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박완주 “농협 계약재배, 국내산 고품종으로 해야”

국내 쌀 생산량 농협 매입 비중 매년 늘어…지난해 전체 생산량의 44% 매입
박완주 “농협-농가 계약재배, 국내산 고품질 품종으로 해야” “RPC현대화도 시급”

농협의 쌀 매입 비중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농협이 쌀의 품질향상을 위해 좀 더 노력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박완주 국회의원이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벼 생산 대비 농협 매입 현황>자료에 따르면, 지난해의 경우 전체 쌀 생산 386만 톤의 신곡 중 44%인 169만 톤을 농협이 매입했다. 농협의 매입 비중은 2013년 36%, 2014년 39%, 2015년 41%, 2016년 43%, 2017년 40%, 2018년 44%로 매년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농협 RPC는 농가와의 계약재배를 통해 고품질 단일품종을 매입하는 <들녘별 계약재배>를 시행해오고 있다. 50ha 이상 들녘단위로 고품질 단일 품종을 재배해 품종 간 혼합 등으로 인한 미질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사업이다. 최근 5년간 실적을 살펴보면 참여 농가와 면적, 물량이 꾸준히 늘고 있고, 지난해에는 4만 8,998개 농가가 참여해 7만 2,933ha에 걸쳐 36만 1,099톤의 고품질 단일 품종을 생산해냈다.

 

이에 대해 박완주 의원은 “지역 RPC별로 계약 품종 선정 시 히토메보레나 고시히카리, 야끼바리 등 일본에서 들어온 품종도 일부 선정되고 있다”며 “해당 외래 품종들은 국내 고품질 품종으로 대체할 수 있는 만큼, 농협중앙회가 전체적으로 관리‧점검해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 의원은 RPC의 노후화 문제도 덧붙였다.

 

박완주 의원이 농협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50개소 RPC 중 조성된 지 10년 이하인 RPC는 두 곳에 불과하고 10년 이상 25년 미만이 57곳, 25년 이상이 전체의 60.67%인 91곳에 달했다.

 

시설 능력을 살펴보면 150개 RPC의 총 저장능력은 134만 2,948톤에 불과한데 이는 지난해 농협의 전체 신곡 매입량보다 약 35만 톤가량 부족한 수치다.

 

이에 대해 박완주 의원은 “좋은 품질의 쌀을 생산하기 위해 RPC 현대화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쌀 산업에 있어 농협의 역할이 매우 막중하다”고 강조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송파구청·송파소방서, 가락시장 싱크홀 안전사고발생 대응 종합훈련 가져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문영표)는 지난 10월 31일 송파구청, 송파소방서 등 15개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2025년 송파구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및 긴급구조종합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전국적으로 실시되는 ‘안전한국훈련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도심지 싱크홀 발생 및 다중밀집시설 대형 화재 사고와 같은 대규모 복합재난 상황을 가정하여 가락시장(가락몰 일원)에서 민관 합동으로 500여명이 훈련에 참여했다. 땅꺼짐 발생으로 도시가스관이 파열되고, 누출된 가스로 화재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공사 자위소방대가 초기대응을 위해 옥외소화전을 이용하여 진화를 시도하고, 대피 안내 방송에 따라 건물 내 유통인들과 입주자들을 대피시켰다. 이어서 화재 신고로 송파소방서가 출동하고 건물 내로 진입하여 진압과 동시에 부상자를 구조하는 등 구조·구급 활동을 전개했다. 화재 상황이 전파되어 대응 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송파구청과 화재현장에는 재난안전대책본부, 통합지원본부, 긴급구조통제단이 설치되는 등 유관기관들과 협업하여 신속하게 화재 진압과 구조·구급을 위한 상황판단회의를 진행했다. 특히 이번 훈련에는 가락몰 1관에서 시작된 화재가 업무동으로 확산되는 과정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