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한-볼 '감자연구혁신센터' 준공식

단국대와 농식품부 국제협력사업..볼리비아 대통령도 참석    
감자 유전자원의 보물창고 볼리비아에 한국 씨감자 생산기술 전수

볼리비아 씨감자 생산체계 구축 및 생산기술 전수를 통한 농가소득 증대 및 양국 간의 농업협력 강화를 위해 2016년 10월부터 단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이동진 학장)은 농림축산식품부 국제협력사업의 일환으로 “볼리비아 씨감자 생산체계 구축 및 생산기술 전수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 사업은 볼리비아 농업개발부의 요청에 따라  따라따(Tarata)시를 사업대상지로 선정하고, 한국의 선진화된 씨감자 생산기술 전수를 통해 볼리비아 감자생산 체계의 중심이 되도록 심혈을 기울여 왔다. 한 지난 3년여 동안 씨감자 연구센터와 실증시범포 등 모든 시설을 완공하고 9월 12일 10시(현지시각) 볼리비아 따라따시 소재 한-볼 감자연구혁신센터(CNIP)에서 시설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번 준공식은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어촌공사, 볼리비아 농촌개발부, 농림혁신청(INIAF) 및 따라따시가 공동으로 주최하였으며, 볼리비아 대통령(Evo Morales Ayma), 농업부 장관(Cesar Hugo Cocarico Yana), 농림혁신청 청장(Carlos Osinaga Romero), 주볼리비아한국대사관 김학재 대사, 한국농어촌공사 안성수 부장 등을 비롯해 관련 공무원과 지역주민 등 1,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하게 거행됐다.      

특히 준공식 행사 중 씨감자 연구센터, 양액재배 온실 등 각종 시설을 둘러보는 일정은 VIP를 비롯해 현지 연구원과 농업인들로부터 큰 호평을 받았다.    

주볼리비아한국대사관 김학재 대사는 축사를 통해 “한-볼 감자연구혁신센터(CNIP)가 성공적으로 준공된 것을 자랑스럽고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 사업이 볼리비아 식량주권 확보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라고  평가했다.     

후안 에보 모랄레스 아이마 볼리비아 대통령은 축사에서 “한국 정부의 감자연구혁신센터 지원에 감사드리며, 감자센터 설립을 계기로 생산량 증대 혁신을 통해 감자산업이 한층 더 발전을 이루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사업은 2020년까지 4년간에 걸쳐 볼리비아의 씨감자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씨감자 양액재배온실, 육묘용 그린하우스, 농기계 지원, 한국 초청연수, 농가영농교육 등을 진행하며. 농림축산식품부 국제농업협력사업의 일환으로 40억원이 투입되어 추진하고 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방역본부, ‘AI챔피언 1호 배출’ 공공부문 AI 선도를 위한 기반 마련!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본부장 김태환)는 행정안전부가 주관한 AI 활용역량 인증 평가에서 ‘위생방역본부 소속 AI챔피언 1호’를 배출했다고 밝혔다. ‘AI챔피언’은 행정안전부가 2030년까지 공공분야 AI전문가 2만명 양성을 목표로 추진중인 제도로, AI를 활용해 정책 및 행정 서비스를 설계·실행할 수 있는 실무형 전문 인재를 인증하는 제도다. 올해 시범운영된 AI챔피언 역량 인증자는 전국 공무원 및 공공기관 직원 중 단 195명이며, 이중 농·축산업 분야는 4명이다. 위생방역본부는 현재 가축방역, 축산물위생검사, 민원·행정처리 고도화 등 대국민 서비스 강화를 위해 사업 전반에 걸쳐 AI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번 AI챔피언 1호 배출은 위생방역본부의 AI 전문인력 양성 노력이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성과로 평가된다. 위생방역본부 김태환 본부장은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는 방역·예찰·검역 등 국가 필수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AI 기술은 더이상 선택이 아닌 행정 서비스 품질을 좌우하는 핵심 역량이다.”라면서, “앞으로도 현장 중심, 데이터 기반, 실효성 있는 AI 행정을 구현하기 위해 직원 교육과 제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겠다.”라고 밝혔다. 나남길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팜스코, ‘2025 경남 양돈 전략세미나’ 성료
㈜팜스코(대표이사 김남욱)는 지난 10월 30일 진주 제이스퀘어호텔에서 ‘2025 팜스코 양돈 전략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경남 지역의 양돈 농가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팜스코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지속 가능한 양돈산업의 미래 전략을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로 진행됐다 첫 순서로 장원구 양돈팀장은 ‘양돈시황과 전략’을 주제로 2025년 돈가 형성 요인을 국내 공급·수입·소비 측면에서 분석하며 현황을 정리했다. 그는 “공급 부족으로 인한 고돈가 기조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라며, “이러한 시황 속에서 모돈 갱신에 대한 투자와 후보돈·대군농장을 중심으로 한 순종모돈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6년 다산성 모돈의 연산성과 순종모돈 관리 강화를 위해 팜스코의 등지방 측정 캠페인을 소개하고, 솔루션 시리즈의 마지막 퍼즐인 ‘솔루션M’의 특장점과 접목 필요성을 강조했다. 홍승범 지역부장은 ‘팜스코와 함께하는 탄소중립’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그는 탄소중립 정책의 흐름과 저탄소축산물 인증 제도를 설명하며, 단순한 인증 참여를 넘어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위한 질소저감 사료의 역할을 강조했다. 또한 팜스코의 ‘질소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