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우리밀 신품종 육성에 활용될 우수 유전자원을 찾아라!

농촌진흥청, 80개 나라 2,500여 밀 유전자원 현장평가회 열어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국산 밀 자급률 향상 정책에 맞춰 우리밀 신품종 육성에 활용될 육종소재를 발굴하고, 정부혁신 성과제고를 위해 지난 21일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밀 유전자원 현장평가회를 열았다.

 

2019년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에 따르면 2018년 우리나라 밀 식량자급률은 1.2%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2년까지 밀 식량자급률을 9.9%까지 높이기 위해 밀 수매제 부활, 품질등급제, 고품질 품종 개발 등의 중장기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현장평가회는 80개 나라에서 수집해 농업유전자원센터가 보존하고 있는 2,500여 자원을 대상으로 한다.

 

 

육종가들은 야생종, 재래종, 도입종, 육성종 등 농업 형질을 직접 관찰한 후 평가해 우리밀 신품종 육성 등 연구에 활용할 자원을 선발한다.

농촌진흥청은 자원 특성을 비교할 수 있도록 금강밀, 조경밀 등 대조품종을 같이 재배하고 있으며, 우수자원 선발 시 기준으로 활용한다.

 

이번에 선보이는 자원에는 대조품종보다 성숙기가 빠를 것으로 예측되는 자원, 줄기 길이가 50cm 내외인 자원, 까락이 길고 방사형으로 배열된 야생밀 자원 10여 개도 포함돼 있다.

이날 국산밀(금강밀)로 만든 빵과 쿠키를 시식하는 자리도 마련되었다.

 

현장평가회에서 선발된 자원들은 우리밀 육성에 필요한 육종소재로 활용될 수 있도록 분양될 예정이다.

자원 분양을 희망하는 기관이나 연구자는 씨앗은행에서 신청하면 된다.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 손성한 센터장은 “이번 현장평가회를 통해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보존하고 있는 다양한 밀 유전자원들이 우리밀 신품종 육성에 활용될 수 있길 바란다.”라며, “유용 유전자원과 정보제공으로 밀 관련 산업계와 학계가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정원, ‘천원의 아침밥’... 나만의 조리법 아이디어 발굴!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윤동진)은 대학생 먹거리 트렌드를 반영한 짧은 영상 콘텐츠를 통해, 쌀을 활용한 천원의 아침밥 우수 식단을 발굴하고자 2025년 천원의 아침밥 ‘아주 라이스’ 우수 조리법 레시피 영상 공모전을 개최한다. ‘천원의 아침밥’ 사업은 2017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정원이 함께 추진해온 정책으로, 쌀 소비 촉진과 20~30대의 높은 아침 결식률 개선, 건강한 쌀 중심 아침 식사 습관 형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사업은 정부가 1인 1식당 2,000원을 지원하고, 지자체와 대학이 일부 비용을 분담하여 대학생들이 아침 식사를 1,000원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사업으로, 현재 전국 201개교에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천원의 아침밥 사업의 식단을 보다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방식으로 보급·확산하기 위해 이번 우수 조리법(레시피) 영상 공모전이 기획되었다. 공모전 접수는 7월 7일부터 7월 31일까지 진행되며, ‘오늘을 여는 아침 밥상’을 주제로 일반식 또는 간편식 조리법을 짧은 영상 형태로 신청받는다. 작년까지는 참여대학을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나, 올해부터는 새정부 정책에 따라 사업 확대를 위해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공모전을 진행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