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아시아종묘, 복합내병계 고추 신품종 출시!

- 지역별·소비자별 니즈 맞춤형 고추품종들 대거 선보여!
- 칼탄열풍, 칼탄플러스, 칼탄스탑, 칼탄가드, 칼탄대표 등 강한 내병성 자랑 품종
- 아시아종묘, 재배포장 버팀성이 우수한 맵고 큰 고추 장신청양과 화신청양도 추천

아시아종묘가 2022년 고추 시즌을 맞아 TSWV(일명 칼라병), 탄저병, 역병에 강한 내병성을 지닌 복합내병계 고추 신품종을 대거 출시했다. 칼탄열풍, 칼탄플러스, 칼탄스탑, 칼탄가드, 칼탄대표 등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고추 신품종들은 내병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숙기를 앞당기거나 대과종으로 크기를 키워 상품성을 높였다는 것이 특징이다.

칼탄열풍은 고추 농가에 새로운 열풍을 일으킬 품종으로 손꼽힌다. 초형은 반개장형으로 중조생종의 대과종 품종이며, TSWV, 탄저병, 역병에 강한 복합내병계 품종이다. 포장바이러스에 강하여 재배가 용이해 고추 농가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으며, 착과력과 수량성도 뛰어나 농가소득에 보탬이 될 전망이다.

적당한 매운맛에 건과 품질도 뛰어나다. 칼탄플러스는 중대과종으로 칼탄열풍에 비해 크기는 다소 작지만 숙기가 빠른 조생종 품종으로 건과 품질 또한 우수하다. TSWV, 탄저병, 역병에 강한 복합내병계 품종이며, 바이러스에 강해 재배가 용이하다. 매운맛은 적당하며, 과형이 곧고 매끈하여 상품성이 우수하다.

칼탄스탑과 칼탄가드, 칼탄대표 역시 TSWV, 탄저병, 역병에 강한 복합내병계 품종이다. 칼탄스탑과 칼탄가드는 초세가 강한 대과종으로 과형이 균일하고 건과 품질이 우수해 상품성이 뛰어나다. 포장바이러스 버팀성이 우수한 것도 두 품종의 공통된 특성이다.

 


차이점은 숙기와 매운맛이다. 칼탄스탑은 조생종이면서 매운맛이 강하며, 칼탄가드는 적당한 매운맛에 숙기는 빠른 중생계 품종이다. 칼탄대표 역시 복합내병계 품종이면서 과형과 광택이 우수한 극대과종으로 상품성이 높다. 착과력과 매운맛이 강하고 건과 품질 또한 우수하다.

AR18-1524는 중조생종인 대과종 고추로 칼라병 내병성은 없지만 탄저병과 역병에 강하고, 우수한 과형으로 뛰어난 상품성을 자랑한다.

아시아종묘 생명공학육종연구소 가지과연구팀 이은애 연구원은 “2021년에는 고온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병충해와 바이러스의 피해가 적었지만, 2022년에도 TSWV, 탄저병, 역병에 강한 복합내병계 품종에 대한 선호도는 계속될 것이며,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되기 전 수확이 가능한 조생계 품종과 길이 17cm 이상의 극대과 품종을 선호하는 추세도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이어 “칼탄열풍, 칼탄플러스, 칼탄스탑, 칼탄가드, 칼탄대표, AR18-1524 등 아시아종묘의 고추 신품종들은 내병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상품성과 재배용이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고추 농가들에게 많은 보탬이 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또 “아시아종묘 고추육성팀의 신품종 연구개발은 오랫동안 지속되어 많은 노하우를 축적해왔다.”면서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2023년 시즌에도 더욱 개량된 복합내병계 품종들을 출시하여 고추 농가의 재배 편의성과 수익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매진할 계획이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아시아종묘는 매운맛이 강하고 큼직한 크기를 자랑하는 장신청양과 화신청양도 자신 있게 내놓았다. 두 품종 모두 노지용 신미계 품종이며, 바이러스와 역병에 강해 안정적인 재배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송파구청·송파소방서, 가락시장 싱크홀 안전사고발생 대응 종합훈련 가져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문영표)는 지난 10월 31일 송파구청, 송파소방서 등 15개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2025년 송파구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및 긴급구조종합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전국적으로 실시되는 ‘안전한국훈련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도심지 싱크홀 발생 및 다중밀집시설 대형 화재 사고와 같은 대규모 복합재난 상황을 가정하여 가락시장(가락몰 일원)에서 민관 합동으로 500여명이 훈련에 참여했다. 땅꺼짐 발생으로 도시가스관이 파열되고, 누출된 가스로 화재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공사 자위소방대가 초기대응을 위해 옥외소화전을 이용하여 진화를 시도하고, 대피 안내 방송에 따라 건물 내 유통인들과 입주자들을 대피시켰다. 이어서 화재 신고로 송파소방서가 출동하고 건물 내로 진입하여 진압과 동시에 부상자를 구조하는 등 구조·구급 활동을 전개했다. 화재 상황이 전파되어 대응 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송파구청과 화재현장에는 재난안전대책본부, 통합지원본부, 긴급구조통제단이 설치되는 등 유관기관들과 협업하여 신속하게 화재 진압과 구조·구급을 위한 상황판단회의를 진행했다. 특히 이번 훈련에는 가락몰 1관에서 시작된 화재가 업무동으로 확산되는 과정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