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포커스

김현권 의원 “ASF대응, AI방역수준에 크게 못미쳐”

AI초기방역 위한 야생철새 분변 채취·검사와 너무 큰 차이
ASF가 피해 더 큰데도, AI보다 투입 인력,규모 크게 부족

“같은 나라에서 벌어지는 일이라고 보기 힘들 정도다. 달라도 너무나 다르다.” 다름아닌 정부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과 조류독감(AI) 방역의 차이를 두고 나오는 얘기다. ASF방역을 AI수준으로 끌어올려 야생멧돼지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작업이 절실하다는 볼멘 소리가 여기 저기서 터져 나오고 있다.

 

지난달 17일 북한에서 야생멧돼지가 손쉽게 강을 건너 군부대 철책선까지 넘나든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는가 하면, 이달 3일에는 처음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감염지역 야생멧돼지 사체에서 ASF항원 양성반응이 나타나면서 야생멧돼지에 대한 조사 강화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런 와중에 AI보다 더 큰 경제적 피해가 우려되는 ASF의 초기방역 과정에서 AI감염원인 야생철새에 비해 ASF감염원으로 드러나고 있는 야생 멧돼지에 대한 감시와 관리가 너무나 느슨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구미을지역위원장)이 최근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2019년~2020년 AI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야생철새 분변 조사 계획 자료에 따르면 야생철새 분변 채취를 위해 농식품부 33개소, 환경부 28개소, 공동(중복) 35개소 등 전국 AI분변검사 철새도래지 96개소에 걸쳐 농식품부(방역본부) 54명을 비롯한 환경부(환경과학원, 지방청), 지자체 등 150명 내외의 인력이 동원된다.

이렇게 정부는 2019년 10월부터 2020년 3월까지 환경부 9,000건, 농식품부 7,000건, 지자체 7,000건 등 2만3,000건에 달하는 야생철새 분변을 채취해서 고병원성 AI바이러스 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정부의 이런 계획은 ASF초기 방역을 위한 야생멧돼지 조사 실태와는 너무나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정부가 올 10월부터 5개월간 매달 4,600여건의 철새 분변 시료에 대한 AI바이러스 검사를 진행하는데 비해, 올들어 야생멧돼지 ASF검사를 사용한 시료 건수는 한달 평균 240건에도 미치지 못 한다. 정부가 방역을 위한 바이러스 검사를 위해 사용하는 시료건수가 20배가량 차이나는 셈이다.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은 폐사체, 수렵, 포획틀을 통해서 올들어 10월 2일까지 야생멧돼지 806마리에 대한 ASF항원 검사를 실시했다.

 

반면 야생동물 질병관리 업무의 소관부처가 아니어서 멧돼지를 포획하거나 폐사체를 직접 조사하지 못하는 농식품부 산하 농림축산검역본부는 9월말까지 수렵인들에게 수고료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야생멧돼지로부터 채취한 혈액을 넘겨받아 ASF검사를 진행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올 9월말 현재 항원 715건, 항체 1,310건에 대한 ASF 검사를 마쳤다. 동일 야생멧돼지 혈액 시료의 항원·항체 중복 검사를 고려할 때에, 올들어 환경부와 농식품부가 야생멧돼지 ASF검사를 위해 이용한 시료는 2,100여건에 달한다.

 

농식품부와 환경부가 올들어 한달 평균 240건에도 못 미치는 시료를 검사한 셈이다. 야생멧돼지 분변이나 병을 매개할 수 있는 야생동물에 대한 조사를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으나, 아직 거기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야생철새와 야생멧돼지 조사에 동원되는 인력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현재 수렵단체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15명 안팎의 조사단이 구성돼 예찰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AI철새 분변 채취를 위한 인력의 10%수준에 불과한 것이다.

