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유제품 단백질’ 관심 증가... 제품 출시 잇따라

4회 유청 단백질 포럼, 매일헬스 뉴트리션 연구소 박석준 소장 발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면역력 강화를 돕는 단백질에 관한 대중의 관심과 소비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유청 단백질과 우유 단백질 제품 출시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해 전 세계에서 출시된 유제품 단백질을 원료로 하는 신제품 수는 식물성 단백질로 만든 신제품 수보다 3,000개나 많았다.

 

최근 서울에서 열린 제4회 ‘유청 단백질 포럼’에서 주제 발표를 한 매일헬스 뉴트리션 연구소 박석준 소장은 “지난해 출시된 유청 단백질 신제품은 7,400개를 초과하는 등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이는 2015년보다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유청 단백질 신제품은 2015∼2020년 새 연평균 14%의 성장률을 보였다. 전체 신제품 중 16.3%는 유청 단백질 신제품 1위 시장인 미국이 차지했다. 중국·독일·영국·브라질이 뒤를 이었다.

 

2020년 한국에서의 유청 단백질 신제품 출시도 2019년보다 44% 증가한 136개 제품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우유 단백질 신제품 수도 지난해 신기록을 작성했다. 전 세계적으로 9,400개 이상의 제품이 출시됐다. 2015∼2020년 새 연평균 성장률은 3.7%에 그쳤다.

 

이와 같은 유청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 신제품 관련 통계는 전 세계 식음료 업계의 신제품 출시 관련 광범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한 전문 회사(Innova Market Insights)가 낸 것이다.

 

최근 콩 단백질 등 식물성 단백질의 소비가 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유청 단백질 등 유제품 단백질 제품 수가 70가지 식물성 단백질 성분을 원료로 만든 제품 수보다 여전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전 세계에서 출시된 유제품 단백질을 원료로 하는 제품 수는 식물성 단백질로 만든 제품의 수보다 3,000개나 많았다.

 

박 소장은 이날 “유청 단백질 등 유제품 단백질 신제품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제품군은 파우더·바·RTD(즉석 음료)·아기용 조제분유 등 스포츠 영양 제품 영양 식품”이며 “식물성 단백질이 사용된 제품은 대부분 육류 관련 제품”이라고 소개했다.

 

유제품 단백질의 활용은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등 환경 발자국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 유제품 단백질의 가공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퍼미에이트·락토스·미네랄·유청 크림 등 관련 성분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식품 산업에서 유제품 단백질은 여전히 식물성 단백질보다 더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셈이다.

 

박 소장은 “필수 아미노산의 권장 섭취량(RDA)에 해당하는 충분한 양의 단백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토지 이용과 온실가스 배출량은 유제품 단백질과 대부분의 식물성 단백질이 비슷한 수준”이며 “콩 단백질에서 얻는 관련 성분은 대부분 부가가치가 낮은 동물 사료용 원료로 쓰인다”고 지적했다.

 

영양 측면에서도 유제품 단백질은 콩 단백질보다 높은 평가를 받는다. 유제품 단백질은 모든 필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지만, 식물성 단백질은 대개 필수 아미노산이 하나 이상 부족하거나 몸에서 필요로 하는 양보다 부족하므로 불완전한 것으로 여겨진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