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팜스코, '판을 뒤흔들 혁신'... 2022년 사업전진대회 화제

- 정학상 대표 "기존의 판을 뒤흔들어 혁신 이룰 다양한 아이디어 실행" 강조
- 팜스코 전체 매출액 1조 9천억원... 하림그룹 편입대비 460% 폭풍 성장
- 사료사업본부는 11월 월간 매출량 13만 5,104톤 신기록 세워
- “곡물가 폭등같은 각종 위협에도 불구 큰 성과... 내년에도 한단계 더 도약"
- 팜스코 'Be the Game Changer' 온택트사업전진대회 성료

㈜팜스코(대표 정학상)는 지난 12월 22일, 구성원과 파트너 4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Be the Game Changer’라는 슬로건으로 2022년 사업전진대회를 개최해 화제가되고 있다.
‘Game Changer’란 ‘판을 뒤흔들어 시장의 흐름을 통째로 바꾸거나 어떤 일의 결과나 흐름 및 판도를 뒤집어 놓을 만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사건이나 사람’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2021년의 성과를 살펴보고, 2022년 경영목표 달성에 대한 의지를 다지기 위해 마련된 이 날 행사는 하림 타워, 안성, 칠곡, 정읍, 천안, 인도네시아 등 각 사업장을 비롯해 160여 개 단위로 온라인으로 참여하여 실시 되었다.
이날 행사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정학상 대표이사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2021년 실적발표 및 각 본부의 2022년 사업전략 발표, 온라인 쿼터 수여식, 우수사원 시상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팜스코 각 사업 부문별 노력을 통하여 2021년 (주)팜스코 전체 매출액은 1조 9,000억 원으로, 2008년 대비 460%의 놀라운 성장을 이루었다.

 


각 부문별로 살펴보면, 사료사업본부는 11월 월간 매출량 13만 5,104톤으로 자체 신기록을 경신하며, 곡물가 인상으로 어려운 시장상황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갔다.

양돈사료 부문 또한 월간 6만 7,270톤 돌파로 신기록을 달성하며 No.1브랜드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했다.
계열화 사업본부 또한 사육성적의 향상으로 2021년 양돈출하두수 43만 5천두를 기록하며 매출두수 신기록과 함께 각종 사육지표에서 모두 신기록을 세우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신선식품 사업본부는 21년돼지 유통두수 127만두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7%성장, 한돈 산업의 No.1 파트너로서의 역할에 힘쓰고 있다.
한돈을 이용한 육가공 제품으로 일반 소비자에게 다가가고 있는 육가공 사업본부는 BEP를 돌파하며, 다양한 채널로 고객과 소통하며 한돈의 우수성을 가공식품에서도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도 진출한 팜스코는 코로나19로 인해 사업에 직격탄을 맞은 상황에서도 연간 39만7천톤 판매를 이루며 사업 성장의 기반을 만들었다는 평가이다.

이에 대해 정학상 대표이사는 “세계적인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곡물가 폭등과 같은 각종 위협이 있었지만, 각 사업본부별로 대단히 큰 성과를 만든 한해”라며, “2022년에도 고객과 함께 소통하고 성장하는 팜스코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 대표는 이어 "축산식품 산업을 선도하여 고객의 행복한 삶에 기여합니다.라는 팜스코의 사명을 실천하기 위해 모든 분야에서 기존의 판을 뒤집고 혁신을 이룰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실행하는 2022년이 될 것”을 당부했다.

지속적인 성장으로 축산식품산업의 선도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팜스코의, 산업 발전을 위해 판을 바꿀 정도의 변화를 주도하겠다는 선언에, 앞으로의 행보가 더욱 주목된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우자조금, ‘한우농가 디지털정보 활용과 생산성 향상’ 국제 심포지엄 성료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한우협회장)는 한우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인공지능(AI) 시대 대응 전략 마련을 위해 지난 5일(수)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한우농가 디지털정보 활용 및 생산성 향상’ 국제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최근 AI 시대 도래로 모든 산업이 대응 전략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으나, 한우산업은 상대적으로 뒤처진 상황이다. 이에 한우자조금은 산재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익 목적의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한우디지털정보센터(HDIC) 구축과 AI 기반 정보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번 심포지엄을 마련했다. ‘송아지 육성률 향상 및 생산성 기반, 지속 가능한 축산의 시작’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한우농가, 학계, 유관기관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현장 사례와 질의응답 중심으로 진행됐다. △한우디지털정보시스템 소개 및 서비스 방안(하재정, 한우자조금 책임연구위원)을 시작으로 △번식농가의 필수 기본기 4원칙(고봉석, 거기한우 대표) △송아지 맞춤형 인공포유 및 질병의 예방과 치료(강기웅, 우사랑동물병원장) △일본 화우 송아지의 최신 사양관리 기술 및 현장사례(노상건, 일본 도호쿠대학교 교수) 등 다양한 주제 발표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