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국내 구제역 '백신시장' 1천억원 규모...백신 국산화에 구슬땀

구제역백신연구센터, 자체개발한 종자바이러스 백신항원 제조공정 표준화
2021년 완공 예정인 국내 구제역 백신 제조기술 산업체 공동연구 진행
구제역백신연구센터, 독자적으로 구제역 백신항원 생산기술 확립
구제역 백신 제조공정 4단계-세포배양-바이러스 증식-불활화-농축·정제과정 거쳐

[기/획/특/집] 한국형 '구제역 백신' 종자바이러스 개발 어디까지 왔나?...②구제역 백신 항원의 제조공정 확립 기술

 

매년 약 1천억원 규모로 수입되는 구제역 백신의 국산화를 위해 농림축산검역본부 구제역백신연구센터에서는 관련 연구를 활발히 수행중이다. 

 

그 중 구제역 백신 제조공정 분야는 상업적 구제역 백신 생산시설이 아직 갖춰지지 않은 상황이어서, 국가 지정 생산업체인 ㈜FVC 단독으로는 기술을 확보하기 어려운 영역이다. 

 

따라서 구제역백신연구센터에서는 보유중인 시험생산 규모(100리터) 제조시설을 이용하여 독자적으로 구제역 백신항원 생산기술을 확립하였다. 

 

이는 구제역 백신 생산단계(톤 단위)에 앞선 시험생산 기술로서, 2021년 완공 예정인 국내 구제역 백신 제조사에 관련기술을 이전하기 위해서 ㈜FVC와 산업체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구제역 백신항원(감염력을 없앤 바이러스로 만든 백신 유효 성분) 제조공정은 크게 4단계(세포배양, 바이러스 증식, 불활화, 농축·정제)로 구성된다. 세포를 자동화 배양장치에서 배양한 후, 여기에 구제역바이러스를 접종하여 증식시킨다. 

 

 

증식한 구제역바이러스에 약품을 처리하여 감염력을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농축·정제 과정을 거치면 구제역 백신항원이 만들어진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구제역 백신을 접종하는 지역에서는 구제역바이러스가 증식할 때 생겨나는 비구조단백질에 의한 항체의 유무로 자연감염축과 백신접종축을 감별하기 때문에 백신항원 생산단계에서 비구조단백질을 제거하는 정제 공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구제역백신연구센터에서는 자체개발한 종자바이러스 각각에 대해서 백신항원을 만들기 위한 제조공정 표준화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항원 생산공정 및 품질관리를 간편한 방식으로 개선하는 신기술 개발 등의 다양한 공정연구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향후 국산 구제역 백신이 세계시장에서 품질 경쟁력을 갖추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농림축산검역본부 구제역백신연구센터 수의연구사 김아영 박사 mochsha@korea.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정부 양곡 2.5만톤 추가 방출... 15일까지 물량신청 서둘러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양곡(벼)을 추가로 2.5만 톤(정곡) 공급한다고 밝혔다. 지난 8월 25일부터 공급한 정부양곡 3만 톤의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9월 5일까지 2주 동안 공급 물량의 절반 이상을 판매 완료하였고, 잔여 물량 또한 2주 내외 공급 가능한 물량으로, 햅쌀(중만생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0월 중순까지 지역에 따라 1~2주일간의 원료곡이 부족한 상황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올해 조생종 수확 시기에 잦은 비로 인한 조생종 출하가 늦어져 구곡에 대한 산지유통업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농식품부는 이번에 추가로 2.5만 톤(정곡)을 공급하여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벼) 확보 애로를 충분히 해소하여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양곡 공급 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이하 대상업체)이다(지난 8월 3만 톤 정부양곡 대여 공급대상과 동일). 대상업체 중 정부양곡 공급을 희망하는 업체는 농협경제지주 공지에 따라 9월 15일까지 희망 물량을 제출하면 된다. 대상업체의 전년도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하여 대여 물량이 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