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뉴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 기술·국산 품종 소개

재배 기술서 발간, 사료작물 가을 씨뿌림 때 꼭 알아두세요

논 뒷그루(답리작) 사료작물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는 국내 겨울 사료작물 재배면적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해마다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해 국내 풀사료 산업을 주도하는 사료작물로 자리매김했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IRG의 가을 씨뿌리기를 앞두고 안정적인 재배 기술과 국내 육성 품종을 소개했다.

 

<중부지역 IRG 파종시기별 월동 후 봄 생육 비교>

 

IRG의 파종 시기는 생산량, 수확 시기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재배 지역에 따라 적기를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파종 시기가 너무 빠르면 겨울나기(월동) 전에 웃자라 언 피해(동해)를 받기 쉽고, 파종 시기가 너무 늦어도 언 피해나 봄 서릿발에 말라 죽는(고사) 피해를 볼 수 있다.

 

지역별 파종 적기는 중북부 지역(1월 최저 평균기온 영하 9도)이 9월 20일에서 25일, 중부 지역(1월 최저 평균기온 영하 7도)은 9월 25일에서 30일, 남부 지역(1월 최저 평균기온 영하 5도)은 10월 상순이다.

 

벼 수확이 늦어져 적기 파종이 어렵다면, 벼를 수확하기 전에 미스트기나 무인기(드론)를 이용해 벼가 서 있는 상태에서 씨를 뿌리는 입모 중 파종 재배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파종 방법은 흩어뿌림(산파) 또는 줄뿌림(조파)이 있다. 파종량은 흩어뿌림에는 헥타르당 40kg, 줄뿌림에는 30kg이 알맞다. 중북부 지역에서는 파종량을 늘리고, 줄뿌림하는 것이 겨울나기에 유리하다.

 

국내 IRG은 4월 하순에 수확하는 극조생종 4품종, 5월 상순에 수확하는 조생종 3품종, 5월 중순에 수확하는 중생종 7품종, 5월 하순에 수확하는 만생종 6품종등 총 20품종이다.

 

품종을 선택할 때는 생육 특성을 확인하고 재배 지역의 벼 수확 및 모내기 시기, 1월 최저 평균기온을 고려한다. 특히 경기 북부 등 추운 지역에서 안정적으로 재배하기 위해서는 ‘코윈어리’ 같은 추위에 강한 국산 품종을 선택하기를 권한다.

 

국립축산과학원은 IRG 국내 육성 품종을 알리고, 안정 재배기술을 널리 보급하기 위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 특성과 재배 이용 기술서’ 개정판을 발간했다.

 

국내 육성 IRG 20품종의 주요 특성과 수량성을 비롯해 안정 재배기술, 풀사료 저장 이용 기술 등을 담았다.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 누리집에서 파일로 내려받아 볼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이상훈 과장은 “최근 10년 사이 IRG 재배면적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 기후 적응력이 뛰어난 국산 품종을 안정적으로 재배함으로써 농가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치유농업, 농가 이전·사업화 실증으로 확산 기반 구축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올해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치유농업 프로그램(4종)의 농장이전(6개소) 및 사업화 실증을 완료하고 22일 오송 H호텔에서 결과보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실증사업은 농진청이 개발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지역 수요농장(6개소)에 맞춤형으로 이전하여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단위 사업화모델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추진됐다. 운영기관인 농진원은 지난 3월 농촌진흥청에서 치유농업 프로그램 설명회를 개최했고, 6개 지방농촌진흥기관과 협력하여 실증농장과 지역 내 치유대상 희망자에게 적용하는 사업화모델을 11월까지 약 9개월간 구축해 왔다. 이번 사업에서 농장에 이전된 농진청 프로그램(4종)은 경도인지장애 및 소외노인을 비롯하여 암진단 경험자와 일반인까지 다양한 계층의 대상자(122명)가 참여하였고, 의미 있는 치유 효과가 재현됨을 확인했다. 실증과정에서 농진청이 개발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은 각 농장이 가진 자원(농업자원, 시설, 인적역량 등)에 맞춤형으로 지원하여, 서비스 제공농장의 운영 역량을 높여 주었고, 프로그램 참여자와 치유대상 희망자를 연계해 준 지역 보건복지 수요기관 등의 만족도 또한 높아 향후 이전·실증 프로그램의 서비스 상용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