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경주마' 2세 경매부진... 낙찰률 20%까지 떨어져

경마중단 및 재개시점 불투명한 상황에서 ’온택트‘로 타개 노력에도 불구 73두 중 단 3두 낙찰
작년 7월 2세마 경매 대비 낙찰률 26.5%p 급감 ··· 경매 불황으로 경주마 시장 위축, 말산업 전반의 피해로 번질까 우려
8월까지 생산농가 피해 규모 약 60억 원 ··· 연말까지 지속될 경우 100억 원 이상 추정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경마 중단으로 인해 말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경주마 경매 시장도 ’빨간불‘이 켜졌다.

지난 8일(화) 제주시 조천읍에 위치한 (사)한국경주마생산자협회 경매장에서 올해 세 번째 국산 2세 경주마 경매가 진행됐다. (사)한국경주마생산자협회는 코로나19로 수도권 거리두기 단계가 2.5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9월 경주마 경매를 온라인으로 시행했다.

 

 

지난 4월 최초로 도입된 온라인 경매는 유튜브 생중계로 상장마의 상태 등을 확인하고 SNS 채팅방을 통해 입찰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참여자들의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이번 9월 경매는 현장 참여와 온라인 참여가 모두 가능했던 기존의 입찰 방식에서 한 단계 나아가 전면 온라인으로만 시행됐다.

 

입찰자들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고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온라인을 통해 활로를 모색했지만 경매 결과는 아쉬웠다. 상장된 73두 중 단 3마리만 낙찰됐고 경마 최고가액도 기존에 못미치는 2,550만원, 평균 낙찰가는 2,183만원을 기록했다.

 

또한 코로나19가 불러온 파장이 경주마 생산·육성에도 직격탄을 날린 여파로 작년 7월 경매(낙찰률 30.6%)와 올해 7월 경매(낙찰률 24.6%)보다 20%p 이상 낮아진 4.1%의 낙찰률을 기록했으며 평균 낙찰가 또한 지난해 7월 대비 1,347만원이 하락했다.

 

 

올해 마지막 2세마 경매였던 9월 경매의 부진한 결과와 함께 경주마 생산농가들의 시름도 깊어만 가고 있다. 코로나19로 경마가 중단되며 투자의 불확실성이 커진 마주들 역시 경주마 구매를 주저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3마리 낙찰‘이라는 결과가 이를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생산 농가들은 결국 울며 겨자먹기로 이번 경매에서 주인을 찾지 못한 경주마들을 개별적으로 판매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에 따른 생산농가들의 피해 역시 가시화 되고 있다. 경마 미시행 및 경매 시장 위축에 따른 말 생산농가 피해 규모는 올해 8월말 기준 약 60억 원으로 추정된다. 연말까지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손실액은 100억 원 규모로 눈덩이처럼 불어날 전망이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