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장마철 농작물 관리 주의

평년 보다 긴 장마와 일조시간 부족으로 병 발생 우려

올해 장마는 6월 10일 시작되어 평년 30일 보다 길게 이어지고 7월 13일 기준 강우일수 또한 20일로 많아 농작물 병 발생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정대천)은 올해 장마철 잦은 비 날씨에 따른 노지감귤원은 검은점무늬병, 시설하우스는 정전에 의한 고온피해, 밭작물은 역병 및 덩굴마름병 등 발생 우려가 커 농작물 관리 주의보를 발령한다고 밝혔다.

 

6월 10일부터 7월 13일까지 도 평균기온은 22.4℃로 평년과 비슷했으나 강우량은 502.2mm로 평년보다 192.2mm 많고 일조시간은 129.2시간으로 평년보다 12.1시간이 적었다.

 

감귤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검은점무늬병은 20℃에서 12시간 이상 습윤 조건이 필요하다. 7월 상순부터 최저온도 20℃를 넘어서고 강우량 및 강우일수가 평년보다 많아 감귤열매가 젖어 있는 시간이 12시간 이상을 경과하면서 죽은 가지가 많은 감귤원을 중심으로 병 발생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구좌읍, 표선면 더덕 주 재배지역은 7월 10일부터 13일까지 계속된 비 날씨와 200mm이상 많은 강우량으로 점무늬병, 녹병, 줄기썩음병 등 확산 우려가 되고 있다.

 

노지수박과 단호박 재배 주산지는 강우량이 적어 역병 및 덩굴마름병 등 병 발생은 평년 수준으로 예상되지만 철저한 배수관리와 사전방제가 필요하다. 또한 최근 시설감귤하우스 낙뢰에 의한 화재 및 누전차단기 고장으로 고온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노지감귤 검은점무늬병은 장마기에 70% 이상 감염되기 때문에 비가 오기 전에 방제해야 하나 방제를 하지 못한 경우에는 비가 그친 후 48시간 이내에 방제해야 한다. 또한 누적 강수량이 200mm이상일 때마다 방제해야 한다.

 

밭작물은 비가 오기 전에 PLS를 준수해 적용약제를 살포해 예방하는 것이 피해를 줄일 수 있으나 사전 예방을 못한 경우 비가 끝친 후 서둘러 방제해야 한다. 시설하우스는 강풍과 벼락 예보 시 누전 차단기 동작, 우적센서 고장 등 사전점검으로 피해예방에 힘써야 한다.

 

허영길 농업재해팀장은 ‘비가 오기 전에 약제 살포하는 것이 병 방제 예방효과가 높다.’고 전하면서 ‘시설하우스 고온 피해 예방을 위한 전기 시설 점검에도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강조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