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올해 ‘쌀’ 생산량 감소 불구 공급여력 충분

정부 "쌀 수급 불안 시, 필요한 대책 적기 시행"

지난 12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0년산 쌀 생산량은 350만 7천톤이다. 올해는 이례적으로 긴 장마, 연이은 태풍, 병충해 등으로 벼 생육기간 중 농업인의 어려움이 그 어느 해보다 컸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농업인들이 현장에서 병충해 방제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쌀 생산량은 전년(374만 4천톤)보다 23만 7천톤(△6.4%), 평년(401만 2천톤)보다 50만 5천톤(△12.6%) 감소하였다.

 

< 연도별 벼 재배면적 및 쌀 생산량 현황 >

 

14

15

16

17

18

19

20

 

전년비

재배면적(ha)

816

799

779

755

738

730

726

-0.5%

10a당 생산량(kg)

520

542

539

527

524

513

483

-5.9%

총 생산량(천톤)

4,241

4,327

4,197

3,972

3,868

3,744

3,507

-6.4%

 

최근 산지쌀값은 전년 대비 14%, 평년 대비 31% 높은 수준으로 올해 생산량 감소를 고려하면 일정 수준 가격 상승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시장 동향 등을 예의 주시하면서 가수요 등으로 인해 수급 불안이 확대되거나 확대될 우려가 있는 경우 정부양곡을 적기에 공급함으로써 2020년산 쌀 수급 관리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올해 쌀 생산량(351만톤)은 밥쌀용 쌀 수요(291만톤)를 공급하기에는 충분하며 정부는 9월말 기준으로 총 95만톤의 재고를 보유하고 있고 2020년산 공공비축미곡 35만톤을 매입 중이므로 수급 상 부족한 물량을 공급할 수 있는 여력을 갖고 있다.

 

< 시도별 벼 재배면적 및 쌀 생산량 현황 >

시도

재배면적(ha)

10a당 생산량(kg)

생산량(천톤)

19

20

증감률

(%)

19

20

증감률

(%)

19

20

증감률

(%)

전국

730

726

-0.5

513

483

-5.9

3,744

3,507

-6.4

경기

77

75

-2.0

488

464

-5.0

374

348

-6.8

강원

29

28

-0.8

527

448

-14.9

151

127

-15.6

충북

33

33

-1.5

523

491

-6.2

174

161

-7.6

충남

132

131

-0.7

537

516

-3.8

709

678

-4.5

전북

112

111

-1.1

539

501

-7.0

605

556

-8.1

전남

154

156

1.4

471

441

-6.4

725

688

-5.1

경북

97

97

-0.2

543

509

-6.3

529

495

-6.5

경남

66

65

-1.4

503

483

-4.0

332

314

-5.3

기타

29

29

0.2

496

474

-4.4

146

140

-4.1

시도

재배면적(ha)

10a당 생산량(kg)

생산량(천톤)

19

20

증감률

(%)

19

20

증감률

(%)

19

20

증감률

(%)

전국

730

726

-0.5

513

483

-5.9

3,744

3,507

-6.4

경기

77

75

-2.0

488

464

-5.0

374

348

-6.8

강원

29

28

-0.8

527

448

-14.9

151

127

-15.6

충북

33

33

-1.5

523

491

-6.2

174

161

-7.6

충남

132

131

-0.7

537

516

-3.8

709

678

-4.5

전북

112

111

-1.1

539

501

-7.0

605

556

-8.1

전남

154

156

1.4

471

441

-6.4

725

688

-5.1

경북

97

97

-0.2

543

509

-6.3

529

495

-6.5

경남

66

65

-1.4

503

483

-4.0

332

314

-5.3

기타

29

29

0.2

496

474

-4.4

146

140

-4.1

 

구체적인 정부양곡 공급방식, 시기 등 세부 사항은 11월 중 ‘양곡수급안정위원회’ 논의를 거쳐 결정할 계획이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송파구청·송파소방서, 가락시장 싱크홀 안전사고발생 대응 종합훈련 가져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문영표)는 지난 10월 31일 송파구청, 송파소방서 등 15개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2025년 송파구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및 긴급구조종합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전국적으로 실시되는 ‘안전한국훈련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도심지 싱크홀 발생 및 다중밀집시설 대형 화재 사고와 같은 대규모 복합재난 상황을 가정하여 가락시장(가락몰 일원)에서 민관 합동으로 500여명이 훈련에 참여했다. 땅꺼짐 발생으로 도시가스관이 파열되고, 누출된 가스로 화재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공사 자위소방대가 초기대응을 위해 옥외소화전을 이용하여 진화를 시도하고, 대피 안내 방송에 따라 건물 내 유통인들과 입주자들을 대피시켰다. 이어서 화재 신고로 송파소방서가 출동하고 건물 내로 진입하여 진압과 동시에 부상자를 구조하는 등 구조·구급 활동을 전개했다. 화재 상황이 전파되어 대응 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송파구청과 화재현장에는 재난안전대책본부, 통합지원본부, 긴급구조통제단이 설치되는 등 유관기관들과 협업하여 신속하게 화재 진압과 구조·구급을 위한 상황판단회의를 진행했다. 특히 이번 훈련에는 가락몰 1관에서 시작된 화재가 업무동으로 확산되는 과정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