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2020년 미주유럽 시장에 한류 수출농식품 띄운다

농식품부·aT, 미주·유럽시장 수출확대 전략회의 개최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이병호)는 지난 12월 9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국내 농식품 수출업체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미주·유럽시장 수출확대 전략회의’를 개최했다.

 

한국 농수식품 수출 3위인 미주시장과 식문화 강대국 EU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 마련된 이번 전략회의에서는 전문가의 시장진출 노하우를 공유하고 현지 주류시장 진출 확대방안을 논의했다.

미주시장 진출전략 세션에서는 aT 김광진 미주지역본부장의 ‘미국 식품시장 트렌드와 향후 진출방안’를 비롯해, ACI Law Group 김진정 변호사의 최근 식품안전현대화법(FSMA) 시행으로 인해 변화하고 있는 미국 식품 통관 절차를 사례위주로 살펴보며 미국시장 진출 노하우를 전했다.

 

특히 aT는 2020년 미국시장 수출확대를 위한 ‘품목, 마케팅, 홍보, 인프라’ 총 4가지 분야의 진출 전략으로 ▲농가소득 직결품목 육성 ▲1억불 규모 수출품목 육성 ▲주류시장 개척 벤더 발굴 ▲온라인 채널 확대 ▲내륙지역 제2선 시장개척 ▲한류 활용 K-Food 홍보 ▲밀레니얼세대 겨냥 SNS 강화 ▲인종별․세대별 스포츠 마케팅 ▲FSMA 컨설팅 및 통관 지원 ▲시장 이슈정보 ▲물류지원 인프라 확보 등을 제시했다.

 

이어지는 유럽시장 진출전략 세션에서는 aT 김민호 파리지사장의 ‘유럽연합(EU) 수출현황 및 수출확대 전략’ 발표와 더불어 프랑스 시장에서 현지 맞춤 브랜드 개발로 주류시장 개척에 성공한 메종 드 꼬레(Maison de Corée)의 김직 이사가 유럽시장 진출 노하우를 수출업체들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aT 파리지사는 유럽시장 진출 전략으로 ▲4개 권역별 마케팅 차별화 ▲발효식품, 비건 등 전략품목 발굴 ▲국제스포츠, 문화행사 등 국제행사 활용 K-FOOD 홍보 ▲호레카(HoReCa)산업 집중공략을 통한 신수요처 발굴 등에 대해 발표했다.

 

 aT 이병호 사장은 “미주·유럽시장은 현지 주류시장 진출이 활발할 경우 한국 농식품의 수출 증가세가 높을 시장”이라며 “이번 전략회의에서 제시된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실현될 수 있도록 내년에도 적극적인 노력을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