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말 뿐인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 친환경농업 농가 해마다 감소

김종회, 국내 여건에 맞는 친환경 인증제도 마련해 농가 행정부담 완화해야
대구 84% 최다 감소, 울산·경북·대전 순으로 감소 폭 높아

 

문재인 정부가 핵심 국정과제로 친환경농업 육성을 제시했지만, 정작 친환경 농업 실천 농가수는 해마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종회 의원(민주평화당, 전북 김제·부안)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시도별 친환경인증 농산물 농가수’ 현황을 보면, 2014년 25만호에 이르렀던 친환경인증 농가가 2017년에는 19만호로 24% 감소했다.

 

문재인 정부는 환경친화형 농축산업으로 전환을 위해 친환경농업의 생산·유통기반 확충 및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국정과제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까지 전체 농지면적 대비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을 8%로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하지만, 2017년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은 80,114ha로 전체 농지면적 대비 4.9%에 불과했다.

 

시도별 친환경 인증농가수를 보면, 대구광역시는 2014년 대비 84% (2431호)에 이르는 농가가 친환경 농업을 그만 둔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 60% (469호), 경북 59% (22,308호), 대전 46%(109호) 순으로 친환경 농가 감소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광주광역시는 친환경농가수가 84%(567호) 증가하였고, 세종 역시 46% (148호) 증가폭을 나타내었다.

 

품목별 감소현황을 보면, 과실류가 51% (18,216호)로 크게 감소하였고, 고구마 같은 서류는 26% (1,974호), 채소류 25% (22,615호), 곡류 16% (15,403호)로 뒤를 이었다.

김종회 의원은 “농가는 소득과 판매가격 때문에 친환경농업으로 전환하지만, 농업과정에서의 친환경 여부가 아닌 결과와 분석 중심의 인증제도로 과도한 검사, 서류작성 및 제출 요구 등으로 농가 행정 부담 비용이 상승해 친환경농업 실천 농가수가 감소하는 것이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는 외국의 친환경 인증 제도를 국내에 도입하면서 국내 여건에 적합하게 도입시키려는 정부 노력이 부족했던 것인 만큼, 성공적인 국정과제 수행을 위해서는 친환경 농업 농가의 애로사항을 조사하여 농가 행정 부담을 완화하고 국내 농업 상황에 맞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협, 고강도 혁신 착수!...‘국민 신뢰’ 높여 나간다
농협(회장 강호동)은 최근 잇따른 사건·사고로 훼손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강도 높은 개혁안을 12일 발표했다. 이 개혁안은 이틀 전 발표된 범농협 임원 인적 쇄신 방안의 후속 조치로, 농협 조직 및 임직원 전체가 뼈를 깎는 수준의 혁신을 시행하겠다는 강력한 의지가 담겨있다. 개혁안은 ▲ 신뢰받는 농협중앙회 ▲ 깨끗하고 청렴한 농축협 ▲ 국민에게 사랑받는 농협이라는 3대 추진 전략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중앙회 지배구조 혁신’, ‘지역 농축협 부정부패 제로화’, '농업인 부채 탕감’ 등 농협의 근본적 변화를 이끌 구체적 실행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농협중앙회 지배구조 혁신 및 책임경영 강화 농협은 중앙회 운영 전반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바꾸기로 했다. 대표, 임원, 집행간부의 절반 이상을 교체하는 대대적인 인적 쇄신과 더불어, 임원 선출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퇴직자의 재취업을 원칙적으로 제한한다고 밝혔다. 대표이사에게 경영 자율성을 보장하여 책임경영 체계를 확립하는 한편, 책무구조도를 도입하여 중대한 비위 행위 발생 시 대표이사를 해임하는 등 엄중히 문책하기로 했다. 또한, 불공정 이슈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수의계약을 원칙적으로 금지할 계획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