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도축장들 부산물 위생수준 서둘러 높여야"

한우협회 김홍길 회장 "부산물가공센터 서둘러 만들도록 할것"
축산업계 퇴비부숙도 3월 시행 앞두고 축산농가들 걱정 늘어나
김홍길 한우협회장 "퇴비부숙도 문제 축산업계가 넘어야 산이다"

전국한우협회가 1월 15일 제2축산회관에서 농축산전문지 출입기자들과 기자간담회를 갖고 축산업계 현안문제 제기와 올해 진행할 협회사업들에 대해 설명을 했다.

 

올해로 회장 5년차 임기중인 김홍길 회장은 "퇴비부숙도 문제 등 각종 현안들이 많다. 이 문제는 쉽지않은 일이지만 우리 농가들이 충분히 슬기롭게 잘 대처해 나갈 것으로 본다. 크게 걱정할 것은 없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이어  "한우 사육두수도 많이 늘고 있는데, 미경산우 교육을 통해 적정량이 사육될 수 있도록 하겠다. 우리 한우농가들은 단순하게 생산자 수익만 생각하고 사육하지는 않는다."고도 말했다.

 

특히, 김 회장은 "도축장들 위생수준을 자발적으로 서둘러 끌어 올려줘야 한다. 한우 부산물들에 대한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부산물에 대한 유통망의 바른 정비와 위생수준을 높이는 게 몹시 중요하다.

이를 위해 올해안에 도축장마다 부산물가공센터가 만들어져 농가수익과 소비자들 편의로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해볼 생각이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김 회장은 "OEM사료 이용확산으로 생산비 절감하는데, 크게 기여를 하겠다. 후계자들의  튼실한 육성으로 축산업계 전후방 산업으로서 크게 기여를 하도록 이 부분도 노력하겠다. 직거래장터를 통해 직판행사 효과도 크게 올렸다. 앞으로 한우협회장 잔여임기가 1년정도 남았는데, 한우생산 안정에 최선을 다해나갈 참이다. 비육우 경영안정에도 좀더 큰 관심을 가져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간담회 자리에 직접 참석한 김학수 전국한우협회 감사도 "축산업계 현안사항이 많지만, 퇴비부숙도 문제가 가장 큰 현안 같다. 또한 우리 농가들 생산기술이 날로 좋아지면서 한우 사육두수도 계속 늘어나, 앞으로 320두 이상 생산될 것으로 판단돼 수급안정에 각별히 관심을 가져야 할 것같다."고 말했다.

 

이어 자리에 함께한 김영자 감사도 "후계농과 청년농업인들이 영농에 열정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더 깊은 관심을 가져달라" 고 말해 올해 한우협회 사업다각화에 관심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국한우협회 총회는 다음달 26일 조치원 홍익대캠퍼스에서 예정돼 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정부 양곡 2.5만톤 추가 방출... 15일까지 물량신청 서둘러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양곡(벼)을 추가로 2.5만 톤(정곡) 공급한다고 밝혔다. 지난 8월 25일부터 공급한 정부양곡 3만 톤의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9월 5일까지 2주 동안 공급 물량의 절반 이상을 판매 완료하였고, 잔여 물량 또한 2주 내외 공급 가능한 물량으로, 햅쌀(중만생종)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0월 중순까지 지역에 따라 1~2주일간의 원료곡이 부족한 상황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올해 조생종 수확 시기에 잦은 비로 인한 조생종 출하가 늦어져 구곡에 대한 산지유통업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농식품부는 이번에 추가로 2.5만 톤(정곡)을 공급하여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벼) 확보 애로를 충분히 해소하여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양곡 공급 대상은 ’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이하 대상업체)이다(지난 8월 3만 톤 정부양곡 대여 공급대상과 동일). 대상업체 중 정부양곡 공급을 희망하는 업체는 농협경제지주 공지에 따라 9월 15일까지 희망 물량을 제출하면 된다. 대상업체의 전년도 쌀 판매량 비중을 감안하여 대여 물량이 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