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한우자조금 '홈쿡족' 한우요리 다양하게 추천

코로나 재유행으로 다시 홈쿡족 증가에 끼니 고민 늘어
한우자조금, 맛있고 영양가 풍부한 한우의 ‘가치’ 더한 다양한 한우 활용법 소개

코로나 재유행으로 집에서 요리를 해먹는 ‘홈쿡족’이 다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끼니 해결을 고민하는 사람이 많다. 게다가 올해 계속되는 폭염과 폭우로 육체적, 정신적 피로감을 호소하는 사람도 늘어나며, 영양가 있는 식단에 대한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끼니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고민이라면 맛있고 영양가 풍부한 한우를 활용해 특별한 음식을 만들어 먹어보는 것은 어떨까.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가 숨겨진 한우 부위, 트렌디한 음식에 한우의 영양학적 '가치'를 더한 레시피 등 홈쿡족을 위한 한우 활용법을 소개한다.

 

일반적으로 국거리나 불고기, 장조림 등으로 많이 사용하는 저지방 정육 부위 중에서 활용 방법에 따라 구이용으로도 맛있게 즐길 수 있는 숨겨진 한우 부위가 있다.

 

소의 뒷다리 쪽에 위치한 삼각살은 주로 국거리, 불고기용으로 사용되지만 움직임이 적은 부위라 식감이 부드러워 구이용이나 육전, 육회로 먹어도 손색없다. 삼각살을 구이용으로 먹을 경우 지방과 근막을 제거한 후 고깃결의 반대 방향으로 썰어내면 더욱 부드럽게 즐길 수 있다.

 

고기의 씹는 식감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흔히 찜, 장조림용으로 알고 있는 아롱사태를 구워 먹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아롱사태는 한우 부위 중 가장 탄력이 좋은 부위로 씹는 식감이 매우 쫄깃한 것이 특징이며 풍부한 육즙의 맛을 느낄 수 있다.

 

이외에도 소 엉덩이의 아랫부분에 위치한 보섭살을 활용해 스테이크로 즐길 수 있다고. 보섭살은 백종원이 한 방송에서 “한우계 최고의 가성비 부위라 할 수 있는 보섭살은 씹을수록 진한 고기향을 자랑한다”라고 말하며 추천하기도 했다. 안심처럼 핏기가 살짝 남아있는 상태로 익혀 먹으면 더욱더 담백하게 즐길 수 있다.

 

요즘 MZ세대 사이에서 핫한 음식이 있다. 먼저 알싸한 맛에 스트레스를 한 방에 날려 보낼 수 있고, 본인이 원하는 재료를 골라 담아 먹을 수 있는 마라탕과 훠궈다. 인기가 지속되면서 집에서 간편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다양한 밀키트 제품도 출시되고 있는데, 이 같은 마라탕과 훠궈에 빠질 수 없는 재료, 단연 고기라고 말할 수 있겠다.

 

특히 마라탕과 훠궈에 한우 차돌박이, 업진살, 양지머리, 우둔살 등을 샤브샤브용으로 얇게 슬라이스해서 먹으면 깊은 풍미와 육즙이 어우러져 고소한 맛이 배가 된다. 또, 한우의 영양성분이 더해져 마라탕과 훠궈를 보다 건강하게 즐길 수 있으니 본인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부위를 활용하면 어떨까.

 

다음으로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자주 등장해 다시금 주목받고 있는 요리, ‘김밥’이다. 우영우에게 영우 김밥이 있다면, 우리에게는 한우 김밥이 있다. 일반적인 레시피로 고기를 구워서 넣어 만드는 김밥도 맛있지만 조금 더 특별한 레시피를 원한다면 이번에는 한우 육회를 활용해 보자.

 

이전 한 방송에서 김호윤 셰프가 선보여 큰 호응을 얻은 메뉴이기도 한 육회 김밥은 육회에 주로 활용되는 한우고기 부위인 홍두깨살, 설깃살, 꾸리살 부위 등을 사용해 만들 수 있다. 만드는 방법도 아주 간단하다. 밥 대신 잘게 썰린 신선한 한우 육회를 깔고, 그 위에 당근, 우엉 등 원하는 김밥 재료를 함께 넣어 김밥을 말 듯이 만들면 된다.

 

한우 명예홍보대사 김호윤 셰프는 “홍두깨살, 설깃살, 꾸리살 부위는 지방 함량이 적고 운동량이 많은 부위라 쫄깃쫄깃한 식감으로 한우 김밥을 만들 때 활용하기 좋다”라며,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한 한우 김밥은 맛과 건강을 동시에 챙길 수 있어 다이어트식으로 활용하기에도 좋다”라고 설명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