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농정원 ‘대한민국 도시농업박람회’ 성료

농정원, 도시농부 될 수 있다 ‘대한민국 도시농업박람회’ 관람객 5만 여명 관심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가 주최하고,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이종순)이 주관한 ‘제11회 대한민국 도시농업박람회‘가 5만여 명의 관람객을 동원하며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10월 27일부터 30일까지 나흘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도시민과 농업, 서로 행복한 관계의 시작(도.서.관)’을 슬로건으로 하여 시민들이 정보를 찾기 위해 방문하는 도서관 컨셉의 다양한 전시·체험관을 운영했다.

 

도시농업 국가전문자격증인 ‘도시농업관리사 자격증’과 중학교 연계 학교 텃밭 활동 프로그램 우수사례 등을 소개하고 생활 속 도시농업 적용 사례를 그린힐링하우스와 오피스 전시관을 통해 보여주었으며, 원형 식물재배기인 도넛팜과, IoT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수경재배시스템, 실내 버섯재배기를 통해 도시농업의 미래를 제안했다.

 

이외에도 씨앗을 빌려주는 씨앗도서관과 반려식물에 대한 고민을 상담해주는 반려식물 병원 등 다채로운 기획 전시를 통해 박람회를 찾은 관람객들의 만족도를 높였다. 또한 ‘다 함께 준비하는 도시농업의 미래’를 주제로 도시농업의 비전과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민관합동 도시농업 워크숍’도 10월 27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었다.

 

 

정부, 지자체, 민간단체가 함께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주제별 분임토의를 통해 도시농업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행사 기간 총 48,580명이 박람회를 찾았고, 이 중 5,351명은 미래세대를 위한 행복 모종 심기, 나만의 수경재배기 만들기, 밀랍 초 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에 참여하며 도시농업을 직접 경험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한편, ‘제11회 대한민국 도시농업박람회’ 행사는 온·오프라인으로 동시에 진행되었으며 공식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참여자 수는 67만 명으로 집계되었다.

 

농정원 이종순 원장은 “매년 개최되는 도시농업박람회는 도시민들도 ‘농부’가 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의미 있는 행사”라면서, “앞으로 더 많은 도시민이 집과 사무실에서 식물을 가꾸는 ‘도시농부’가 되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몸과 마음을 더욱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쌀생산자협회 "양곡법 국회통과 환영하지만, 아쉬움 많아"
국회에서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통과됐지만, 각 농민단체별로 이해득실을 고려한 찬반논쟁 성명은 여전히 엇갈리고 있다. 다만, 이번에 통과된 양곡법에 대한 대통령 거부권 행사 여부에도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런 상황속에 전국쌀생산자협회에서는 이번 양곡법 국회통과에 대해 아쉽지만 이를 지지하는 내용의 성명을 내놔 눈길이 간다. 성명서 전문이다. [전문]국회에서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통과됐다. 쌀값이 대폭락하여 생산비는커녕 비료값도 내지 못하고 있는 농민들은 이번 소식을 누구보다도 환영해야 하나, 기뻐할 수 없는 법안 내용에 답답함을 금할 수 없다. 오늘 통과된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민주당이 애초에 만든 원안의 의무매입 기준 ‘쌀 수요 대비 초과 생산량 3% 이상, 쌀값이 전년동기 대비 5% 이상 내려갔을 경우’를 김진표 의장의 중재안을 일부 받아들여 ‘초과 생산량 3~5% 이상, 가격 5~8% 이상 하락’으로 수정하였다. 또, 벼 재배면적 증가 시 시장격리 하지 않을 수 있다는 단서 조항과, 벼 재배면적이 증가한 지자체에 대한 매입물량 감축을 허용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우리 농민들은 민주당의 원안도 5%미만의 쌀값 하락을 방조한 법으로, 농민들의 생활물가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