 

지난달 27일 더불어민주당 주최로 열린 당정협의에 참석한 한돈협회 하태식 회장과 서정향 건국대 교수는 한 목소리로 “북한 접경지대를 중심으로 민군이 역할을 분담해서 군사지역과 민간지역을 대규모로 샅샅이 뒤져서 야생멧돼지를 조사하고 ASF바이러스를 완전히 차단해야 할 때”라고 입을 모았다. 수의·방역·검역기관으로 인력과 장비,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들과 수의사들이 부처 칸막이를 넘어 야생 멧돼지를 직접 다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얘기다.

김현권 의원은 이에 대해 “환경부와 농림부, 그리고 지자체가 AI방역에 서로 협력해서 매우 효과적으로 대응해서 겨울철이면 기승을 부리던 AI를 잠재울 수 있었다”고 운을 뗀 뒤에, “이제 우리가 AI에 어떻게 대응해서 성과를 냈는가를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AI는 해마다 발생해서 수천만 마리씩 닭과 오리를 매몰해 왔다. 지난 2016년~2017년엔 한해에 3,600만 마리까지 살처분 했다. 그런데 지금 몇해 동안 성공적으로 방어하고 있다”며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는지 설명을 덧붙였다.

 

그는 우선 “가장 먼저한 일이 야생에서 분변을 채취하는 일이었다. 분변에서 바이러스 검출이 첫 번째 일이었다. 다음은 숙주의 확인이었다. 야생철새, 사육오리, 산란계, 육계 등으로 확산경로가 진행됨을 파악하고 사육오리가 야생과 농장의 매개고리임을 추론해 냈다”며 “그래서 두가지를 했다. 분변채취를 보다 철저히 해 위험도 증가에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하고 숙주 노릇을 하는 사육오리를 집중관리하는 일이었다. 그래서 2017년 정부가 손실을 보상해주고 겨울철 야생철새들이 드나드는 서해안 주변지역에선 오리를 기르지 않는 오리사육제한제도를 실시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무엇보다 ASF방역과정에선 분변 채취와 같은 기초작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렇게 해선 바이러스 검출을 할 수 없다. 먼저 이 작업을 해야 한다. 야생 멧돼지 사체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 포획틀로는 바이러스 검출이 어려울 수 있다. 병든 멧돼지가 포획틀로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며 “수십만마리의 야생멧돼지를 사냥하고, ASF바이러스의 90%이상을 야생에서 검출하고 있는 유럽 사례를 연구해야 한다. 강물·강변 모래· 진흙, 그리고 진드기·쇠파리·모기와 같은 곤충, 조류·고양이·들쥐 등의 들짐승, 그리고 멧돼지 분뇨까지 조사해야 한다. 이렇게 해서 빠른 시일 내에 야생에서 더 많은 바이러스를 검출해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식품모태펀드 '민간투자' 유치 위한 소통...기대감 키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 월드푸드테크협의회(회장 이기원)와 함께 11월 22일(금) 서울 코엑스에서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 운용사(GP)-출자자(LP) 교류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농림수산식품모태펀드(이하 농식품모태펀드) 출범 이후 처음으로 개최되는 출자자와 운용사 간의 만남의 장으로, 농식품 분야의 투자 활성화와 상호 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마련되었다. 행사에는 씨제이(CJ)제일제당, 대동 등 주요 출자자(LP)와 농식품 분야 벤처캐피탈 운용사(GP), 그리고 지자체(강원, 충북, 충남, 전북, 경북) 등 약 110여명이 참석하여 농식품모태펀드의 성과와 투자 정보를 공유하고, 교류하는 기회를 가졌다. 이를 통해 출자자와 운용사 간 이해의 폭을 넓히고, 농식품 기업에 대한 새로운 투자 기회를 발굴하는 등 협력 관계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농식품 분야의 혁신기업들에 대한 투자 활성화를 통해 국내 농식품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식품부 김종구 농업혁신정책실장<사진>은 “이번 교류회가 농식품 분야의 민간투자 확대와 혁신적인 아이디어들을 발굴할 수 있는 발판이 되기를 바란다.”라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