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뉴스

한국형 '구제역 백신' 종자바이러스 개발 어디까지 왔나?

구제역 '백신시장' 국내 공급 꾸준히 늘어
농림축산검역본부 구제역백신연구센터 김수미 박사
"국내 구제역백신연구센터, 검증 완료된 구제역 백신 종자바이러스 14종 이미 확보"

[기/획/특/집] 한국형 '구제역 백신' 종자바이러스 개발 어디까지 왔나?①...농림축산검역본부 구제역백신연구센터 김수미 박사

 

코로나19 여파로 질병예방과 백신에 대한 연구개발이 그 어느때 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 중장기 국정과제로 발표된 한국판 뉴딜정책 또한 이러한 바이오산업 육성도 내포돼 있다고 본다.

농업계 역시 구제역과 AI, 아프리카돼지열병, 과수화상병 등 각종 질병으로부터 큰 위협을 받고 있다.

 

특히, 수년전 가축질병인 구제역 창궐로 국내 축산업 자체를 뿌리채 흔들어 놓는 일까지 벌어져, 국산 구제역 백신을 공급하는 일이 너무도 중요해 졌다.

 

이에 본지는 농림축산검역본부 구제역백신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구제역 백신' 국내 진척 상황과 실태를 알리기 위해 백신 종자바이러스 개발 현황, 백신 공정 확립, 이상육 감소를 위한 백신 그리고 신개념 백신 등을 기획특집으로 연재하고자 한다.<편집자주>

 

연간 약 1천억원에 달하는 우리나라 구제역 백신시장에 국산 구제역 백신을 공급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형 구제역 백신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신규 구제역 백신 종자바이러스(Master Seed Virus)를 개발해야 한다. 

 

구제역 백신 종자바이러스는 각종 미생물 오염 검사와 증식 특성 분석 등을 완료하여, 우수한 효력의 구제역 백신 생산이 가능하다고 판명된 백신주 바이러스를 말한다. 

 

따라서, 국산 구제역 백신 종자 바이러스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증식능, 항원생산능, 면역효과 등이 증명되어야 하고, 기타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오염이 되지 않아야 한다. 

 

농림축산검역본부 구제역백신연구센터 김수미 박사<사진>는 "구제역 백신은 개발이 완료된 종자바이러스를 사용하여 구제역 바이러스를 대량 배양한다."며 "배양된 바이러스를 약품으로 바이러스 감염성을 없애는 과정인 불활화한 항원을 생산한 뒤, 면역증강제를 추가하여 제작된다."고 구제역 백신 연구과정을 설명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 구제역백신연구센터에서는 검증이 완료된 구제역 백신 종자바이러스 14종을 확보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구제역 바이러스를 세포에 적응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해외 발생 바이러스를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사용하여 종자바이러스를 확보하였다. 

 

14종에는 구제역의 7가지 모든 혈청형이 포함되어 있어, 향후 국내 수요에 대비하고 있다. 

특히, 2020년 상반기에는 확보된 종자바이러스 중 4개(O형 보은주, O형 PanAsia 2, A형 연천주, A22 Iraq)를 한국형 구제역 백신 제조회사인 ㈜에프브이씨에 기술이전하였다.

 

우선적으로 O형 보은주와 A형 연천주 2가 백신을 상용화하기 위해 다양한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O형 보은 백신주와 A 형 연천 백신주는 최근 아시아 지역에서 대 유행 중인 바이러스 유형일 뿐 아니라, 우수한 면역효과와 다양한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능력을 보유하여 향후 우리나라 구제역 방역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촌공간 대전환하겠다!'...정부-농업인단체 농정방향 간담회 가져
농림축산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3월 5일(화),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농업인단체장들과 소통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승호 한국농축산연합회 회장, 최흥식 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 상임대표, 노만호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 회장, 이숙원 한국여성농업인중앙연합회 회장, 민경천 전국한우협회 회장, 김상기 친환경농업협회 회장 등 30명의 농업인단체장들이 참석하여 2024년 농식품부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공유하고 상호 소통하는 자리를 가졌다. 송 장관은 “우리 농업인들이 걱정없이 농사지을 수 있도록 든든한 농가 소득·경영안전망 구축, 농업혁신을 통한 미래성장산업화 등 농업·농촌의 지속가능성 확보에 필요한 정책들을 빠짐없이 챙겨 나가겠다”고 말하면서, “국민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업·농촌을 만들 수 있도록 디지털 전환, 농촌공간 전환, 세대전환의 3대 대전환을 적극적·공세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현장과의 소통을 핵심 가치로 삼아 농업인의 뜻을 귀담아듣고, 문제를 즉각 해결하여 농업인이 체감하실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약속하면서 농업인단체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협력을 요청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