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조충훈 (사)한국사료협회장 신년사

"사료업계 배전의 노력과 각고로 심혈을 기울여야"
"지혜와 총명을 모아 어려움 이겨 냅시다"

[신/년/사...조충훈 (사)한국사료협회장]

 

전국의 축산인, 그리고 축산물 소비자 여러분!

2020년 새해의 붉은 태양이 밝고 충만하게 떠올랐습니다. 금년은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 이웃 누리에 따뜻함과 가슴 벅참이 가득한 한 해가 되었으면 합니다.

 

지구촌이라는 말이 이제는 식상한 표현이 될 정도로 우리나라와 세계는 경제, 문화, 정치적으로 이제 하나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한 관점에서 금년 전 세계와 우리나라 경제에 있어 불확실성의 뇌관으로 꼽히던 미·중 무역분쟁이 작년 크리스마스 직전 극적인 타결을 이루어 낸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 할 것입니다.

 

우리나라 축산업과 사료산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경제불안에 따른 경기부진은 결국 국민의 축산물 소비를 감소시킬 것이기 때문에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은 우리 산업의 진흥과 관련 종사자의 생존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기도 합니다.

 

아울러 우리 사료산업의 입장에서 금년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축산업의 현실과 더불어 새로운 시험대에 놓일 한 해가 될 것 같습니다. 특히 2019년 9월 17일 최초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우리나라 한돈업과 양돈사료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만한 사건이었습니다.

 

다행히 우리 축산인 모두 노력의 결과 2019년 10월 9일 이후 사육단계에서는 더 이상 ASF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아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빠른 종식을 기대하고는 있으나, 언제 어디서든 ASF가 재발할 수 있다는 불안감은 우리 산업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어야 한다는 명제를 던져주고 있습니다.

 

또한 전년도 배합사료 생산실적이 사상 최초로 2천만 톤을 돌파하는 등 피크를 기록한 우리 배합사료 산업은 이제는 양적성장이 아닌 질적도약을 모색해야 하는 원년(元年)이 될 것이라는데 대부분 의견일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마치 롤러코스터의 끝자락에 선 백척간두(百尺竿頭)의 심정과 같다고 할까요.

 

그만큼 사료업계는 배전의 노력과 각고의 심혈을 기울여야만 축산업과의 상생은 물론 양질의 축산물을 소비자에게 전달해 주는 기초산업의 역할을 다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금년은 庚子年 흰쥐띠의 해입니다.

 

쥐는 동양에서 다산과 풍요, 번영을 상징하고 특히 흰쥐는 지혜롭고 총명하다는 수식이 붙어 있기도 합니다. 바라건대 우리 축산인 모두가 총명과 지혜를 모아 작금의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고 진취적인 한 해를 이룰 수 있기를 간절히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조충훈 (사)한국사료협회장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