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종협 ‘최우수 검정회’로 충북 ‘충주검정회’ 선정

한국종축개량협회, 유우군능력검정사업 보고회 시상식 개최
전국 617농가 34,289두 검정사업 참여...305일유량 10,503㎏기록
‘우군평균 생애유량 최우수 목장’은 가평검정회 '성필목장’ 우군 생애유량 53,559kg

 

한국종축개량협회(회장 이재용)는 지난 4월 28일 2019년도 유우군능력검정사업 보고회 시상식을 개최하였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전염병 예방을 위하여 주요 수상자 등 소수인원만 참석하여 진행됐다.

 

2019년도 유우군능력검정사업에는 60개 시‧군의 52개 검정회에서 617농가(경산우 34,289두)가 참여하였으며, 305일 유량이 10,503㎏를 기록하였고 유지량 415㎏, 유단백량 337㎏, 무지고형분량 919㎏을 각각 기록하였다.

 

검정농가 일평균 검정유량은 두당 32.5㎏에 유지방 4.09%, 유단백율 3.35%으로 전년에 비해 소폭 증가하였다. 체세포수는 245천cell/㎖로 전년과 동일하였으며, 국내 유일하게 검정농가를 대상으로 서비스중인 BHB(케토시스)는 평균0.08mM/ℓ로 나타나 초기 분만우의 대사성 질병관리가 전반적으로 잘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번식성적은 분만간격이 449.2일로 전년에 비해 0.8일 짧게 나타났으며, 평균 산차와 분만월령은 각각 2.4산과 46.6개월령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산시 분만개월령은 평균 26.2개월령으로 전국 27.3개월령 보다 1.1개월령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검정회별 생산량, 번식, 유질관리 성적 등을 평가한 결과 ‘최우수 검정회’로 충북지역의 ‘충주검정회’가 선정되었으며, 올해 처음 실시한 ‘우군평균 생애유량 최우수 목장’은 ‘가평검정회 성필목장(대표 홍이표)’이 우군평균 생애유량 53,559kg으로 수상하게 되었다.

 

또한, ‘최다 고등등록 등록목장’은 3년 연속 선형심사 최우수목장이자, 2019년 한 해 동안 41두가 고등등록된 ‘대흥목장(대표 최광현)’이 수상하였으며, 유우검정 일선에서 묵묵히 최선을 다하여 검정업무를 수행해온 ‘최영숙 검정원(신바람검정회)’이 ‘최우수검정원’으로 선정되었다.

이밖에도, 우수한 검정성적을 거둔 지역 검정회와 농가들을 대상으로 상패 및 메달을 전달할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가축 폭염피해’ 최소화에 정부역량 총동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최근 폭염으로 인한 가축 피해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향후에도 폭염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과거와 다른 정부·지자체·유관기관 간 체계적 대응이 중요하다고 판단, 식량정책실장 주재로 축산분야 폭염 대비 추진 상황 긴급 점검 회의를 개최하고 ‘축산분야 폭염 피해 대책’을 발표하였다. 현재 가축폐사는 7월 10일 기준 약 53만 마리로, 돼지 사육마릿수 중 0.17%, 산란계 0.02% 등 수준이다. 회의 참석자들은 현 상황에서 국민들이 축산물 가격상승을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의견이었으나, 유례없는 폭염으로 가축 폐사가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인 만큼 농식품부는 정부, 지자체, 농협, 생산자단체 등 주체별로 다음과 같이 대응하기로 하였다. 우선, 농식품부는 기존 축산재해대응반을 격상하여 농식품부·축평원·농협·지자체 등으로 ‘폭염 대응 가축 피해 최소화 TF’를 구성·운영(7~8월)한다. 이를 통해 피해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유관기관에 협조 요청사항을 전파하는 한편, 실제 현장 수요를 매일 점검한다. 구체적으로, 농가 피해·애로사항 지자체별 접수 담당자를 지정하는 한편, 지자체 가용 차량(약 300대), 지역 농축협 가용 차량(공동방제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가축 폭염피해’ 최소화에 정부역량 총동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최근 폭염으로 인한 가축 피해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향후에도 폭염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과거와 다른 정부·지자체·유관기관 간 체계적 대응이 중요하다고 판단, 식량정책실장 주재로 축산분야 폭염 대비 추진 상황 긴급 점검 회의를 개최하고 ‘축산분야 폭염 피해 대책’을 발표하였다. 현재 가축폐사는 7월 10일 기준 약 53만 마리로, 돼지 사육마릿수 중 0.17%, 산란계 0.02% 등 수준이다. 회의 참석자들은 현 상황에서 국민들이 축산물 가격상승을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의견이었으나, 유례없는 폭염으로 가축 폐사가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인 만큼 농식품부는 정부, 지자체, 농협, 생산자단체 등 주체별로 다음과 같이 대응하기로 하였다. 우선, 농식품부는 기존 축산재해대응반을 격상하여 농식품부·축평원·농협·지자체 등으로 ‘폭염 대응 가축 피해 최소화 TF’를 구성·운영(7~8월)한다. 이를 통해 피해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유관기관에 협조 요청사항을 전파하는 한편, 실제 현장 수요를 매일 점검한다. 구체적으로, 농가 피해·애로사항 지자체별 접수 담당자를 지정하는 한편, 지자체 가용 차량(약 300대), 지역 농축협 가용 차량(공동방제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