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말레이시아에 양파수출

aT “말레이시아식품박람회에서 전남 양파 60톤 수출계약 체결”

아세안 할랄시장의 중심지인 말레이시아에서 한국산 양파를 비롯한 한국 농식품의 인기는 뜨거웠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이병호)는 최근 3일간 ‘말레이시아 식품박람회’에 참가해 국내 수출업체 32개사와 함께 한국관을 구성하고, ‘한국산 양파 특별홍보관’을 운영했다.

 

최근 국내산 양파 과잉생산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해외수출 확대를 모색하기 위해 운영한 양파 홍보관에서는 우리 양파의 우수성 및 효능을 집중 홍보하고, 전문 쉐프가 한국산 양파를 활용한 매콤한 닭갈비와 달콤한 양파잼 쿠킹쇼를 선보였다. 뿐만 아니라 최근  K-Food 홍보모델로 선정된 아스트로 차은우의 모습이 담긴 양파 홍보물을 배포하여 내방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특히, 전라도 함평산 양파가 현지 유통체인인 KCF와 10만 달러(약 60톤 규모)의 현장 수출계약을 체결하는 쾌거를 거두었으며, 박람회 기간 동안 한국 농식품은 총 360억원의 수출상담 실적을 올렸다.

양파 특별홍보관을 찾은 현지 바이어들은 “한국산 양파는 말레이시아산 양파보다 매운 맛이 강렬하고 더 달콤해 적은 양으로 음식의 풍미를 살릴 수 있다”라며 “특히 한국산 양파로 만든 양파잼은 설탕이 들어가지 않아도 달콤하여, 단맛을 좋아하는 현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인기를 끌 수 있을 것”이라며 많은 관심을 보였다. 

 

이밖에도 한국관 내에선 참가업체를 대상으로 말레이시아 시장 수출진행 시 발생되는 애로사항 해소를 위해 수출 전문가를 초청하여 현지화지원사업 애로상담관을 운영하였다. 애로상담관에선 할랄(HALAL) 및 자킴(JAKIM)인증 취득 등 말레이시아 시장의 원만한 진출을 위한 현지 컨설턴트의 자문이 이루어졌다. 또한 말레이시아 인플루언서 초청을 통해 한국관을 비롯하여 참가업체 제품을 현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홍보하였다.

 

aT 신현곤 수출이사는 “말레이시아는 아세안 국가 중 매년 수출이 신장하고 있는 매력적인 동남아 할랄 시장의 허브”라며 “이번 말레이시아 식품박람회 양파 특별홍보관을 필두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펼쳐 수출 증대를 통한 양파 가격 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