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세계식량가격지수 3개월 연속 하락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171.3포인트) 대비 3.4% 하락한 165.5포인트 기록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0년 4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71.3포인트) 대비 3.4% 하락한 165.5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생산·유통에 장애가 있었으나, 세계식량가격지수는 3개월 연속 하락하여 2019년 1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품목군별로 보면 곡물 가격은 안정적인 수준이며, 육류·유제품·유지류·설탕 가격은 하락하였다.

 

곡물은 ’20.3월(164.3포인트)보다 0.2% 하락한 164.0포인트 기록하였다.

주요 곡물 중 밀과 쌀 가격은 상승하였고 옥수수 가격은 하락하여 전반적인 곡물가격지수는 전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됐다.

밀 가격은 전월 대비 2.5% 상승하였는데, 이는 국제 수요가 존재함에도 러시아가 곡물 수출 할당량(쿼터) 소진에 따라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이외 국가에 대한 수출을 중단하였기 때문이다.

 

쌀 가격은 일부 국가의 임시 수출제한 및 물류장애로 인해 전월 대비 7.2% 상승했다. 다만, 베트남이 4월말 수출제한을 단계적으로 완화·철폐하여 추가적인 상승은 없었다.

한편, 옥수수 가격은 3개월 연속 하락하여 이에 따른 잡곡가격지수가 전월 대비 10% 하락했다. 사료 및 바이오 에탄올 수요가 감소하고 남미의 신규 수확 물량이 추가되어 공급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육류의 경우 ’20.3월(173.5포인트) 대비 2.7% 하락한 168.8포인트 기록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한 노동력 부족으로 육류 가공이 감소하였으나, 경제불황, 물류장애 및 봉쇄로 인한 외식분야 수요 감소로 재고 및 수출 공급량이 증가하였다.

중국의 수입 수요가 소폭 회복되었으나 다른 국가들의 수입 수요 하락을 상쇄하기에는 불충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유제품은 ’20.3월(203.5포인트)보다 3.6% 하락한 196.2포인트 기록(2개월 연속 하락, 전년 동월 대비 8.8% 낮음)하였다.

버터, 탈지분유 및 전지분유 가격은 수입 수요가 줄어든 상황에서 재고 및 수출공급량이 증가하여 10% 하락했다. 북반구에서는 매년 이 시기에 우유 생산량이 증가하는데, 식품·외식업계의 수요도 함께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치즈 가격은 완만히 반등하였는데, 오세아니아의 생산량이 계절적 요인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지류는 ’20.3월(139.1포인트)보다 5.2% 하락한 131.8포인트 기록(3개월 연속 하락, `19년 8월 이후 최저치)하였다.

팜유 가격은 원유(crude oil)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고 코로나19로 인해 식품·에너지 분야 수요가 부진함에 따라 계속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말레이시아의 팜유 생산량이 예상보다 많았던 점 또한 가격 하락에 기여했다.

대두유 및 유채씨유 가격 또한 수요 부진으로 하락했으며, 미국 내 대두 분쇄량이 예상치를 상회한 것도 대두유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해바라기씨유 가격은 수출가용량이 제한적이라는 점을 우려하여 수입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반등했다.

 

설탕은 ’20.3월(169.6포인트)보다 14.6% 하락한 144.9포인트 기록하였다.

원유 등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인해 설탕공장이 바이오 에탄올(사탕수수 원료) 대신 설탕 생산을 늘림에 따라 설탕 수출공급량이 증가한 반면, 설탕 수요는 감소하여 가격이 하락하였다.

 

2019/20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720.1백만톤으로 2018/19년도 대비 2.5%(65.3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고, 2019/20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696.8백만톤으로 2018/19년도 대비 0.4%(10.0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2019/20년도 세계 곡물 기말 재고량은 883.7백만톤으로 2018/19년도 대비 1.6%(13.5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정부 양곡 2.5만톤 추가 방출... 15일까지 물량신청 서둘러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양곡(벼)을 추가로 2.5만 톤(정곡) 공급한다고 밝혔다. 지난 8월 25일부터 공급한 정부양곡 3만 톤의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9월 5일까지 2주 동안 공급 물량의 절반 이상을 판매 완료하였고, 잔여 물량 또한 2주 내외 공급 가능한 물량으로, 햅쌀(중만생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0월 중순까지 지역에 따라 1~2주일간의 원료곡이 부족한 상황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올해 조생종 수확 시기에 잦은 비로 인한 조생종 출하가 늦어져 구곡에 대한 산지유통업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농식품부는 이번에 추가로 2.5만 톤(정곡)을 공급하여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벼) 확보 애로를 충분히 해소하여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양곡 공급 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이하 대상업체)이다(지난 8월 3만 톤 정부양곡 대여 공급대상과 동일). 대상업체 중 정부양곡 공급을 희망하는 업체는 농협경제지주 공지에 따라 9월 15일까지 희망 물량을 제출하면 된다. 대상업체의 전년도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하여 대여 물량이 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