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신선농산물' 온라인 시장확대 추세

농식품신유통연구원, 농식품 유통분야 최대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
"기후변화에 따른 농산물 생산여건의 변화"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소비부진 심화" 등도 중요이슈

농식품신유통연구원(이사장 원철희, 원장 김동환)은 지난 2007년부터 농식품 유통 분야의 주요한 이슈를 e신유통 독자들과 함께 선정하고 발표해 오고 있다.

 

농식품 유통이슈 주제 선정은 농식품분야 주요 언론사 담당 기자들로부터 2020년 한 해 동안 이슈가 될 만한 5개 부문(정책, 산지, 도매, 소매 및 소비지, 기타)에 해당하는 농식품 유통관련 주제를 선정받은 후 1만여명의 e신유통 웹진 독자들과 함께 선정, 발표한다.

 

e신유통 독자들은 2020년 농식품 유통 분야에서 온라인 시장과 함께 즉시배송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이라 전망했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농산물 생산여건의 변화와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소비부진 심화 등도 주요 이슈로 선택했다.

 

2020년 시작을 알림과 동시에 발생한‘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전혀 예상하지 못한 타격을 안겨주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학교개학이 연기되면서 단체급식 등에 사용되는 친환경농산물과 채소류를 중심으로 판로가 막혔고, 졸업식 등이 취소되면서 화훼 농가들은 직격탄을 맞았다.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으로 농식품 수출 교역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반면, 외출하지 않고 집에서 주문하는 ‘홈코노미’가 활발해지면서 2월 셋째주 기준 온라인 쇼핑 매출은 전년대비 14% 증가한 반면, 음식점과 백화점 매출은 각각 14.2%, 20.6% 급감하는 등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시장과 즉시배송시스템의 확산이 보다 더 촉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날씨 등 기후변화에 따른 수급 안정에 집중되었던 정책에서, 이제는 바이러스 등 감염병 예방 차원에서의 수급 안정 정책 수립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던져주었다.

 

e신유통 독자들이 염려한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소비부진 심화의 이슈는, 코로나19로 산업 전반에 걸쳐 상당기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e신유통 독자 모두의 안전과, 코로나19의 빠른 종식으로 하루빨리 평범한 일상으로 돌아가길 기대해본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