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

농민 기만한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조성’ 지지부진

농축산연합회, FTA상생기금 대기업들 외면에 긴급 성명서 내놔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조성이 극히 저조하다. 9월 19일 현재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은 377억5873만원 조성에 그쳤다. 이마저도 공기업이 98.7%(372억7763만원)를 출연하였으며, 정작 FTA로 수혜를 보는 대기업은 1.1%(4억1090만원)를 출연한 것으로 나타나 농민들을 분노케 하고 있다.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조성은 정부가 한·중 FTA 비준안 국회 통과를 조건으로 제안한 농어촌 지원대책이다. FTA로 이익을 보는 기업들에 매년 1,000억원씩 지원 받아 10년 동안 1조원을 조성해 농어촌을 지원한다는 명목이다. 기금이 출범(2017.1월) 한지 현재 1년 9개월이 지났지만, 2년치 목표액(2천억원)의 20%도 안 되는 조성액 자체는 농민들을 기만하는 처사다.

 

FTA체결 이후 농민들은 FTA로 가장 큰 이익을 보는 ‘대기업’이 가장 큰 손해를 보는 농업과 이익의 일부를 공유하자는‘무역이득공유제’를 지속적으로 강력히 요구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한중 FTA 국회 비준 시 여·야·정 합의의 산물이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이다. 현재의 초라한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의 조성실적은 대기업뿐만 아니라 정부와 정치권의 농업 경시 풍조를 드러낸 것이다.

2011년 한·미 FTA 이후 10여 개 국가와 연달아 체결한 FTA 협정으로 농민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도시근로자의 65%에 불과한 농가소득,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42.5%나 되는 초고령화로 인해 농업·농촌은 소멸의 길로 접어들고 있다. 이 판국에 정부는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조성은커녕 내년도 농업 예산도 삭감한다고 하니 기가 찰 노릇 아닌가.

 

한국농축산연합회는 국회에 강력히 촉구한다. 여·야 정치권은 오는 10월 국정감사에서 농어촌상생협력기금에 대한 정확한 현황 파악과 기금조성 지원 등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FTA로 수혜를 보는 대기업도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현재와 같은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이라면 즉각 폐지하고 무역이득공유제를 도입할 것을 성명서에 내 놓고 있다. 한국농축산연합회는 농민 기만을 더 이상 좌시하지 않을 것을 천명하고 있다.한국농축산연합회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농대-농업인단체, 청년농 육성과 농업환경·사회·투명경영 확산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총장 정현출)는 4월 24일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회장 최흥식), 한국 4-에이치(H)본부(회장 전병설),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회장 노만호)와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을 위한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추진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참여 기관들은 ▲청년농업인 육성 및 정착 지원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사업 지원 ▲미래 농업을 위한 농업·농촌 연구협력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프로그램 개발 및 협력 ▲농업·농촌 가치 확산 및 상호 발전을 위한 협력 등 다양한 방면에서 힘을 모으기로 했다. 또한, 한농대 발전기금재단을 활용해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관련 교육, 세미나, 캠페인, 홍보 등 활동을 전개하며, 농촌지역사회에서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을 선도하는 농업인을 포상하는 등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확산 및 실천에 앞장설 계획이다. 한농대 정현출 총장은 “이번 업무협약이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확산 및 실천에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앞으로 참여 기관과 적극 협력해 청년농 육성·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