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세계식량가격지수 3개월 연속 하락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171.3포인트) 대비 3.4% 하락한 165.5포인트 기록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0년 4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71.3포인트) 대비 3.4% 하락한 165.5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생산·유통에 장애가 있었으나, 세계식량가격지수는 3개월 연속 하락하여 2019년 1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품목군별로 보면 곡물 가격은 안정적인 수준이며, 육류·유제품·유지류·설탕 가격은 하락하였다.

 

곡물은 ’20.3월(164.3포인트)보다 0.2% 하락한 164.0포인트 기록하였다.

주요 곡물 중 밀과 쌀 가격은 상승하였고 옥수수 가격은 하락하여 전반적인 곡물가격지수는 전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됐다.

밀 가격은 전월 대비 2.5% 상승하였는데, 이는 국제 수요가 존재함에도 러시아가 곡물 수출 할당량(쿼터) 소진에 따라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이외 국가에 대한 수출을 중단하였기 때문이다.

 

쌀 가격은 일부 국가의 임시 수출제한 및 물류장애로 인해 전월 대비 7.2% 상승했다. 다만, 베트남이 4월말 수출제한을 단계적으로 완화·철폐하여 추가적인 상승은 없었다.

한편, 옥수수 가격은 3개월 연속 하락하여 이에 따른 잡곡가격지수가 전월 대비 10% 하락했다. 사료 및 바이오 에탄올 수요가 감소하고 남미의 신규 수확 물량이 추가되어 공급이 증가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육류의 경우 ’20.3월(173.5포인트) 대비 2.7% 하락한 168.8포인트 기록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한 노동력 부족으로 육류 가공이 감소하였으나, 경제불황, 물류장애 및 봉쇄로 인한 외식분야 수요 감소로 재고 및 수출 공급량이 증가하였다.

중국의 수입 수요가 소폭 회복되었으나 다른 국가들의 수입 수요 하락을 상쇄하기에는 불충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유제품은 ’20.3월(203.5포인트)보다 3.6% 하락한 196.2포인트 기록(2개월 연속 하락, 전년 동월 대비 8.8% 낮음)하였다.

버터, 탈지분유 및 전지분유 가격은 수입 수요가 줄어든 상황에서 재고 및 수출공급량이 증가하여 10% 하락했다. 북반구에서는 매년 이 시기에 우유 생산량이 증가하는데, 식품·외식업계의 수요도 함께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치즈 가격은 완만히 반등하였는데, 오세아니아의 생산량이 계절적 요인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지류는 ’20.3월(139.1포인트)보다 5.2% 하락한 131.8포인트 기록(3개월 연속 하락, `19년 8월 이후 최저치)하였다.

팜유 가격은 원유(crude oil)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고 코로나19로 인해 식품·에너지 분야 수요가 부진함에 따라 계속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말레이시아의 팜유 생산량이 예상보다 많았던 점 또한 가격 하락에 기여했다.

대두유 및 유채씨유 가격 또한 수요 부진으로 하락했으며, 미국 내 대두 분쇄량이 예상치를 상회한 것도 대두유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해바라기씨유 가격은 수출가용량이 제한적이라는 점을 우려하여 수입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반등했다.

 

설탕은 ’20.3월(169.6포인트)보다 14.6% 하락한 144.9포인트 기록하였다.

원유 등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인해 설탕공장이 바이오 에탄올(사탕수수 원료) 대신 설탕 생산을 늘림에 따라 설탕 수출공급량이 증가한 반면, 설탕 수요는 감소하여 가격이 하락하였다.

 

2019/20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720.1백만톤으로 2018/19년도 대비 2.5%(65.3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고, 2019/20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696.8백만톤으로 2018/19년도 대비 0.4%(10.0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2019/20년도 세계 곡물 기말 재고량은 883.7백만톤으로 2018/19년도 대비 1.6%(13.5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송파구청·송파소방서, 가락시장 싱크홀 안전사고발생 대응 종합훈련 가져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문영표)는 지난 10월 31일 송파구청, 송파소방서 등 15개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2025년 송파구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및 긴급구조종합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전국적으로 실시되는 ‘안전한국훈련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도심지 싱크홀 발생 및 다중밀집시설 대형 화재 사고와 같은 대규모 복합재난 상황을 가정하여 가락시장(가락몰 일원)에서 민관 합동으로 500여명이 훈련에 참여했다. 땅꺼짐 발생으로 도시가스관이 파열되고, 누출된 가스로 화재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공사 자위소방대가 초기대응을 위해 옥외소화전을 이용하여 진화를 시도하고, 대피 안내 방송에 따라 건물 내 유통인들과 입주자들을 대피시켰다. 이어서 화재 신고로 송파소방서가 출동하고 건물 내로 진입하여 진압과 동시에 부상자를 구조하는 등 구조·구급 활동을 전개했다. 화재 상황이 전파되어 대응 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송파구청과 화재현장에는 재난안전대책본부, 통합지원본부, 긴급구조통제단이 설치되는 등 유관기관들과 협업하여 신속하게 화재 진압과 구조·구급을 위한 상황판단회의를 진행했다. 특히 이번 훈련에는 가락몰 1관에서 시작된 화재가 업무동으로 확산되는 과정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