 전국 7개 시군에서 시군당 5,000만 원, 총 3억 5,000만 원 규모로 추진되고 있다. 제주에서는 서부농업기술센터가 만감류 농가 5곳에 자동관수 시스템과 공기 순환팬, 온·습도 제어용 기상 감지기, 환경 점검을 위한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 등을 설치해 스마트팜 기반을 조성했다. 지금까지 감귤 스마트팜은 기상 정보를 수집하고 천·측창 등을 원격 제어하는 1세대 스마트팜에 머물러 있었다. 최근에는 활발한 연구개발과 지원으로 재배 환경을 확인하고 자동으로 시설을 제어하는 수준까지 개선됐다. 제주 농가에 설치한 장비는 핸드폰, 컴퓨터로 자동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농가 노동력 절감과 이상기상 피해를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대현 부장은 “만감류 스마트팜 사례는 자동제어 기술이 시설 과수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수단임을 보여준다.”라며 “앞으로 기상 점검, 병해충 진단 등 재배 기술을 고도화해 영농 전 과정의 스마트화 구축에 최선을 다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만감류 재배도 스마트하게... ‘편의성! 생산성! 향상 기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김대현 부장은 11일 제주시 ‘과수 스마트팜 시범농가’를 방문해 운영 상황을 점검하고 현장 관계관을 격려했다. 과수 스마트팜 기반조성 시범 사업은 전국 7개 시군에서 시군당 5,000만 원, 총 3억 5,000만 원 규모로 추진되고 있다. 제주에서는 서부농업기술센터가 만감류 농가 5곳에 자동관수 시스템과 공기 순환팬, 온·습도 제어용 기상 감지기, 환경 점검을 위한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 등을 설치해 스마트팜 기반을 조성했다. 지금까지 감귤 스마트팜은 기상 정보를 수집하고 천·측창 등을 원격 제어하는 1세대 스마트팜에 머물러 있었다. 최근에는 활발한 연구개발과 지원으로 재배 환경을 확인하고 자동으로 시설을 제어하는 수준까지 개선됐다. 제주 농가에 설치한 장비는 핸드폰, 컴퓨터로 자동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농가 노동력 절감과 이상기상 피해를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대현 부장은 “만감류 스마트팜 사례는 자동제어 기술이 시설 과수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수단임을 보여준다.”라며 “앞으로 기상 점검, 병해충 진단 등 재배 기술을 고도화해 영농 전 과정의 스마트화 구축에 최선을 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