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

'영농조합' 평균매출 18억원에 평균부채율 178%

농업법인 통계조사결과, 영농조합법인 수는 정체 중이나 농업회사법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
농업법인 시설투자 1조 813억원…가공·유통업 중심 사업운영
법인당 매출액 18.1억원…자본대비 부채율 178.8% 재정건전성 낮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2월 27일 ‘18년말 기준 농업법인의 생산구조, 경영실적 등 ‘농업법인 통계조사’를 발표하였다.

조사대상은 '18년 12월 말 기준으로 등기완료법인 66,877개소 중 활동 중인 농업법인(영농조합법인, 농업회사법인) 21,780개소이다.

 

조사내용은 운영현황, 종사자현황, 사업유형, 투자현황, 경영실적 등을 포함하며, 전화·면접 방식으로 조사하였고, 경영실적에 관한 사항은 국세청의 관련 자료를 활용하였다.

 

영농조합법인 수는 정체 중이나 농업회사법인 수는 지속적 증가하고 있다.

‘18년 기준 전체 운영 농업법인 21,780개소 중 영농조합법인은 10,163개소(46.7%)이며 농업회사법인은 11,617개소(53.3%)이다.

`15년 이후 영농조합법인은 10~11천개소 수준을 유지하였고 농업회사법인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농업법인 종사자 14만 9천명

 

영농조합법인의 총 종사자 수는 71.9천명(법인당 7.1명)으로 상근출자자 25.5천명(법인당 2.5명) 상용근로자 18.7천명(법인당 1.8명), 임시 및 일용근로자가 27.7천명(법인당 2.7명)이었다.

 

농업회사법인의 총 종사자 수는 77.2천명(법인당 6.6명)으로 상시근로자는 상근출자자 17.5천명(법인당 1.5명) 상용근로자 41.1천명(법인당 3.5명), 임시 및 일용근로자는 18.6천명(법인당 1.6명)이었다

영농조합법인의 근로자 수는 46.4천명이며 농업회사법인의 근로자 수는 59.7천명으로 조사되었다.

법인당 근로자 수는 영농조합법인이 4.6명, 농업회사법인이 5.1명으로 농업회사법인 평균 근로자 수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농조합법인은 농업회사법인보다 법인당 종사자는 많으나 근로자 수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영농조합법인은 농업인 5인 이상이 조합원으로 참여하여 상근출자자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연령대별 종사자의 비중은 50대 종사자가 45.7천명(30.6%), 60대 이상 42.6천명(28.5%), 40대 33.8천명(22.7%) 순으로 고령 종사자 비율이 높았다.

 

종사자 50인 이상 법인의 상시근로자 비율은 98.2%이며, 종사자 1인 이하 법인의 상시근로자 비율은 32.3%로 종사자 규모가 큰 법인일수록 상시근로자가 비율이 높았다.

이는 종사자 규모 50인 이상 법인에서 가공·유통업 비중이 높아 안정적인 고용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법인당 종사자 수는 3년 이하 법인 5.5명, 4-7년 6.5명, 8-12년 7.4명, 12년 이상 10명으로 운영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법인당 종사자 수가 많은 지역은 제주(10.4명), 전남(8.9명), 경북(8.3명) 순으로 임시·일용 근로자 비율이 전체 평균보다 높은 지역이었으며, 과수 및 채소 재배면적이 넓은 지역이었다.

 

◈영농법인 운영형태?

 

영농조합법인은 농업생산, 농업회사법인은 가공·유통업 중심으로 사업 운영되고 있다.

영농조합법인의 주 사업 비중은 농업생산(36.2%), 농축산물유통업(26.5%), 농축산물가공업(19.4%) 순으로 나타났다.

농업회사법인의 주 사업 비중은 농축산물유통업(34.8%), 농업생산(30.1%), 농축산물가공업(21.9%) 순으로 나타났다.

 

농업생산을 하는 법인은 전남(1,359개) 지역에 많이 분포하며, 농축산물유통업 법인은 경기(1,216개) 지역에 비교적 많이 분포하고 있다.

