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aT, 대한잠사회와 협약갖고 수출에 박차

“누에가루 등 양잠산물, 기능성 농식품으로 육성 및 수출 확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이병호)와 (사)대한잠사회(회장 임석종)는 11월 21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기능성 양잠산물의 해외수출시장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잠은 누에고치에서 켠 실인 ‘잠사’ 생산을 위한 누에사육으로 과거 70~80년대에는 연간 잠사류 수출액이 2억4천만 달러, 국가 농수산물 수출액의 46%를 차지할 정도로 수출효자 품목이었으나, 화학섬유 수요가 늘면서 침체를 겪기도 했다.

 

aT와 대한잠사회는 양잠산업을 섬유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누에가루, 동충하초, 뽕잎, 오디 등 양잠산물을 식품으로 이용했을 때의 기능성에 주목하여 ‘식용 기능성 양잠산업’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국내외 연구기관을 통한 양잠산물의 기능성 검증 ▲바이어 상담 및 홍보 이벤트 등 해외시장 개척 ▲기능성 양잠산물의 브랜드화 및 유통 ▲미래클사업을 통한 일본 기능성표시식품 등록 등에 상호 협력해나갈 계획이다.

 

이병호 aT 사장은 “최근 고단백, 혈당조절 등 양잠산물의 건강기능성이 알려지며 차, 음료 등 가공품 생산도 활발해지고 있다”면서 “양잠산물을 고부가가치 기능성 농식품으로 개발하고 유통시키기 위해 대한잠사회와 새롭고 다양한 전략을 모색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임석종 대한잠사회장도 “aT와의 MOU를 통해 기능성 양잠산물의 수출 및 내수시장을 확대하고 양잠농가의 소득을 높이는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민단체 "민생쿠폰 사용처 '하나로마트' 포함 긴급 요청"
중요 농민단체인 한국농축산연합회(회장 이승호)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에 ‘하나로마트’를 포함하여, 농촌지역 체감효과 높여야 한다!는 긴급성명을 서둘러 발표했다. 성명서 전문이다. 정부는 제2차 추경편성을 통해 총 13조원 수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하 민생쿠폰) 지급을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과 같이 지역화폐 사용처를 준용하여 하나로마트가 제외될 경우, 농촌 주민들의 불편을 야기하여 농촌지역 체감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큰 상황이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민생쿠폰 사용처도 지역사랑상품권과 동일하게 적용하여, 농협 하나로마트에서의 민생쿠폰 사용이 제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연매출 30억원 초과업체의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등록을 제한하고 있다. 다만, 행정안전부는 최근 ‘지역사랑상품권 운영지침’ 개정을 통해 마트‧슈퍼‧편의점 유형의 가맹점이 없는 면(面)단위 지역의 하나로마트에 한해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이 가능하도록 완화했다. 그러나 여전히 대다수 농촌지역 하나로마트에서 사용이 제한되어 지침 개정의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이다. 고령화 및 인구감소로 상권이 위축되어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처가 많지 않은 농촌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민생쿠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