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호접란농가’ 美유통시장 진출 ‘청신호’

미국 뉴저지 등 3개州에서 35일간 호접란 우수성 홍보판촉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이병호)는 9월 9일부터 10월 13일까지 35일간 미국 플로리다, 버지니아, 뉴저지 3개 주, 롯데 플라자마켓(Lotte Plaza Market)에서 한국산 호접란 판촉행사를 개최했다.

 

농식품부와 aT는 올해 3월 미국시장에 최초로 수출된 한국산 호접란의 우수성을 알리고, 현지시장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 이번 판촉홍보는 올해 미국으로 수출된 어린 묘를 미국 플로리다 농가에서 4~5개월 동안 재배하여 꽃을 피운 상품을 대상으로 했다.

 

한국산 호접란은 뿌리에 이물질이 없어야만 미국으로 수출이 가능하여 품질경쟁력 측면에서 불리한 실정이었다. 그러나 2017년 12월, 검역협상 타결로 분화형태로도 수출이 가능하게 되어 한국산 분화 호접란은 지금까지 3차례에 걸쳐 미국 플로리다와 캘리포니아에 약 6만 5천분이 수출되었다.

 

특히, 이번 판촉행사에서는 한국산 호접란의 재배법을 소개하는 안내 리플렛과 태그 부착으로 소비자들에게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한국산 호접란 홍보용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SNS 및 현지 지역 언론을 통해 한국산 호접란의 우수성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홍보에 나섰다.

 

미국에서는 기념일과 축하행사에서 호접란 소비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미국내 호접란 시장은 대만산이 수입시장의 82%를 차지하는 등 경쟁이 치열한 편이나, 한국산은 대만산에 비해 품질이 우수하다는 평으로 향후 수출확대가 기대된다.  

 

신현곤 aT 식품수출이사는 “이번 판촉행사를 시작으로 미국시장에서 한국산 호접란의 우수성을 알리고 신규수출시장으로 정착시켜 나갈 계획”이라며 “해외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화훼농가들의 시름을 덜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오현승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