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벌레 먹은 친환경농산물, “인체에 더 이롭다” 재확인

美 텍사스 주립대 농업생명연구소와 우루과이 농목축산연구소 공동연구 진행
주형로 친환경농산물자조금위원장 “이 연구는 친환경농법에 이로운 성분 많이 함유됐다는 사례”
친환경농산물 내 인체에 유익한 ‘식물성 화학물질’ 다량 함유

친환경농산물에서 벌레가 갉아먹은 흔적을 발견하는 것은 크게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농산물은 외관상 좋지 않을뿐더러, 때로는 유통업자와 소비자에게 상품성이 떨어지는 제품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그러나 2019년 美 텍사스 주립대 농업생명연구소(Texas A&M University Agrilife Research ․ 이하 TAMU)와 우루과이 농목축산 연구소(이하 INIA)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 <건강한 유기농 과일에 대한 논쟁 해결(Solving the controversy of healthier organic fruit)>에 따르면, 유기농산물에는 다양한 항산화 물질과 더불어 인체의 면역체계 구성에 도움을 주는‘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성분이 다량 함유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연 상태에서 식물에 발생하는‘스트레스’, 파이토케미컬의 생성 촉진

 

파이토케미컬은 식물성을 의미하는 파이토(phyto)와 화학을 뜻하는 케미컬(chemical)의 합성어다. 식물이 외부 환경에 반응하기 위한 방어 메커니즘의 일환으로 배출하는 물질이며,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식물의 특성 상 자외선, 온도, 날씨의 변화 등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고 곤충․동물을 비롯한 여러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생성하는 유기화합물을 일컫는다.

보통 친환경 농업으로 재배한 농작물은 살충제와 화학비료 및 제초제 등의 농자재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시시각각 변하는 생태계에서 생존하기 위한 수단으로, 관행 농작물에 비해 더 많은 식물성 화학물질(파이토케미컬)을 생성해낸다. 지난해 2월 발간된 美 하버드 의과대학 저널(Harvard Health Letter - Fill up on phytochemicals)에 따르면, 파이토케미컬을 섭취할 경우 체내에서 세포 활성화를 촉진하며 항산화 및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등 사람의 건강에 다양한 이점을 가져다준다.

 

◆ 친환경농산물에 다량 함유된 파이토케미컬, 신체 면역력 향상 효과 탁월

 

TAMU, INIA 공동 연구팀은 유기농산물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딸기를 실험 모델로 채택했다. 연구팀은 딸기를 각각 A, B, C 총 3가지로 분류해 연구 표본을 설정했다. 먼저 딸기 A와 B에 각각 100곳과 50곳의 천공을 내어 벌레가 갉아먹은 것과 동일한 조건을 부여했다. 그 다음 C에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은 채 약 2주에 걸쳐 모델별 작물의 화학 성분을 측정했다.

 

연구 결과, A모델(친환경농업 조건을 충족한 작물)은 C모델(관행 농산물)에 비해 ▲PAL(페닐알라닌 암모니아 리아제 – 항산화, 항암 물질인 ‘페닐프로파노이드 계열’을 생성시키는 주효소) 수치와 ▲CHS(칼콘 합성효소 - 파이토케미컬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효소) 수치가 각각 1.85배, 1.7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모델은 C모델 대비 페닐프로파노이드 계열의 항산화․항암 성분인 ▲엘라그산(ellagic acid)과 ▲에피카테킨(epicatechin)이 각각 58%, 100% 상승했으며, 이밖에도 인체에 이로운 ▲갈산(gallic acid) 68% ▲퀘르세틴(quercetin) 190% ▲루틴(rutin)은 137% 증가했다.

TAMU․INIA 공동 연구팀의 연구결과는 친환경 농업 조건을 충족한 환경에서, 벌레가 잎을 갉아먹을 때 유발하는 일종의 ‘스트레스’가 작물 스스로 파이토케미컬의 생성을 촉진시키며, 결과적으로 유기농산물에 파이토케미컬의 함유량이 많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번 프로젝트를 담당한 시스네로스 제발로스(Cisneros-Zevallos) 박사는 “모든 식물은 외부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방어 메커니즘의 일환으로 2차 대사를 활성화시켜 파이토케미컬을 생성하여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라며 “살충제나 제초제 등에 의존하지 않은 친환경농산물은 항산화 물질과 같은 인체에 유익한 여러 가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언급했다.

 

주형로 친환경농산물자조금위원장은 “이번 연구는 친환경농법으로 자란 농산물에 이로운 성분이 더 많이 함유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모양새는 달라도 자연의 시간으로 키운 친환경농산물이 더욱 건강한 농산물이라는 것을 많은 소비자들이 공감해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민단체 "민생쿠폰 사용처 '하나로마트' 포함 긴급 요청"
중요 농민단체인 한국농축산연합회(회장 이승호)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에 ‘하나로마트’를 포함하여, 농촌지역 체감효과 높여야 한다!는 긴급성명을 서둘러 발표했다. 성명서 전문이다. 정부는 제2차 추경편성을 통해 총 13조원 수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하 민생쿠폰) 지급을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과 같이 지역화폐 사용처를 준용하여 하나로마트가 제외될 경우, 농촌 주민들의 불편을 야기하여 농촌지역 체감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큰 상황이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민생쿠폰 사용처도 지역사랑상품권과 동일하게 적용하여, 농협 하나로마트에서의 민생쿠폰 사용이 제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연매출 30억원 초과업체의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등록을 제한하고 있다. 다만, 행정안전부는 최근 ‘지역사랑상품권 운영지침’ 개정을 통해 마트‧슈퍼‧편의점 유형의 가맹점이 없는 면(面)단위 지역의 하나로마트에 한해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이 가능하도록 완화했다. 그러나 여전히 대다수 농촌지역 하나로마트에서 사용이 제한되어 지침 개정의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이다. 고령화 및 인구감소로 상권이 위축되어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처가 많지 않은 농촌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민생쿠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