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퓨리나사료 ‘청우농장’ 우수농장의 날!

‘청우농장’ 3년간 등급‧등심단면적‧놀라운 성장 돋보여

퓨리나사료(대표 박용순)는 안성더AW컨벤션 웨딩홀에서 ‘퓨리나 청우농장한우 우수농장의 날” 행사를 가졌다. 지난 3년간 등급, 등심단면적, 놀라운 성장을 축하했다.

청우농장(대표 안치오)은 1998년 비육우 2동으로 한우 사업을 시작하여, 2014년부터 번식사업으로 확장해 현재 일괄 1,100두 규모 한우 농장이다. 2017년부터 퓨리나사료와 함께 하면서 3년간 놀라운 성적을 보였다.

 

최근 3년간 한우 거세우 성적을 살펴보면 2018년 성적은 1++ 61.1%, 1+이상 90%, 등심 단면적이 95.8cm2 이상 커졌다. 2017년과 비교해보면 1++ 등급이 42% 증가하고, 도체중 25kg, 등심단면적 7.4cm² 증가하는 놀라운 변화를 얻었다. 특히 안성시가 1++ 등급이 평균 22% 나온대 비해 청우농장은 61%를 거두어 지역 내에서도 우수한 성적이 확 두드러졌다. 이런 결과로 2018년 퓨리나 한우사랑 그랜드어워드 중에서 퓨리나 한우사랑 900클럽을 수상하였다. 2019년에도 계속적으로 좋은 성적을 내면서 올해는 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청우농장 소개에 나선 이창수 퓨리나축우판매부장은 청우농장의 비결로 꼼꼼한 육성우 사양관리, 꾸준한 사료 섭취량 유지, 꼼꼼한 체중 측정을 꼽았다. 특히 청우농장은 육성기 퓨리나 한우사랑본과 알티블루를 절단 급여하여 반추위를 발달시키며 송아지 초기 성장 극대화에 초점을 맞춘다.

정확한 급여 프로그램을 지키면서 TMR 밀어주기와 물통청소도 지속적으로 해주었다. 퓨리나 한우사랑 맥스 프로그램을 정확하게 준수하면서 거세우 구간별로 체중 측정을 하면서 섭취량 관리를 하고 있다.

이 부장은 청우농장 안치오 사장은 농장 견학과 교육에도 투자하시면서 배우면 꼭 실천하시고, 출하한 소들을 직접 가서 확인하는 열정이 오늘은 좋은 성적을 만들고 앞으로 기대되는 이유라고 밝혔다.

안치오 대표는 “함께한 분들께 감사드리고 끊임없는 암소개량과 우군 정예화를 해서 대한민국 최고의 암소집단을 만들어 안성 지역 발전에 공헌하는 농장으로 거듭나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퓨리나사료는 청우농장이 2020년 도체중 500kg, 등심단면적 110cm²에 도전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가축 폭염피해’ 최소화에 정부역량 총동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최근 폭염으로 인한 가축 피해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향후에도 폭염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과거와 다른 정부·지자체·유관기관 간 체계적 대응이 중요하다고 판단, 식량정책실장 주재로 축산분야 폭염 대비 추진 상황 긴급 점검 회의를 개최하고 ‘축산분야 폭염 피해 대책’을 발표하였다. 현재 가축폐사는 7월 10일 기준 약 53만 마리로, 돼지 사육마릿수 중 0.17%, 산란계 0.02% 등 수준이다. 회의 참석자들은 현 상황에서 국민들이 축산물 가격상승을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의견이었으나, 유례없는 폭염으로 가축 폐사가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인 만큼 농식품부는 정부, 지자체, 농협, 생산자단체 등 주체별로 다음과 같이 대응하기로 하였다. 우선, 농식품부는 기존 축산재해대응반을 격상하여 농식품부·축평원·농협·지자체 등으로 ‘폭염 대응 가축 피해 최소화 TF’를 구성·운영(7~8월)한다. 이를 통해 피해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유관기관에 협조 요청사항을 전파하는 한편, 실제 현장 수요를 매일 점검한다. 구체적으로, 농가 피해·애로사항 지자체별 접수 담당자를 지정하는 한편, 지자체 가용 차량(약 300대), 지역 농축협 가용 차량(공동방제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가축 폭염피해’ 최소화에 정부역량 총동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최근 폭염으로 인한 가축 피해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향후에도 폭염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과거와 다른 정부·지자체·유관기관 간 체계적 대응이 중요하다고 판단, 식량정책실장 주재로 축산분야 폭염 대비 추진 상황 긴급 점검 회의를 개최하고 ‘축산분야 폭염 피해 대책’을 발표하였다. 현재 가축폐사는 7월 10일 기준 약 53만 마리로, 돼지 사육마릿수 중 0.17%, 산란계 0.02% 등 수준이다. 회의 참석자들은 현 상황에서 국민들이 축산물 가격상승을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의견이었으나, 유례없는 폭염으로 가축 폐사가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인 만큼 농식품부는 정부, 지자체, 농협, 생산자단체 등 주체별로 다음과 같이 대응하기로 하였다. 우선, 농식품부는 기존 축산재해대응반을 격상하여 농식품부·축평원·농협·지자체 등으로 ‘폭염 대응 가축 피해 최소화 TF’를 구성·운영(7~8월)한다. 이를 통해 피해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유관기관에 협조 요청사항을 전파하는 한편, 실제 현장 수요를 매일 점검한다. 구체적으로, 농가 피해·애로사항 지자체별 접수 담당자를 지정하는 한편, 지자체 가용 차량(약 300대), 지역 농축협 가용 차량(공동방제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