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군납급식' 개선... 농가 상생대책 소홀

축단협, 군납급식 수입축산물 우려섞인 잇따른 비난 성명 쏟아내

- 군납급식 개선에 생산농가들 상생을 소홀히 하고 있어, 항의성명 잇따라

- 국무조정실과 국방부, 2025년부터 수입산축산물 경쟁입찰제 도입을 주요골자로 하는 ‘군급식 종합개선대책’ 발표

 

축단협이 군납급식 개선에 생산농가들 상생을 소홀히 하고 있어, 이에 항의하는 성명이 잇따르고 있다. 다음은 성명서 주요 내용이다.

밥정부 축산탄압정책의 끝은 어디인가! 농식품부, 국방부, 환경부를 비롯한 범부처들은 연일 축산말살책을 쏟아내고 있다. 국무조정실과 국방부는 지난 10월 4일 2025년부터 수입산축산물을 허용하는 경쟁입찰체제 도입을 골자로 하는 ‘군급식 종합개선대책’을 발표하였다.

 

국방부는 전시·평시를 대비한 안정적 군급식 공급체계 확립을 위해, 농민(농축수협)과의 협약을 통해 지난 50여 년간(1970년부터) 국내산 농축수산물의 계획생산체제로 유지해 온 정책을 엉뚱하게도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부실급식의 희생양으로 삼았다. 그간 성실히 축산물을 납품해 온 선량한 축산농가를 대상으로 손바닥 뒤집듯 정책폐기를 선언했다.

 

종합대책에 따르면 국방부는 경쟁입찰도입의 연착륙을 위해 수의계약 수준을 ’22년 70%, ’23년 50%, ’24년 30%로 단계적 축소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최근 국방부는 급식정책회의를 개최하여, 단서조항 신설을 통해 1끼 부식비 대비 고단가인 품목(축산물전반)은 ’22년도부터 기본급식품목에서 제외(선택급식으로 전환), 국내산 우선구매원칙을 적용하되, 일정기준 충족(수급불균형 등) 시 수입산허용 및 연구용역 통한 가이드라인 마련, ’22년부터 흰우유 급식량 80%수준 축소(현재 393회 → 313회), ’23년 60%수준 축소, ’24년 폐지방침을 밝힌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방부의 ’22년 계획이 현실화될 경우 한우고기 전체, 육우고기(갈비), 돼지(냉장삼겹), 삼계탕, 오리고기(순살, 훈제) 등이 선택급식으로 전환되어 수입축산물로 채우게 된다.

이 경우 국산축산물의 수의계약 수준이 20~30%밖에 되지 않아 한우농가를 비롯한 전체 축산농가에게 직격탄이 될 수밖에 없다.

 

또한 수입산 사용을 전제로 가이드마련을 추진한다고 하니 외국산 축산물을 전면 사용하겠다는 수순에 지나지 않는다.

장병영양 필수식품인 흰우유 급식을 줄여 대부분 수입산 대두를 사용하는 식품대기업(2개사의 시장점유율 70%)의 콩즙(두유)을 군장병에게 공급하겠다는 것은 도무지 납득이 가지 않는 정책이다.

 

정부는 사료값 폭등 및 조사료 부족대란에 따른 축산농가 경영난심화, 요소수 고갈사태에 따른 축산업계피해는 방치하고 있다.

대외개방정책(RECP, CPTPP가입 등), 축산대체식품 육성, 축산농가를 향한 초법적인 방역정책 양산에 이어, 군납 수입축산물 도입을 통해 축산말살의 종지부를 찍을 기세다. 사태가 이 지경까지 온 근본원인은 축산말살책을 조장내지 방치한 책임은 정부에 있다.

 

정부가 수입축산물 장려목적의 군납 경쟁체제 도입계획 및 ’22년 계획을 폐기하지 않는다면 생존권위기에 몰린 전국 축산농가들은 정권심판투쟁에 나설 수밖에 없다. 국방의 선봉장인 군장병들의 밥상을 수입농축산물로 채우겠다는 발상부터 폐기하기를 촉구하고 있다. 장병급양정책의 핵심은 전시를 대비한 국내 농축산물 계획생산제를 통한 안정적 공급체계 구축에 있다는 점도 이들은 강조하고 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국제농업박람회 23일 개막식 임박
(재)전라남도국제농업박람회(대표이사 김행란)는 2025국제농업박람회에서 고등학생부터 대학생, 농업인까지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는 농업 기술 경진대회와 시연, 체험행사를 개최한다. 각종 시연 및 경진대회는 농업기술원 대강당과 농기계시연장에서 박람회 개최기간인 7일 동안 개최되는데, ㈜대동의 무인자율주행 운반로봇, 농업용무인전동운반차, 자율주행키트, 자율주행예초기, 추종형운반로봇, 무선조정SS기 및 서해드론, 무성항공 등 5개 드론 기업이 참여하며 관람객이 직접 작동해 보는 체험기회를 제공한다. 개막일인 23일에는 ㈜대동의 무인자율주행 운반로봇 시연을 시작으로 24일과 25일에는 ㈜긴트의 플루바 오토와 ㈜아그모의 자율주행키트를 장착한 트랙터와 사람이 직접 운전하는 트랙터가 각각 두둑성형, 선회 등을 하여 그 농작업 결과를 비교해 보는 경연 행사를 하게 된다. 이는 무인자율주행 K-농업기술의 현주소를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긴트는 MF사의 165마력 대형트랙터에 키트를 장착하여 참여할 예정으로 무인자율주행 대형농기계의 위용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27일에는 미래 농업의 주역이 될 고등학생들이 스마트농업용 드론제어 경진대회(본선)에 참여하여 드론 동작수행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국제농업박람회 23일 개막식 임박
(재)전라남도국제농업박람회(대표이사 김행란)는 2025국제농업박람회에서 고등학생부터 대학생, 농업인까지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는 농업 기술 경진대회와 시연, 체험행사를 개최한다. 각종 시연 및 경진대회는 농업기술원 대강당과 농기계시연장에서 박람회 개최기간인 7일 동안 개최되는데, ㈜대동의 무인자율주행 운반로봇, 농업용무인전동운반차, 자율주행키트, 자율주행예초기, 추종형운반로봇, 무선조정SS기 및 서해드론, 무성항공 등 5개 드론 기업이 참여하며 관람객이 직접 작동해 보는 체험기회를 제공한다. 개막일인 23일에는 ㈜대동의 무인자율주행 운반로봇 시연을 시작으로 24일과 25일에는 ㈜긴트의 플루바 오토와 ㈜아그모의 자율주행키트를 장착한 트랙터와 사람이 직접 운전하는 트랙터가 각각 두둑성형, 선회 등을 하여 그 농작업 결과를 비교해 보는 경연 행사를 하게 된다. 이는 무인자율주행 K-농업기술의 현주소를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긴트는 MF사의 165마력 대형트랙터에 키트를 장착하여 참여할 예정으로 무인자율주행 대형농기계의 위용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27일에는 미래 농업의 주역이 될 고등학생들이 스마트농업용 드론제어 경진대회(본선)에 참여하여 드론 동작수행

배너