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HACCP인증 '즉석식품' 적용 확산 기대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출입기자단 대상 HMR식품 제조업체 CJ제일제당 '햇반' 제조현장 둘러봐
CJ제일제당(주) 블로썸 캠퍼스, HMR식품과 HACCP에 대해 알고 갑니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장기윤, 이하 HACCP인증원)은 8월 21일(수) 기관 출입기자단, HACCP인증원 홍보자문위원, 혁신 SNS기자단 등 약  35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북 진천에 위치한 ‘CJ제일제당(주) 블로썸 캠퍼스’를 방문하였다.

 

이번 현장견학은 축산·식품분야 출입 기자단을 대상으로 HMR식품산업의 성장에 따른 현황과 HACCP 적용 등 관련 산업과 HACCP의 이해도 제고를 위해 마련되었다.

 

 

기관 출입기자단 등이 방문한 ‘CJ제일제당(주) 블로썸 캠퍼스’는 즉석밥, 냉동편의식품 등 HMR식품을 주로 생산하는 곳으로 이번 현장견학은 CJ제일제당 강민수 블로썸 캠퍼스장의 회사 소개에 이어 영상을 통한 업체 연혁 및 제품 생산의 변천사 등이 소개되었다.

이어 견학 동선을 따라 이동하며 HMR식품에 대한 설명을 듣고, 즉석밥의 생산 공정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등 각 단계별로 업체 담당자의 자세한 설명이 곁들여져 기자단 등의 이해를 도왔다.

 

또한 이번 현장견학은 安心안전먹거리(홍보자문)위원과 혁신 SNS기자단 ‘가치해썹’도 참여하여 HMR산업과 HACCP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 더 의미가 깊었다.  

식품제조업체를 처음 방문했다는 한 기자단은 “편리하다는 이유로 HMR식품을 자주 먹었는데 제조공정의 위생상태가 늘 궁금했다”며, “이번 현장견학을 통해 살펴보니 위생관리가 잘 되고 있어 안심이 됐고 앞으로도 즐겨 찾을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장견학에 동행한 박선희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인증사업이사는 “출입기자단과 홍보 자문위원 등을 대상으로 HMR식품산업과 HACCP을 소개하는 기회가 생겨 기쁘다”며 “HMR식품산업이 날로 성장하는 만큼 HACCP을 통해 위생 안전관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진천=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우자조금, ‘한우농가 디지털정보 활용과 생산성 향상’ 국제 심포지엄 성료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한우협회장)는 한우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인공지능(AI) 시대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해 지난 5일(수)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한우농가 디지털정보 활용 및 생산성 향상’ 국제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최근 AI 시대 도래로 모든 산업이 대응 전략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으나, 한우산업은 상대적으로 뒤처진 상황이다. 이에 한우자조금은 산재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익 목적의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한우디지털정보센터(HDIC) 구축과 AI 기반 정보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번 심포지엄을 마련했다. ‘송아지 육성률 향상 및 생산성 기반, 지속 가능한 축산의 시작’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한우농가, 학계, 유관기관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현장 사례와 질의응답 중심으로 진행됐다. △한우디지털정보시스템 소개 및 서비스 방안(하재정, 한우자조금 책임연구위원)을 시작으로 △번식농가의 필수 기본기 4원칙(고봉석, 거기한우 대표) △송아지 맞춤형 인공포유 및 질병의 예방과 치료(강기웅, 우사랑동물병원장) △일본 화우 송아지의 최신 사양관리 기술 및 현장사례(노상건, 일본 도호쿠대학교 교수) 등 다양한 주제 발표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