종사자 규모가 5인 이상인 법인 비율이 가장 높은 사업유형은 축산업(41.7%)이고 가장 낮은 유형은 농어촌관광휴양사업(20.9%)이었다.

 

또한, 출자자 1인당 출자금은 축산업(101.3백만원)이 가장 많고 농어촌관광휴양사업(11.1백만원)은 가장 적어 사업유형별로 법인의 규모 차이가 나타났다.

운영기간이 3년 이하인 법인 비율이 가장 높은 유형은 농축산물유통업(38.5%)이었으며 가장 낮은 유형은 농업서비스업(26.1%)이었다.

운영기간이 12년 이상인 법인 비율이 가장 높은 유형은 축산업(23.9%)였으며 가장 낮은 유형은 농어촌관광휴양산업(9.3%)이었다.

 

◈농업법인 투자실적은 1조 813억원 규모

 

농업법인 전체 시설 및 설비 투자 실적은 1조 813억원으로 건축 및 구축물에서 가장 많은 실적(43.5%)을 보였으며 법인당 평균 투자실적은 3억 25백만원 수준이었다.

조직형태별로는 농업회사법인의 법인당 투자실적이 3억 92백만원으로 영농조합법인의 법인당 투자실적 2억 50백만원보다 많았다.

 

한편, 영농조합법인은 기계장치에서 가장 많은 투자실적을 보였으며 농업회사법인은 건축 및 구축물에 많은 투자를 하였다.

사업유형별로는 축산업의 법인당 투자실적이 가장 많았고, 농업서비스업의 투자실적이 가장 적었다.

 

대부분은 건축 및 구축물에 가장 많은 설비 투자 실적을 보였으나, 농축산물가공업과 농업서비스업은 다른 사업유형에 비해 기계장치에 많은 투자실적을 보였다.

운영기간 3년 이하의 법인에서 법인당 투자실적(3억 55백만원)이 가장 많았다.

이후, 4년 이상 12년 미만의 법인에서는 법인당 투자실적이 감소하였으나 12년 이상 법인에서는 투자실적이 증가하였다.

 

◈법인 평균매출액 18억원, 부채비율 178%

 

농업법인의 총 매출액은 37조 4,727억원으로 결산법인 당 매출액은 17.2억원으로 나타났다.

영농조합법인의 총 매출액은 11조 6,549억원(법인당 12.0억원), 농업회사법인의 총 매출액은 25조 8,178억원(법인당 23.6억원)이다.

농업법인의 법인당 자산은 16.4억원이며 부채는 10.5억원, 자본은 5.9억원으로 자본대비 부채비율은 178.8%로 나타났다.

 

운영기간이 10년 이상인 법인은 영농조합법인이 3,714개소(36.5%), 농업회사법인이 1,170개소(10.1%)로 영농조합법인이 비교적 장기간 운영되고 있었다.

농식품부는 매년 농업법인의 경영실적 등 관련 현황의 변화를 조사하여 공표하고 있으며, 동 조사 결과는 농업법인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농대-농업인단체, 청년농 육성과 농업환경·사회·투명경영 확산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총장 정현출)는 4월 24일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회장 최흥식), 한국 4-에이치(H)본부(회장 전병설),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회장 노만호)와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을 위한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추진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참여 기관들은 ▲청년농업인 육성 및 정착 지원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사업 지원 ▲미래 농업을 위한 농업·농촌 연구협력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프로그램 개발 및 협력 ▲농업·농촌 가치 확산 및 상호 발전을 위한 협력 등 다양한 방면에서 힘을 모으기로 했다. 또한, 한농대 발전기금재단을 활용해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관련 교육, 세미나, 캠페인, 홍보 등 활동을 전개하며, 농촌지역사회에서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을 선도하는 농업인을 포상하는 등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확산 및 실천에 앞장설 계획이다. 한농대 정현출 총장은 “이번 업무협약이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확산 및 실천에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앞으로 참여 기관과 적극 협력해 청년농 육성·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