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가축질병 '살처분비용' 눈덩이로 불어

김병욱의원, 2010년 이후 가축전염병 살처분 비용 3조 7,461억원 소요

국회 정무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병욱 의원(성남시 분당을)이 국무조정실로부터 제출받은 ‘가축질병 발생 및 방역현황’에 따르면 2010년 구제역 발생 이후 2018년까지 8차례의 구제역과 7차례의 AI 발생으로 가축전염병 살처분 비용이 총 3조 7,461억원이 소요되었다.

 

2010년 3번에 걸처 11개 시도 75개 시군에 발생한 구제역으로 6,691농가가 살처분을 실시했고 소 164,627두, 돼지 3,359,525두, 기타 11,640두로 총 3,335,729두가 살처분되어 2조8,695억원이 소요되었으며 이후 2014년 발생한 구제역은 돼지 2,009두가 살처분되어 17억원이 소요되는 등 2010년부터 2018년까지 8차례에 걸친 구제역은 살처분 비용 총 2조9,566억원이 투입되었다.

 

AI는 2014년에서 2015년에 걸처 3차례 391건, 2016년에서 2017년에 사이에 3차레 421건, 2017년에서 2018년 사이에 1차례 22건이 발생하여 총 7차례 834건이 발생하여 69,387두가 살처분되었으며 비용은 총 7,895억원이 소요되었다.

 

김병욱의원은 “최근 규모가 줄어들긴 했지만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 등 해마다 반복되는 가축질병뿐만 아니라 새롭게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발생하는 등 가축질병으로 인한 축산 농가의 피해와 엄청난 규모의 살처분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며 “철저한 방역체계를 마련하여 축산 농가 피해와 막대한 국가 예산 낭비를 줄어야 한다.”고 밝혔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