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올해 ‘쌀’ 생산량 감소 불구 공급여력 충분

정부 "쌀 수급 불안 시, 필요한 대책 적기 시행"

지난 12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0년산 쌀 생산량은 350만 7천톤이다. 올해는 이례적으로 긴 장마, 연이은 태풍, 병충해 등으로 벼 생육기간 중 농업인의 어려움이 그 어느 해보다 컸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농업인들이 현장에서 병충해 방제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쌀 생산량은 전년(374만 4천톤)보다 23만 7천톤(△6.4%), 평년(401만 2천톤)보다 50만 5천톤(△12.6%) 감소하였다.

 

< 연도별 벼 재배면적 및 쌀 생산량 현황 >

 

14

15

16

17

18

19

20

 

전년비

재배면적(ha)

816

799

779

755

738

730

726

-0.5%

10a당 생산량(kg)

520

542

539

527

524

513

483

-5.9%

총 생산량(천톤)

4,241

4,327

4,197

3,972

3,868

3,744

3,507

-6.4%

 

최근 산지쌀값은 전년 대비 14%, 평년 대비 31% 높은 수준으로 올해 생산량 감소를 고려하면 일정 수준 가격 상승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시장 동향 등을 예의 주시하면서 가수요 등으로 인해 수급 불안이 확대되거나 확대될 우려가 있는 경우 정부양곡을 적기에 공급함으로써 2020년산 쌀 수급 관리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올해 쌀 생산량(351만톤)은 밥쌀용 쌀 수요(291만톤)를 공급하기에는 충분하며 정부는 9월말 기준으로 총 95만톤의 재고를 보유하고 있고 2020년산 공공비축미곡 35만톤을 매입 중이므로 수급 상 부족한 물량을 공급할 수 있는 여력을 갖고 있다.

 

< 시도별 벼 재배면적 및 쌀 생산량 현황 >

시도

재배면적(ha)

10a당 생산량(kg)

생산량(천톤)

19

20

증감률

(%)

19

20

증감률

(%)

19

20

증감률

(%)

전국

730

726

-0.5

513

483

-5.9

3,744

3,507

-6.4

경기

77

75

-2.0

488

464

-5.0

374

348

-6.8

강원

29

28

-0.8

527

448

-14.9

151

127

-15.6

충북

33

33

-1.5

523

491

-6.2

174

161

-7.6

충남

132

131

-0.7

537

516

-3.8

709

678

-4.5

전북

112

111

-1.1

539

501

-7.0

605

556

-8.1

전남

154

156

1.4

471

441

-6.4

725

688

-5.1

경북

97

97

-0.2

543

509

-6.3

529

495

-6.5

경남

66

65

-1.4

503

483

-4.0

332

314

-5.3

기타

29

29

0.2

496

474

-4.4

146

140

-4.1

시도

재배면적(ha)

10a당 생산량(kg)

생산량(천톤)

19

20

증감률

(%)

19

20

증감률

(%)

19

20

증감률

(%)

전국

730

726

-0.5

513

483

-5.9

3,744

3,507

-6.4

경기

77

75

-2.0

488

464

-5.0

374

348

-6.8

강원

29

28

-0.8

527

448

-14.9

151

127

-15.6

충북

33

33

-1.5

523

491

-6.2

174

161

-7.6

충남

132

131

-0.7

537

516

-3.8

709

678

-4.5

전북

112

111

-1.1

539

501

-7.0

605

556

-8.1

전남

154

156

1.4

471

441

-6.4

725

688

-5.1

경북

97

97

-0.2

543

509

-6.3

529

495

-6.5

경남

66

65

-1.4

503

483

-4.0

332

314

-5.3

기타

29

29

0.2

496

474

-4.4

146

140

-4.1

 

구체적인 정부양곡 공급방식, 시기 등 세부 사항은 11월 중 ‘양곡수급안정위원회’ 논의를 거쳐 결정할 계획이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우리 농산물 과채류 매력 알리기 콘텐츠 공모’... 9월 30일까지
농협(회장 강호동) 경제지주(농업경제대표이사 박서홍)는 7월 10일부터 9월 30일까지 국산 과채류의 우수성을 알리고 소비를 확대하기 위해 ‘2025 우리 농산물 과채류 매력 알리기 콘텐츠 공모전’을 개최한다. ‘국산 과채류의 가치를 발견하고 함께 공유하는 즐거움’을 주제로 하는 이번 공모전은 ▲사진 ▲영상(UCC) ▲카드뉴스 등 3개 부문으로 나누어 진행되며, ▲과채류의 기능성과 효능 ▲생활 속 과채 소비 실천 유도 방법 ▲기타 소비문화 확산 등에 대해 자유롭게 표현하면 된다. 공모전 소재는 오이, 토마토, 애호박, 가지, 풋고추, 파프리카, 참외, 딸기, 멜론, 상추 10개 품목이다. 특히 올해는‘우수농산물관리(GAP)’또는‘친환경(유기농·무농약)’인증 제도에 대한 설명 추가 시 가점을 부여한다. 심사는 ▲작품의도 ▲창의력 ▲표현력 ▲재미와 감동 ▲노력도 ▲작품성 등을 기준으로 진행되며, 대상 수상자에게는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이 수여되는 등 총 1,350만원 상당의 상금과 상장이 주어진다. 공모전 공식 홈페이지 또는 구글폼을 통해 응모가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와 인스타그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번 달 31일까지 본인이 접수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가축 폭염피해’ 최소화에 정부역량 총동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최근 폭염으로 인한 가축 피해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향후에도 폭염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과거와 다른 정부·지자체·유관기관 간 체계적 대응이 중요하다고 판단, 식량정책실장 주재로 축산분야 폭염 대비 추진 상황 긴급 점검 회의를 개최하고 ‘축산분야 폭염 피해 대책’을 발표하였다. 현재 가축폐사는 7월 10일 기준 약 53만 마리로, 돼지 사육마릿수 중 0.17%, 산란계 0.02% 등 수준이다. 회의 참석자들은 현 상황에서 국민들이 축산물 가격상승을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의견이었으나, 유례없는 폭염으로 가축 폐사가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인 만큼 농식품부는 정부, 지자체, 농협, 생산자단체 등 주체별로 다음과 같이 대응하기로 하였다. 우선, 농식품부는 기존 축산재해대응반을 격상하여 농식품부·축평원·농협·지자체 등으로 ‘폭염 대응 가축 피해 최소화 TF’를 구성·운영(7~8월)한다. 이를 통해 피해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유관기관에 협조 요청사항을 전파하는 한편, 실제 현장 수요를 매일 점검한다. 구체적으로, 농가 피해·애로사항 지자체별 접수 담당자를 지정하는 한편, 지자체 가용 차량(약 300대), 지역 농축협 가용 차량(공동방제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